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상식/지식 나눔방

[ 예쁜 말 바른 말 - (67) '메우다'와 '메꾸다' ]

작성자천신족|작성시간21.04.23|조회수511 목록 댓글 0

 

 

 

 

* 평일 낮에도 벚꽃 길을 가득 (메운, 메꾼) 시민들로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 코로나로 줄어든 매출을 빚으로 (메운, 메꾼) 자영업자들이 늘면서 갚기 힘든 빚이 무려 80조원에

  이른다고 한다.

위 두 문장에서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낱말을 골라 보세요. 첫째 문장은 '메운'만 정답이고, 둘째 문장

은 '메운'과 '메꾼'이 다 맞는 표현입니다. '메우다'와 '메꾸다'는 단어가 비슷해 일상생활에서 자주 틀리곤

합니다. 오늘은 두 낱말의 정확한 쓰임에 대해 알아볼게요.

'메우다'는 '뚫려 있거나 비어 있는 곳을 막히게 하거나 채우다'라는 뜻이 있어요. 예를 들면 '구덩이를

메우다', '원고지를 메우다' '공란을 메우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또 '어떤 장소에 가득 차게 하다'라는

뜻도 있어요. 예를 들면 '수천 명의 인파가 광장을 가득 메웠다'와 같이 쓰이죠. 그리고 '부족하거나

모자라는 것을 채우다'라는 뜻도 있답니다. 예를 들면 '업체들이 적자를 메우려고 애를 쓰고 있으나

코로나 상황에서는 한계가 있다'와 같이 써요. 마지막으로 '시간을 적당히 또는 그럭저럭 보내다'라는

뜻이 있어요. '하는 일이 없이 시간만 메우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처럼 쓰입니다.

'메꾸다'는 앞에서 설명한 '메우다'의 네 가지 뜻 중 '어떤 장소를 가득 채우다'라는 뜻을 제외하면 '메우다'

와 바꿔 쓸 수 있습니다. 원래는 '메우다'만 표준어였지만 2011년부터 '메꾸다'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기

로 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어떤 장소에 가득 차게 하다'라는 뜻으로 쓰일 때는 '메꾸다'로 바꿔 쓸 수 없고

'메우다'만 쓸 수 있습니다. 장소와 관련된 문장에서는 '메우다'만 맞는 표현이라는 걸 꼭 기억하길 바랍니다.

다음 예문을 보고 '메우다'와 '메꾸다'의 쓰임에 대해 더 알아볼게요.

 

〈 예문 〉

- 정해진 시간에 답안지를 메우기(메꾸기)가 쉽지 않았다.

- 인건비 상승으로 아르바이트생을 쓸 수 없어 부족한 일손을 메우려고(메꾸려고) 온 가족이 나섰다.

- 투명인간처럼 빈자리나 메우다(메꾸다) 오는 모임은 나가고 싶지 않다.

- 처음에는 무료한 시간을 메우기(메꾸기) 위해 시작한 붓글씨가 이제 하루 중 가장 즐거운 시간이 됐다.

- 코로나 상황에서는 결혼식장을 가득 메운 축하객의 모습을 보기 어렵다.

- 섬진강과 지리산 둘레길을 가득 메운 벚꽃을 내년에는 마음 놓고 구경할 수 있겠지?

 

 

 

 

[ 출처 : 글 - 류덕엽 교육학 박사, 서울양진초 교장 / 조선일보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