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긍정/부정적 발견법

작성자뿌시기| 작성시간22.09.29| 조회수426| 댓글 39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 화하하학// 작성시간22.10.01 지구과대장 벌컨이 임시변통적 가설이라는게 객관식 답이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10.01 화하하학// 벌컨과 해왕성 차이가 뭐라고 보시나요? 발견이 됐고 안됐고 그 차이밖에 없지않나요?
  • 답댓글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10.01 지구과대장 그 지문 몇년도 몇번 지문인지 알수있나요?
  • 답댓글 작성자 화하하학// 작성시간22.10.01 지구과대장 그 부분이 중요한 거라고 계속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모든 긍정적 / 부정적 발견법이 발견이 중요하다는게 아니라 두 사례에서는 발견이 되었느냐의 차이로 발견법이 결정되는 겁니다…..
    저는 아는선에서 다 이야기 했고 더이상은 진짜 논쟁만 될 것 같으니 각자 생각한대로 해석하는게 좋겠네요

    그리고 지금 과료론 교재가 없어 문제는 집에가서 댓글 달아드릴게요
  • 답댓글 작성자 화하하학// 작성시간22.10.01 지구과대장 https://m.cafe.daum.net/sci.edu/43S3/547?svc=cafeapp

    제가 기출변형문제를 풀어서 임시변통적 가설이다 라는 말이 답안에 있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네요
    기출상 동일 지문이 나왔고 기출해설강의에서 임시변통적 가설이며 라카토스 관점에서 부정적발견법이라고 언급해주셨습니다 .
  • 답댓글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10.01 화하하학// 해왕성=벌컨
    같은 방법, 그리고 해왕성은 긍정적 발견법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10.01 화하하학// 자료와 이론이 맞게끔 주장하는것이 긍정적 발견법
    자료=수성의 변칙궤도
    이론=뉴턴이론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10.01 지구과대장 검증이 불가능해서 임시변통적 가설이다? 실제로 관측으로 없다는걸 확인했습니다 관측으로 있고 없고가 명확히 드러날수있는 검증가능 가설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10.01 지구과대장 https://cafe.daum.net/S2000/63o/9303
    제가 올린 질문입니다 ㄱㅇㄱ쌤도 몇개 틀린 답을 말하기도 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 화하하학// 작성시간22.10.01 지구과대장 자료와 이론이 맞게끔 주장하는게 긍정적 발견법이다?
    이 말은 오류가 있네요. 핵을 보호하려고 도입되는 자료는 (가설) 당연히 이론이 맞게끔 주장하는 자료니까요.

    그리고 선생님께서 해왕성=벌컨이라고 하셨는데 정확하게는 해왕성을 발견한 방법=벌컨을 찾아낸 방법 이죠 . 벌컨이 해왕성은 아니니까요.
    동일한 방법으로 두 행성의 존재를 설명했으나 해왕성은 발견이 되어 천왕성의 궤도 문제 (R2)가 해결되었죠. 그래서 긍정적발견법인 겁니다. 또한, 벌컨은 발견되지 않았기에 여전히 뉴턴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수성의 궤도문제(R2)가 해결되지 않고 남아있게되죠 . 그래서 부정적 발견법입니다.

    그리고 없다는걸 확인해서 없다는 것이 발견된게 어째서 검증을 했다는건지 모르겠네요.
  • 답댓글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11.09 화하하학// https://m.cafe.daum.net/S2000/63o/9359
  • 답댓글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11.09 지구과대장 https://m.cafe.daum.net/S2000/63o/9335?searchView=Y
  • 답댓글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11.09 화하하학// 차근차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09.29 흠 저는 긍정적 발견법이라고 보는데요, 변칙사례를 기존 핵(뉴턴이론)으로 설명하기 위해 보호대를 수정한 것이라고 생각해서 그래요
    부정적발견법은 변칙사례를 무시/제외하기 위한 방법으로 알고있습니다.. 수성의 궤도를 관측하는데 오차가 있었을 것이다 같은거요..
    변칙사례인 수성궤도를 기존 핵으로 설명하려고 했으므로 긍정적 발견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핵이 강화되거나 보호성공하면 전진적프로그램이 되는것이고 실패하면 퇴행적이고…
  • 답댓글 작성자 뿌시기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2.09.29 저도 선생님 의견과 같이 생각했네요..!!
  • 답댓글 작성자 그해우리는 작성시간22.09.30 저ㅓ도 이분과 같은 생각입니다
  •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09.29 2022 화학 A 5번에서 (가)가 긍정적 발견법인데요 멘델은 변칙사례인 채워지지않은 빈자리를 핵인 주기율표로 설명하기위해 새로운 원소들이 발견될거라고.. 빈자리가 잘못된게 아니라는 주장을 했었죠 변칙사례를 설명하기위한 주장이므로 긍정적 발견법이라고 그러더군요
  • 답댓글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09.29 앞으로 발견될것이다! 라는게 어찌보면 임시변통적일수도 있어보이나 긍정적 발견법은 맞아보여요
  • 작성자 담대하게 :) 작성시간22.09.30 만약 최종적으로 "발견되었다"는 말이 있었다면 긍정적 발견법이지만 , 관찰되지도 않고 미해결된 상태이므로 임시변통적 가설로 보는게 맞는 것 같아요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