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댓말과 경쟁심

작성자녹림처사|작성시간23.05.06|조회수4,101 목록 댓글 4

◈ 존댓말과 경쟁심 

 

1990년대 서울의 한 고교는 신입생이 들어오면 인사법부터 바꿨어요

교사에게는 물론이고 친구 사이에도 ‘저는 효자입니다’라고

존댓말 인사를 하게 했지요

그 이유를 물었더니

“그렇게 해보니 예의 바른 학생이 되더라”고 했어요

실제로 학교엔 “반말하고 버릇없던 아이가 존댓말 쓰는 아이로 바뀌었다”

학부모 감사 편지가 쇄도했지요

말에는 사람을 바꾸는 힘이 있어요

언어철학자인 이규호 전 연세대 교수도 저서 ‘말의 힘’에서

“언어는 단순한 표현 수단을 넘어 사람됨을 이룩한다”고 했지요

 

친절하고 예의바른 것은 일본인을 따를자가 없어요

한국 문화를 처음 접하는 일본인들이 놀라는 것 중 하나가

한국인의 거친 입이지요

오구라 기조 일본 교토대 교수는

서울대에서 조선의 유학을 연구한 것을 토대로

저서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를 냈어요

이 책에서 오구라 교수는 한국인의 입이 거친 이유를

사무라이와 유교 문화의 차이에서 찾았지요

“일본인은 칼로 싸우는데, 한국인은 말로 싸우기 때문”이라는 것이지요

칼의 나라 일본에서 입을 함부로 놀렸다간 자칫 목숨이 위태로워 지지요

반면 유교 문화권인 한국에선 ‘죽음을 걸 정도로 말싸움이 격렬해진다’고 했어요

한국인은 말을 칼처럼 쓴다는 의미이지요

 

그런 사회에서 아이들이라고 다를 리 없어요

교육부가 올해 초·중·고 학생 380여 만명을 대상으로

학교 폭력 실태를 조사했더니 5만여 명이 피해를 호소했지요

그중 언어 폭력이 41.8%로 가장 많았어요

‘학교 폭력을 당했다’고 답한 학생 중 초등학생 비율은 3.8%로

고교생(0.3%)보다 12배 많았지요

초등학교 때부터 말만 곱게 쓰도록 가르쳐도

갈수록 흉포화하고 어려지는 학폭 추세를 바꿀 수 있을지 몰라요

 

친구 사이에 존댓말 쓰고 ‘00님’으로 부르게 하는 초등학교가

늘고 있다는 기사가 지난 주말 실렸어요

10여 년 전 일부 기업이 시작한 존댓말 쓰기를 도입해

학폭을 줄이자는 취지라고 하지요

소파 방정환도 1923년 어린이날을 맞아

어린이끼리라도 존댓말을 쓰자고 제안했어요

오늘날 학폭 사태를 미리 내다본 듯한 선견지명이 아닐 수 없어요

 

학생들한테만 존댓말 쓰라고 할 일도 아니지요

옛날 학창 시절 선생님 몇 분은 교단에 오르면 꼭 존댓말을 썼어요

돌이켜보면 그게 살아있는 언어 예절 교육이었지요

초등학교에서 확산하는 존댓말 쓰기를

우리 사회의 언어 순화 운동으로 확대하면 어떨까요?

아이들 따라 한다고 부끄러워할 일도 아니지요

19세기 영국 시인 워즈워스도 일찍이

‘어린이는 어른의 아버지’라 했어요

 

어릴 적 초등학교 운동회가 열리면 면 전체가 떠들썩했지요

지금은 전교생 60여 명인 소규모 학교지만

당시엔 학생 수가 1000명이 넘었어요

주민들까지 차려입고 참석해 넓은 운동장 외곽이 꽉 찼지요

문방구 아저씨도 피에로 가면을 쓰고 운동장 한쪽에 장난감을 늘어놓았어요

청군·백군으로 나뉘어 깃발을 흔들며 펼치는 응원전도 치열했지요

하이라이트인 달리기 계주를 시작하면 동네 사람들도

손에 땀을 쥐고 지켜보았어요

계주 선수로 뛰지 못하더라도 달리기에서 3등 안에 들면

손목에 찍어주는 도장을 자랑할 수 있었지요

 

요즘 초등학교에서는 코로나 이후 4년 만에 돌아온 운동회가 한창이지요

그런데 운동회 풍경이 많이 달라졌어요

운동회 대행 업체도 등장했지요

초등학교에 여교사들이 많아지면서 만국기,

천막을 설치하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기 때문이지요

교사들에겐 안전 관리가 최우선이 되었어요

하나같이 귀하게 자라는 아이들이라 안전의 중요성이 과거에 비할 바가 아니지요

학생 수가 줄면서 전교생이 수십 명에 불과한 학교가 늘자

여러 학교가 모여 연합 운동회를 하는 것도 새로운 풍경 중 하나이지요

학생 수가 적으면 큰 공 굴리기 같은 단체 체육 활동을 하기 어렵지요

 

15년 전 초등학교 운동회에 갔더니 어떤 아이가 울고 있었어요

운동회 청·백군 종합 점수에서 자기 팀이 졌다고 했지요

요즘은 볼 수 없는 풍경이지요

지금은 청군·백군으로 나누지도 않지만 나눈다고 해도

따로 점수를 집계하지 않아요

경쟁에서 이기려고 하지 말라는 것이 최근 교육 목표이기 때문이지요

학생들도 자기가 청군인지, 백군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고 하지요

 

초등학교 운동회 풍경 중 가장 달라진 게 경쟁이 없어진 것이지요

순위를 정하는 달리기가 사라졌어요

달리기를 해도 같이 달리는 협력 달리기,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서 달리는 미션 달리기 등으로

순위가 드러나지 않게 만들었지요

‘경쟁’은 다 금기 사항이지요

상품이 있으면 모두 같은 것을 주는 것이 기본이지요

전교조 영향과 학부모들 요구가 합쳐졌다고 하지요

여기에 하향 평준화도 한 몫 했어요

 

그러나 운동(스포츠)은 경쟁이 본질이지요

이기고 지는 경쟁이 없으면 스포츠가 아니지요

선진국들은 학생 스포츠를 통해 정정당당하게 경쟁하고,

이겼을 때 겸허해하며, 졌을 때도 신사답게 승복하는 법을 가르치고 있어요

경쟁은 힘들고 경쟁하지 않으면 편하지요

그러나 어느 쪽이 발전할지는 물어보나 마나이지요

세상은 경쟁이 치열한 무대이지요

결국 세상이란 무대에 나갈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우리 모두 생각해봐야 하지요

 

어제가 101주년 맞는 어린이 날이었어요

우리나라에 어린이날을 만든 방정환 선생은

3.1운동을 계기로 어린이들에게 민족정신을 고취하고자

1922년 3월 16일 동경에서 색동회를 조직하고 5월 1일을 어린이날로 정하였지요

1923년 5월 1일 첫 번째 어린이날 기념행사에서

‘어른들에게 드리는 글’이 배포되었는데

“어린이에게 경어를 쓰시되 늘 부드럽게 하여 주시오”라고 당부했지요

방정환 선생은 독립된 인격체로서의 어린이에 대한 존중을 부탁한 것이지요

첫 번째 어린이날의 구호는 “씩씩하고 참된 소년이 됩시다.

그리고 늘 서로 사랑하며 도와갑시다”였어요

 

미래 사회의 주역인 어린이들이 티없이 맑고 바르게,

슬기롭고 씩씩하게 자라날 수 있도록 어린이 사랑 정신을 함양하고,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 주어야 하지요

 

-* 언제나 변함없는 녹림처사(一松) *-

 

어린이 날을 하루 앞둔 4일 오전 부산 부산진구 연지초등학교에서 열린 운동회에 참가한 5학년 학생들이

대형 풍선 넘기기 경기를 하고 있어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내꼬야 | 작성시간 23.05.07 존댓말 쓰기
    운동을 해서
    언어 폭럭이 사라진다면
    이 사회가
    훨신 밝아 지겠지요
    아이들 키우기도
    덜 불안 할것이구요

    좋은글 감사히 잘 봤습니다
    평안한 시간 되세요ㅎ녹림처사님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녹림처사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3.05.10 그래요 고마워요
    우리나라 교육제도가 많이 피폐해졌어요 ~
  • 작성자박서연(수필 작가) | 작성시간 23.05.07
    청군 백군 나뉘어
    운동회를 즐기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좋은 글 오랜만에
    공감하고 갑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녹림처사님^^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녹림처사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3.05.10 그래요 맞아요
    경쟁심은 성장을 이끌어 주지요 ~~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