작가 한강과 노벨문학상
지난 10월 10일 스웨덴 한림원에서 202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대한민국의 여류 작가 한강을 선정, 발표를 하자 한국은 물론 중국, 일본 그리고 전세계가 난리가 났다. 필자를 비롯한 대부분의 한국인들 조차 도대체 한강이 누군데 그 유명한 노벨상이 그에게 떨어진 것이냐는 의문이 들 정도로 그것은 파격이었다.
2016년, 한강이라는 한국 작가의 “채식주의자” 가 영미권에서 권위가 있다는 “맨부커” 상을 수상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을 때에도 “뭐 그 정도가지고?” “ 한강이라는 이름은 또 뭐꼬?” 하고 넘겼다. 그리고는 그 “채식주의자" 라는 책을 사 볼 생각조차 하지 않았다. 더구나 이곳 공공 도서관 에서도 가끔 그 책이 눈에 뜨였지만 그냥 지나치곤 했다. 필자의 무지가 여실히 드러나는 순간이었다. 그러던 그가 이번에는 “채식주의자", “소년이 온다" 그리고 “작별하지 않는다" 등등의 소설을 가지고 당당히 2024년 노벨문학상을 거머 쥐었다.
6/25 전쟁이 끝나고 잿더미에서 맨손으로 가발을 시작으로 섬유, 라디오/TV, 반도체, 철강, 조선 그리고 자동차 등으로 수출품을 확대해 마침내 하드웨어로 한강의 기적을 이룬 대한민국이 이제는 K- 팝, K- 드라마, K- 영화, K- 푸드, 그리고 K- 문학으로 발전, 마침내 소프트웨어로 또 한번 한강의 기적을 이뤘다. 대한민국의 큰 경사임이 틀림없다.
그가 이번에 202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결정되었다는 신문/방송을 보고 남들과 같이 “채식주의자”란 소설이 도대체 어떤 내용인지 궁금해서 여기저기 우왕좌왕 눈과 귀를 열다 보니 이제는 그 책의 내용이 대강 어떤 내용인지 알게 되었다. 그러나 그 책이 스웨덴 한림원의 평대로 “역사의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의 삶의 연약함을 드러내는 강렬한 시적 산문 ( Intense Poetic Prose ) “ 이라는데 공감하기 위해서는 그 책을 구입해서 실제로 읽어 본 후 라야 하겠다.
노벨상 발표이후 7일이 지난 오늘까지 한국에서만 그의 책이 100만 권이 더 팔려나갔다고 한다. 해외까지 합하면 모두 몇 권이나 되며 그걸 돈으로 환산하면 어휴!. 그의 아버지 한승원 작가의 말대로 노벨상위원회는 사고를 쳤고 작가는 대박을 터트렸다.
2018년 5월. 필자는 10년 내 노벨상 수상이라는 원대한 꿈을 안고 문창대 ( 문예창작대학: 학장 이원배 ) 에 입학한다. 개강 첫날, 학장님은 자유 제목으로 삼행시를 지어보라고 한다. 일종의 실력 테스트 였는데 첫날부터 필자의 형이하학적 ( 대박=돈 ) 가치관 만 들어났다. 필자의 삼행시 제목은 문창대였다.
문: 문창대가 누구 이름인줄 알았는데.
창: 창의성을 가르쳐 돈을 벌게 하는곳 이란다.
대: 대박이다.
그에 비해 어느 학생은 자유시라는 제목으로 다음과 같은 삼행시를 지어낸다. 필자가 뽑은 그날의 장원이었다.
자: 자전거 타는 것은 재미있다.
유: 유람선 타는 것도 재미있겠다.
시: 시 쓰는 것은 더 재미있겠다.
만일 우리 신입생 중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나온다면 바로 이 학생일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한 학생은 대박=돈을 강조하는데 이 학생은 재미=취미를 이야기 하니 차원이 달랐다. 이렇게 시작된 필자의 문창대 시절은 글을 쓴다는게 얼마나 어렵고 힘든 작업인가를 깨닫게 해 주고 끝난다.
그런데 그것 뿐 만 아니다. 우리 중 누구 하나가 노벨상을 타기에 충분한 소설 또는 시를 쓴다 한들 그것을 영어로 번역해 줄 능력있는 번역가를 구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는 이번에 깨달았다. 우리나라에서 이름만 대면 누구나 다 아는 유명한 작가의 말이 있다. 그의 작품을 불어로 번역해서 출판해 주겠다는 제의가 들어왔을 때 그는 너무 감지덕지해서 이것 저것 가릴 형편이 아니었다. 모든 것을 그 출판사에 맡겼는데 나중에 그 불어 번역본을 영어로 번역할 때 여러군데에서 오역이 발견되어 이를 시정하라고 수차례 요청하였으나 불어 출판사에서는 이를 묵살했다고 한다. 이번 한강의 케이스는 데보라 스미스라는 열정적인 천재 번역가를 만난 운(?)도 한몫 단단히 했다. 우리는 그런 운을 실력의 일부라고 부른다.
옛날 구 소련시절. “닥터 지바고” 의 저자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에게 노벨문학상을 수여하고 그 뒤 “수용소 군도” 의 솔제니친에게도 노벨상을 수여한 것은 노벨상이 다분히 정치성을 띠고 있다는 논란을 일으키게 하기에 충분했다. 사람들은 위의 두 작가의 수상은 당시 소련의 독재체제와 강제노동수용소의 실태를 서방세계에 널리 전파하기 위함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인도 1명, 중국 1명, 일본 2명 이라는 아시아지역의 노벨문학상 분포를 볼 때 이제는 한국이라는 정치적 계산도 추측 가능하다. 이것도 그렇고 작가 아버지를 만난것도 모두 작가로서는 큰 행운이 아닐수 없다.
전후 사정은 이렇고 저렇고 말하기 좋아하고 끼어들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그렇다 치고 지금의 우리 모두는 한강 작가에게 박수를 보내야 할 때다. 이 기회를 이용해 세계에서 제일 책을 안 읽는 우리나라 사람 ( 한사람이 일년에 평균 1.7권 정도에 불과 ) 이 한 해 평균 5권 이상의 책을 읽게되는 계기로 삼았으면 한다. 그런데 한국인들이 이렇게 책과 등지고 살고 있다는 사실을 노벨상위원회가 어떻게 알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