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과학교육론

교육과정 내용체계 기능 질문

작성자최기웅|작성시간22.11.12|조회수456 목록 댓글 7

세번째 질문에 대하여 저는 (마)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라)에서 우점종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도출하였기때문에 '자료의 수집,분석 및 해석' 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모범답안에서는 각 식물 종의 밀도, 빈도, 피도 등을 구하여 상대 밀도, 상대 빈도, 상대 피도를 계산하고, 이를 합하여 중요치를 구하고 우점종을 결정하는 과정에 수학적 사고가 요구되기 때문에  '수학적 사고와 컴퓨터 활용'이 답이라고 제시해주었습니다. 

사실 답을 읽고나서는 아 그렇구나 하면서 이해가 가지만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이 둘을 구분하기가 까다로운 것 같아서요.. 혹 제가 작성한 것 처럼 자료의 수집, 분석 및 해석으로 접근을 한 것은 적절하지 못할까요? 그렇다면 어떤 점에서 이를 구분할 수 있을지 피드백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혹시나 이런 내용체계 '기능'에 대해서 선생님들은 어느정도까지 보고계신지나 어떻게 대비를 하면 좋을지 자유롭게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생물친구 | 작성시간 22.11.13 양쌤께서 윗분 말씀처럼 상대 밀도, 빈도, 피도 를 계산해야 해서 수학적 사고가 요구된다고 하셨어요!
    수학적사고가 요구되는건 생물에서 딱 두 경우래요! 칼로리계산, 방형구법
    이 두 경우만 수학적 사고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당 ㅎㅎ
  • 답댓글 작성자최기웅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11.13 아 감사합니다!! 그렇게 예시를 기억하고있으면 되겠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최기웅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11.23 모범답안에 따르면 탐구기능은 측정이고, 방형구를 이용하여 단위를 붙일 수 있는 개체 수와 피도를 재어 기록하는 활동이 포함되어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