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가 어려우면 자동차가 있다

작성자녹림처사|작성시간23.05.03|조회수401 목록 댓글 0

◈반도체가 어려우면 자동차가 있다

 

1980년대 일본 미쓰비시 엔진을 받아쓰던 현대차가

국산 엔진 개발에 나섰어요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전투기 ‘제로센’ 엔진을 개발했던

구보 도미오 미쓰비시 회장이 정주영 현대 회장을 찾아왔지요

“엔진 개발을 포기하면 로열티를 50% 깎아주겠다”.

매년 영업이익 절반을 로열티로 내던 처지에서 솔깃한 제안이었지만

정 회장은 거절했어요

‘엔진 개발 능력을 가져야 생존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지요

그 결단이 오늘의 한국 자동차 산업을 만들었어요

 

현대차가 4기통 휘발유 엔진 개발에 성공하자

구보 회장이 현대차 연구소를 찾아와 “가장 어려웠던 게 뭐냐”고 물었지요

개발팀장은 “엔진 열변형을 잡는 게 어려웠다”면서

엔진에 온도계 200여 개를 꽂아 열변형을 측정한 시제품을 보여주였어요

구보 회장은 귀국하자마자 기술진을 불러 모았지요

“정신 차리지 않으면 10년 내에 현대차에 역전당할 것”이라고 호통쳤어요

그의 우려는 현실이 됐지요

미쓰비시는 2005년부터 현대차에 로열티를 지급하기 시작했어요

 

현대차가 1986년 엑셀을 앞세워 미국 수출 시장 문을 두드렸지요

그런데 고장이 잦아 조롱거리가 됐어요

미국 TV 토크쇼에선 “출발할 때 뒤에서 밀어야 하고,

내리막길에서만 달리는 1인용 썰매가 뭔지 아세요?

‘현대’랍니다”라고 놀렸지요

영국 BBC방송은 현대차 엑센트를 ‘엑시던트(사고)’라고 조롱했어요

그러나 정몽구 현대차 회장이 ‘10년·10만마일 보증수리’ 승부수를 던졌지요

3년 만에 대미 수출이 3배로 늘어났어요

 

미쓰비시는 망해서 닛산에 인수됐지만,

현대차는 글로벌 5대 자동차 메이커로 성장했지요

지난해 684만대를 생산한 현대차그룹 덕에 한국 자동차 산업은

874억달러(부품 포함)를 수출해 반도체(1292억달러)에 이어 2위를 차지했어요

올 1분기 중에는 자동차가 반도체를 제치고 수출 1위(171억달러)로 올라섰지요

130억달러 흑자를 내며 반도체 대신 수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어요

 

70년 전 미군 지프를 개조한 ‘시발자동차’로 시작한 한국 자동차 산업이

미래차 분야에선 선두 그룹이지요

1회 충전에 524㎞를 달리는 현대 아이오닉5는

‘2022년 세계 올해의 차’로 등극했으며

‘3.5초 만에 시속 100㎞를 찍는 기아 EV6는

‘2022년 유럽 올해의 차’에 선정됐어요

전기차 황제 일론 머스크도 찬사를 보내고 있지요

현대차는 내연기관개발센터를 배터리개발센터로 대체하며

전기차에 올인하고 있어요

국산 엔진 개발, 10만마일 무상 수리에 이어

한국 자동차 산업사에서 제3의 변곡점으로 기록됐으면 좋겠어요

 

-* 언제나 변함없는 녹림처사(一松) *-

 

 

전기차 아이오닉5에 기대 선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