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Re : 은하들의 스펙트럼 분석 비교

작성자갤럭시|작성시간24.05.05|조회수82 목록 댓글 2

설명해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타원은하와 나선은하의 측광 특성을 비교해 보면, 타원은하는 나선은하에 비해 더 붉은 경향이 있고, 나선은하는 불규칙은하에 비해 더 붉다. 붉은 경향은 타원은하 > 나선은하 > 불규칙은하 순이다. 늙은 종족과 젊은 종족이 둘다 나선은하에 존재하나 Sa형(조기형)에서 Sc형(만기형)으로 갈수록 젊은 별인 종족I의 비율이 증가한다. 은하로부터 오는 가시광의 대부분은 은하 내에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거성에 의한 것이다. ‘거성’이나 ‘초거성’은 비록 그 숫자가 적지만 은하로부터 오는 빛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주계열성은 그 숫자가 제법 많아도 ‘거성’이나 ‘초거성’의 밝기에 비하면 약하기에 은하의 밝기는 ‘거성’이나 ‘초거성’의 밝기가 좌우한다.

 

타원은하와 Sa(조기형나선은하의 대부분의 거성은 K형별이기에 은하의 분광형은 적색편이된 K형별과 매우 유사하다. Sc(만기형나선은하으로 갈수록 G형별이나 F형별쪽으로 분광형이 이동한다. 즉, 타원은하 → Sa형(조기형) 나선은하 → Sc형(만기형) 나선은하으로 갈수록 은하의 분광형은 K형별(상대적으로 붉다) → G형별 → F형별쪽으로 분광형이 이동한다. 타원은하는 종족II와 늙은종족I의 별들이 많고, 나선은하는 종족II와 늙은종족I, 젊은종족I의 별들이 많으며, 불규칙은하는 약간의 종족II와 대다수의 종족I의 별들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한다. 여기서 혼동하지 말아야 할 것은 별의 분광형에서는 고온의 별인 O, B형 별을 조기형 별이라 하며, 저온의 별인 K, M형 별을 만기형 별이라 한다. 하지만, 은하의 분류에서는 Sa형이 조기형 나선은하이며, Sc형이 만기형 나선은하인데, Sa형(조기형)에서 Sc형(만기형)으로 갈수록 젊은 별인 종족I의 비율이 증가한다.

 

천천서 479면에 의하면, 타원은하의 경우 종족II와 늙은 종족I이 많고 성간티끌이 거의 없다관측하는 은하 내부의 소광에 의한 보정시 타원은하의 경우 성간티끌이 거의 없기에 나선은하의 경우만 보정하면 된다. 타원은하의 경우 성간물질 중 성간티끌이 거의 없다는 것은 성간물질 중의 성간기체도 나선은하에 비하여 적게 분포한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타원은하는 새로운 별이 생길 수 있는 성간기체 및 성간티끌이 상대적으로 적게 분포하고, Sc형의 만기형 나선은하일수록 새로운 별이 생길 수 있는 성간기체 및 성간티끌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방출성운에서 Hα, Hβ 및 금지선 [OII](3727Å), [OIII](4959Å, 5007Å) 방출선을 관측할 수 있고, 방출성운은 새로 형성된 젊은 고온의 O형, B형이 중심에 위치할 때 해당한다.

 

NGC 7512 타원은하의 경우 방출선은 없고 이온화된 칼슘선, G밴드영역(CN분자), 중성마그네슘의 흡수선이 두드러진다는 것은 방출성운의 환경 조건처럼 성운의 중심에 고온의 중심별이 방출하는 강력한 복사의 영향으로 빛을 발하게 되는 기체 구름이 거의 없기 때문에 방출선이 관측되지 않을 수 있다. 방출성운은 새로 형성된 젊은 고온의 O형, B형이 중심에 위치할 때 해당한다. 타원은하는 종족II와 늙은종족I의 별들이 많은 편이기에 상대적으로 새로 형성된 젊은 별들은 드물 수 있다. 반면에 나선은하의 경우 늙은 종족과 젊은 종족이 둘다 나선은하에 존재하나 Sa(조기형)에서 Sc(만기형)으로 갈수록 젊은 별인 종족I의 비율이 증가한다.

 

[결론]

따라서 타원은하는 새로운 별이 생길 수 있는 성간기체 및 성간티끌이 상대적으로 적게 분포하고, Sc형의 만기형 나선은하일수록 새로운 별이 생길 수 있는 성간기체 및 성간티끌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방출성운에서 Hα, Hβ 및 금지선 [OII](3727Å), [OIII](4959Å, 5007Å) 방출선을 관측할 수 있고, 방출성운은 새로 형성된 젊은 고온의 O형, B형이 중심에 위치할 때 해당한다.

 

자세한 내용은 임용지구과학 카페에 업로드되어 있기에 살펴볼 수 있습니다.

 

링크 https://cafe.daum.net/edu-es

 

* 천천서의 주요 식 유도와 개념에 대하여 자세하면서 친절하고 이해하기 쉽게 해설해 주는 2024B(천문) 및 천체과학 다년간의 최신 기출해설을 제공하는 2025B(천문) 강의가 최종임용합격을 바라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대학 지구과학개론(최신판)이 2024년 3월2일자로 출간되어 소개합니다. 총 939면에 달하며, 최근 몇 년간의 임용 기출에 나왔던 그림들과 내용들의 상당한 부분이 대학 지구과학개론(최신판) 책에 나옵니다. 따라서 임용대비를 위해 필수적으로 이 책을 구매하여 살펴보면 임용 성적을 올리는데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천정 | 작성시간 24.05.07 정말 감사합니다^^
  • 작성자갤럭시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4.05.10 최종 임용합격하는 날이 속히 오기를 바랍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