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2022 생물 A7 탐구과정 요소

작성자Fine| 작성시간23.07.23| 조회수0| 댓글 10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올해는 기필코. 작성시간23.07.23 화학에서도 다루는거 같네요?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Fine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3.07.23 헉 그러네요 ! 통합탐구과정에 포함되는걸까요?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작성자 뜨거우 작성시간23.07.23 생교론 강의에서 통합탐구과정으로 6가지 언급하고, 가설설정 단계 설명하실 때 조작적 정의 언급해주십니다.
    생물전공이라, 생물에서만 추가로 하는 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가설 설정하면서 그 가설을 (실험 등을 통해)확인할 수 있도록 정의하는 것이 조작적 정의이므로, 함께 알고 있어야하지 않을까요?
  • 답댓글 작성자 Fine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3.07.23 아하 저도 구분해둬야겠어요
    가설설정과 가장 밀접하다고 생각했는데, 조작적 정의를 답으로 요구할 줄은 몰랐지 모예요..! 답변 감사합니다~!~!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작성자 고닌 작성시간23.07.30 가설 설정은 관찰내용을 바탕으로 이론적인 거를 구성하는 과정이구요
    ex) 식물에게 빛을 많이 제공하면 광합성량이 증가할거야
    조작적 정의는 기준을 해당 실험에서 어떠한 형태로 정의할지에 관한 것입니다
    ex) '이 실험'에서 광합성량은 식물의 무게 증가량이라고 할게! (이 실험에서는 광합성량을 식물의 무게로 측정하겠다는 뜻)

    그러니까 조작적 정의는 그 자체만으로 이론에 영향을 주지는 않겠죠..!
  • 답댓글 작성자 Fine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3.07.30 네에 우선 답변 감사합니다
    둘의 개념을 모두 알고 있고 문제도 이해는 됐는데 조작적 정의가 기초/통합탐구과정에 포함되는 것인지 궁금하다는 질문이었어요 ..!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