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알아봅시다〃]< 뉴비를 위한 데모닉과 인퍼널 장비의 강화, 인챈트 기본 개념 >(브금주의)

작성자다밥|작성시간21.04.07|조회수18,934 목록 댓글 16

 

 

데모닉과 인퍼널의 차이, 장비 강화, 인챈트의 개념을 모르시는 뉴비분들이 많은 것 같아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제가 이하 쓰는 글은 모두 이 가이드 북에 더 친절히 나와있습니다. 기존유저분들은 아는 내용이니 안보셔도 됩니다.

데모닉 장비와 인퍼널(엔칼,아퀼) 장비의 강화, 인챈트, 인크립트 개념등 

사실 모두 인게임 가이드북에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해당 글을 읽고서도, 인게임 가이드를 보고서도

모르신다면 더는 도와드릴 방법이 없습니다. 스스로 이해하려고 노력하시는 수밖에요..

인게임 가이드창입니다. 장비에 관한 모든 설명이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1. 데모닉 인퍼널 공통. 강화 개념

강화는 인챈트 개념과 다릅니다.

강화는 데모닉 장비와 인퍼널 장비의 공통 개념입니다.

강화는 무기, 갑옷에만 있습니다. 갑옷 강화는 피통(hp)을 늘려줍니다. (뉴비라면 각성엔칼갑옷이 가성비좋음.)

무기 강화는 보통 +7,8강 부터 각성(+11강)을 많이 씁니다. 

그러나 요즘 보스몹들의 방어력 하향, 체력 증가의 패치로 인해 강화로 인한 추가데미지의 효율이 많이 낮아져서

각성보다는 8강 정도 쓰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여유있으면 각성무기.

ex) 11타의 1대1스킬 총데미지 220만 (틱당 20만이라 가정) , 각성무기 추뎀 5만이라 가정시 총데미지 = 225만

11타의 1대1스킬 총데미지 220만 (틱당 20만이라 가정) , +8강 무기 추뎀 2만이라 가정시 총데미지 = 223만

 

- 1대1스킬 중딜이 0.1초로 짧아 각성추뎀이 타케릭에 비해 많이 꽂히는 녹턴은 무조건 각성무기를 끼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케릭터는 녹턴이 유일무이함.)

 

아래는 무기, 갑옷의 강화 창입니다.  

- 강화는 7강 까지가 대체적으로 잘되고 그 이상은 확률이 매우 희박하고 8강을 그냥 강화하려면 운에따라 수십괴는 깨집니다.

따라서 노패널티 강화권을 이용해서 강화하는것이 쌉니다. 노패 강화권은 키트템, 캐시템이고 거래소에서 구매가능.

 

*위에 창은 인벤토리 왼쪽 하단 '무기모양' 버튼을 누르면 뜹니다.

(의외로 이 것 조차 모르는 뉴비가 상당히 많음)

 

 

 

 

 

2. 데모닉 인퍼널 공통. 어빌리티와 랜옵

 

* 어빌리티

방어구 중 투구, 머리, 손, 다리, 무기에 어빌리티가 존재합니다.

투구 - 전 속성 공격력 10증가 (장비강화탭에서 시드로 적용)

머리 - 속성 20 증가 (장비강화탭에서 시드로 적용)

손 - 명중, 뎀증, 뎀추or단일공격력 (네냐플 장 뷔엥? 에게서 슬롯부여후 적용)

다리 - 이속, 회피 (위와동일)

무기 - 단일 공격력, 뎀증, 뎀추or단일공격력 (위와동일)

 

'고대 정령의 ~' 와 '심연의 ~' 두가지 어빌리티가 존재하고 현재 심연 어빌도 보급화되었기 때문에

심연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 부위별 가장 가치가 높은 것은 거래소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무기,손 어빌의 경우 유저들의 실험결과로 단일공격력을 올리는 것보다 뎀추 보조옵션을 다는 것이 데미지효율이 좋습니다.  

 

위 사진의 어빌로 인한 베기공격력 17 증가된 것은 "심연의 예리한 칼날 베기+13 뎀증 뎀추 와 예리한 칼날(上)" 를 박은 것입니다.

어빌 슬롯 1번째의 심예칼 어빌은 네냐플 장뷔앙이라는 npc 를 통해서 넣는 것입니다. *인벤토리 강화창에서 넣는게 아님.

무기 어빌의 경우 인벤토리를 통한 강화 창에서 적용 할 수있는 건 어빌슬롯2(예리한칼날上), 3 뿐입니다. 

슬롯3 폭풍의 칼날은 무기딜레이를 줄여주며 흔히 말하는 후무딜을 용이 하게 합니다.

1대1스킬을 무딜레이로 사용하게 끔 돕습니다. (후무딜 공식 = 스텟 어질, 장비 민첩보정 합 > 무기 딜레이*5) 

무기 어빌 슬롯2
무기 어빌 슬롯3

 

* 랜옵

테일즈위버의 장비 부위는 총 10개 입니다.

투구, 머리, 몸, 손, 다리 = 방어구 5셋 

무기, 갑옷, 손목, 효과, 아티펙트 

여기서 효과, 아티펙트를 제외한 8부위는 모두 랜덤옵션 효과를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데미지의 관여하는 부위는 투구, 몸, 다리, 무기, 손목으로 총 5가지 입니다. 

 

투구 - 일정확률로 단일 스텟 3*15초 증가

몸 - 피버 5% (공격시 일정확률로 피버발동, 1,2단계 피버는 올스텟20, 3단계피버는 일정시간 뎀증20%)

다리 - 일정확률로 추가뎀증18%

무기 - 일반보스 공격시 18% 뎀증 , 공격시 장비 강화석 사용 45% 추가뎀증, 5%확률로 물리피해 10%증가(마피증)

손목 - 후딜고정(특정캐릭 콤보사용, 콤보시 뎀증 30% 회피50% 중딜50 감소), 단일 공격력 25증가 = 25% 증가

(찌르기,베기,물리복합,마공,마방) 

무기 랜옵 최상 = '강대작' 이라고 부름

 

랜옵은 강화탭에서 적용가능하지만 수치가 랜덤으로 적용되므로

보통 최상옵션수치를 확정적으로 달기 위해서는 찬란, 강대 전이석을 사용합니다. (키트템, 유저들 or 거래소 구매해야 함.)

 

*랜덤옵션 전이? 찬란 강대 전이석 사용법 링크
https://m.dcinside.com/board/talesweaverm/1912

 

 

 

 

 


 

 

 

3. 데모닉 장비의 인챈트

아래 사진을 보시면 베기 공격력 261 이라는 수치는 220 + 17 + 24 의 총 합 입니다.

사진그대로 어빌로인한 인챈트 수치가 17, 직접 인챈트한 수치가 24 라는 말입니다. 보통 24작이라고 부릅니다.

*강화랑 인챈트랑 다른 용어입니다. 헷갈리지 마세요.

데모닉과 인퍼널은 '인챈트'의 방법이 서로 다릅니다.

 

데모닉 장비를 강화를 하기 위해선 '데모닉 장비 강화석' 이 필요합니다.

이는 프라바 전초기지의 '베리넨 루미' 라는 필드 중앙에서 출현하는 보스몬스터인 골모답, 골론을 잡고 얻는

데모닉 장비를 프라바 전초기지 NPC 제리에게서 산 '비아누의 흔적'을 통해 갈아서 얻습니다.

(뉴비분들을 위해 최대한 자세히 적으려 노력했습니다.. 많이 쉬운내용이지만 번거로운....)

골모답, 골론 시간은 찾아보시고, 해당 시간에 한대만 때려도 데모닉 장비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아무튼 이 과정을 통해 얻은 데장강으로 데모닉 장비를 인챈트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직접 인챈트 하는 것은 비추천 드립니다.인챈트를 일부러 '강화'라고 적지 않았습니다.

 

데모닉 장비 강화석, 일명 '데장강'을 데모닉 장비 1부위에 바르면 성공시 +1이 인챈트됩니다.

EX) 77데모닉 + 1데장강 인챈트 성공 = 78데모닉

220데모닉 무기 + 24번의 인챈트 성공 = 244데모닉 무기(보통 24개 성공하려면 운에따라 다르지만 데장강 최소 600~800개소모)

 

방어구의 경우 108 데모닉을 만들기 위해선 노작 최대값 77 에서 +31인챈트를 해야 하는데, 확률이 후반가면 2프로도 안돼서

운에 따라 필요한 데장강의 수는 천차만별로 다릅니다. 많이 손해보고 만들게 될 수 있어서 데모닉 직작은 절대 추천드리지 않아요.

 

골모답, 골론에게서 드랍되는 데모닉 장비는 기본 옵션이 모두 랜덤으로 나오고 바꿀 수 없습니다.

인퍼널 장비와 다르게 매직 리폼 안됩니다. (매직 리폼은 기본옵션을 랜덤으로 돌려서 수치를 다시 뽑는것을 말함)

 그래서 데모닉 장비는 최대한 기본옵션 최대치에 가까워야 값어치가 있습니다. 

ex) 모든 단일무기 종류의 최대값 220 공격력 = 안버리고 쓰거나 거래소에 판다.

단일무기의 공격력 210 이하 = 데장강으로 갈아버림, 왜냐? 인챈트가 220+1이 되려면 노작최대값220까지 10인챈을 성공시킨후 +1인챈으로 221를 만들수있기때문. 옵션이 최대값에 가깝지않으면 그만큼 노작최대값까지 인챈을 더해야돼서 손해. 다시말해 골모답 골론에게서 드랍된 데모닉 장비는 노작최대값에 가까운 옵션이어야 값어치가있다.

 

드랍된 데모닉 장비가 값어치 있는지는 거래소 검색을 통해서 알 수 있으며,

인챈트 되어있지 않는 템 = 노작. 스스로 값어치를 판단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혼자 빠르게 판단하고 다른 것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데모닉 장비의 노작 최대수치는 아래 곰피키님의 네이버블로그에서 확인가능합니다.

https://m.cafe.daum.net/MagicWeaver/Q60A/14731

 

 


 

 

 

4. 인퍼널 장비의 인챈트

 

 

인퍼널(엔칼,아퀼) 장비들은 데모닉과 다릅니다. 원래는 이게 정석 템이고

데모닉이 단일 수치가 월등히 높은 기형적인 템입니다. 기본 옵션수치가 완전히 달라요.

인퍼널류 장비들은 매직리폼가능합니다. 인챈트도 인챈트 강화 주문서를 통한 +5,+6 랜덤 인챈 or +8,9,10 주문서로 합니다.  

또한 인챈트를 하면 합성횟수가 1회 까이기 때문에 '인크립트'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인퍼널 무기의 예시. Q. 몇인챈작일까요??? (정답:+66666688작 or 66665599작) 

 

** 해당 창들은 모두 아래와 같이 인벤토리 강화 창을 열고 해당 탭을 눌러서 적용 할 수 있습니다. 

 

 

*매직리폼

매직리폼은 아이템의 기본옵션을 랜덤으로 돌려서 수치를 다시 뽑는것을 말합니다. 시드가 소모 됩니다.

데모닉 장비는 안되지만 엔칼, 인퍼널, 아퀼루스 장비는 모두 가능합니다.

 

 

*인챈트

데장강을 이용해서 +1씩 인챈트하는 것과 달리,

인퍼널 장비들은 아래 창을 이용해서 인챈트 합니다.

랜덤으로 +5,+6은 깡 인챈트라고 부릅니다. '인챈트 강화 주문서'를 사용합니다. (거래소에있음)

보통 인퍼널 류 장비들이 +5+6 총 +11이 달려있으면 65작이라고 부릅니다. (55,65작은 보통 유저들이 '떡작' 이라고 부릅니다.)

+6+6의 +12가 달려있다면 66작, +5+5는 55작. 아시겠죠?

그럼 +8,+8은 뭘까요? 88작입니다. (30프로가 아닌 축복치없음 이 달린 주문서의 인챈트 1회 성공확률은 약 2프로)

8주문서 2개를 가지고 2번 인챈 성공한겁니다. 2프로의 확률을 2번 뚫은 셈.

(운에따라 다르지만 보통 3회 인챈시 5~15괴 소모됨. 진짜 운나쁘면 1개인챈트에도 30괴소모될 수 있음)

 

 

 

그렇다면 한계작은 그렇다면 뭘 의미하는 걸까요?

바로 이렇게 '인퍼널 장비 테일즈위버' 식으로 '키워드 테일즈위버'를 검색하시면 거의 모든 정보가 나옵니다.

곰피키님의 네이버 블로그에서 해당 장비들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본 템들의 옵션수치, 매직리폼 최대수치(유저들이 보통 옵션 최대를  룰완이라고 부름),

인챈트 최대수치를 확인할 수 있으니 꼭 직접 해보세요.

 

 

이를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인퍼널 헬름을 예로 듭니다. 공격력 오른쪽을 보시면 '인챈트(최대)' 가 보이시죠?

+24 로 되어있는 것이 해당 장비의 인챈트 최대 수치입니다.

그러므로 한계작이라는 것은 인퍼널의 경우 +24작이 되어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8+8+8 이죠

+6+6+6+6 일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8+8+8이 가성비가 좋습니다.

 

왜그럴까요. 합성횟수가 +6666은 기존2/4에서 2번 더 필요하고, +888은 1번만 더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 말은 인크를 2번해야 하는것과 1번만 해도 된다는 차이가 있다는 말과 같습니다.

이제 합성횟수와 인크립트 개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인크립트 

인퍼널류 장비에는 합성횟수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데모닉 장비에도 있긴한데 의미가 없습니다.

데모닉은 이런방식의 인챈트가 아니거든요.(이해못하셨다면 다시 위로가서 읽으세요)

 합성횟수는 인챈트를 할 수 있는 횟수를 의미합니다. 

곧 +8+8+8은 합성횟수 1/4 에서 3번 인챈트 하여 합성횟수 max가 된다는 뜻입니다. 

장비들은 기본적으로 2/4 합성횟수를 갖습니다. +8+8+8 로 +24 한계작을 만드려면

인크립트 1회를 성공하여서 합성횟수를 1회 추가하여야 합니다. 

맞습니다. 인크1회 = 합성횟수1/4 입니다.

인크2회를 하려면 합성횟수1/4 + 인챈트1회 = 합성횟수 2/4 상태에서 인크1회를 더 성공시켜야

인크2회 합성횟수 1/4가 됩니다. 합성횟수는 1이하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합성횟수 0/4 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음.)

 

이해가 되셨나요?

예를 들어 아퀼루스 장비를 한계작으로 만든다고 생각해봅시다.

아퀼루스는 인퍼널과 다르게 방어구의 경우 한계작 인챈트수치가 +30입니다.

+10+10+10 인챈트3번이 필요하죠. 10짜리 인챈트주문서 3개가 필요하고

해당 장비는 인크립트1회, 합성횟수 1/4 이여야 합니다. 

그러나 기본 장비는 2/4의 합성횟수를 가지고 있고, 아퀼루스는 노작장비만으로 600괴나 합니다.

인크립트는 30프로도 안되는 성공확률을 가지고 있어서 합성횟수를 낮추려면 도박을 하든지

상속이라는 개념을 이용해야 합니다. 보통 유저들은 도박을 안하고 상속을 이용하죠. 

뉴비들은 위한 가이드이므로 상속 개념이나 장비가 터지지 않는 비아누인크 등은 더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아무튼 여기까지 입니다.

데모닉과 인퍼널 장비의 강화, 인챈트, 인크립트, 어빌, 랜옵등의 개념들을 살펴봤습니다.

뉴비이고 위 내용들을 읽어봐도 잘 모르겠다 싶으시면 친절하게 운영진이 쓴 아래 가이드북 버튼을

인게임에서 찾아 꼭 눌러서 위 장비 개념을 숙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장비 인챈트, 강화 개념등을 모르면 장비 셋팅도 어렵습니다.

한두번의 질문 만으로는 이 많은 개념들을 숙지하기엔 한계가 있습니다.

직작 비용과 시세를 알아보는 데도 개념이 너무나도 중요합니다.

본인이 이게 비싼 템인지, 직작하면 손해는 안보는지 더 싸게 만들 수 있는지 판단하는 토대가 되므로

본 개념들을 다 숙지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그냥 템만 사서 될게 아닙니다. 

 

텔즈도 가이드북이 없지는 않아요.          쬐꼼해서 아무도 안찾아볼 뿐!

 


 

 

 

끝!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갸꾸르 | 작성시간 22.01.30 ㅇㄷ
  • 작성자모빅 | 작성시간 22.06.26 와우 복잡해~!
  • 작성자[하칸]아주고우냥 | 작성시간 23.02.12 감사합니다
  • 작성자바니걸리븐 | 작성시간 23.07.31
    댓글 이모티콘
  • 작성자[하칸]작구마 | 작성시간 23.08.18 강화정보ㅇㄷ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