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과학교육론

협동학습모형 직소

작성자할수이따아|작성시간23.07.21|조회수196 목록 댓글 5

직소모형 마지막 단계에서 모둠원에게 같은 점수를 주는 이유는
긍정적 상호의존성을 높이기 위해서 일까요 아니면
집단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구성원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는 개별책무성을 갖기 위함일까요?

답변주시는 선생님들 미리 감사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뜨거우 | 작성시간 23.07.21 직소모형2에서 집단보상해서 긍정적 상호의존성을 높인다고 ㄱㅌㅇ 심화강의 필기에 되어있습니다.
    구성원 모두의 성취를 도와 집단점수를 높게 받기 위해 노력하니까, 긍정적 상호의존성이 높아진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할수이따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3.07.23 감사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hemoglobin | 작성시간 23.08.22 선생님 직소모형에서 과제분담 단계는 어떤걸로 보시나요? 긍정적 상호의존성? 개별책무성? 의견이 다소 분분하네요
  • 답댓글 작성자뜨거우 | 작성시간 23.08.22 hemoglobin 과제분담 단계는 개별적 책무성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이게 애매하긴 한지, ㄱㅌㅇ 필기에도 <전문가 집단 형성,활동 : 과제,역할분담- 개별적 책무성 가장 많이 요구>라고 되어있습니다.

    일단 제가 개인적으로 정리한 건
    전문가집단 형성 단계에서 과제를 분담하여, 개인이 학습해야하는 책임을 부여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부여한 후에 그 책임에 따라 학습, 책임에 따라 학습을 해야, 최종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서로 협력 가능)
    그래서 전문가집단 형성, 활동에 개별적 책무성이 부여된다고 정리했습니다.
    긍정적 상호의존성은 상대의 학습이 자신의 학습에도 도움이 되는 과정에서 부각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집단보상, 동료교수 과정이 긍정적 상호의존성이 크게 부여된다고 정리해놓았습니다.

    그런데 역할분담이나 과제분담은 말을 붙이기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공동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제를 분담하고 책임을 부여하게 되면
    책임에 따라 학습한 후 서로 도와, 최종학습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긍정적 상호의존성이 나타나게 되니까요.
    일단 개별적 책무성으로 정리하고, 문제의 출제의도에 따라 작성하려고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hemoglobin | 작성시간 23.08.22 뜨거우 답변 감사해요 애매한 측면이 있지요
    전문가모둠형성은 명확하게 개별책무성이고...과제분담은 모둠내 다른학습자가 과제를 나누어 맡는 측면에서 서로의 학습을 돕는다고 보면 긍정적 상호의존성도 가능하다 싶어요

    그런데 맡은 과제를 해결한다는 측면으로 생각하면 개별책무성도 가능하고요

    타과목에서 이부분이 나와서 고민이 되었습니다 답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