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용어 정리

모성 간호 용어

작성시간09.08.18|조회수1,151 목록 댓글 0

 

1. 여성 생식기 해부, 생리에 관련된 용어 및 약어
1) true pelvis : 진골반 - 출산시 태아가 지나가는 통로를 형성
2) hymen : 처녀막 - 여성생식기의 외부와 내부를 구별하는 곳으로 질구에 자리잡고 있으며, 얇은 점막의 지방질로 되어있다.
3) birth canal : (자궁, 음부, 질 등) 산도
4) true conjugate : 진결합선 - 치골결합 상연에서 천골갑까지의 일직선상의 연결된 길이
5) diagonal conjugate : 대각 결합선 - 치골결합 하연에서부터 천골갑까지의 길이
6) pelvic inlet : 골반입구
7) pelvic outlet : 골반출구
8) mid pelvis
9) ischial spine : 좌골극
10) vulva : (여자의) 외음부, 음문
11) bartholin's gland : 바르톨린샘 - 질 바로 밑에 있는 2개의 분비기관으로 성적 자극이 있는 동안 다량의 점액물질을 배출하여 질 주위를 축축하고 윤활하게 한다.
12) labia majora : 대음순 - 불두덩에서 회음부까지 양측 앞뒤로 길게 뻗어 있는 두꺼운 주름으로 지방조직이 많고 결합조직으로 되어 있며, 외면에는 음모가 많이 분포되어 있다.
13) labia minora : 소음순 - 대음순 안쪽에 위치하여 지방조직과 점막으로 덮여 있으며 모낭이 없고, 성적 흥분시 붉어지는 기관
14) clitoris : 음핵 - 작은 발기성 조직으로서 자극에 매우 민감하며, 남성의 음경에 해당하는 기관이고 혈관분포가 많아 혈액공급이 잘 된다.
15) perineum : 회음, 회음부 - 음순후 연합부에서 항문까지의 삼각으로 된 근육체
16) perineal body : 회음체 - 회음의 중심 힘줄
17) vagina : 질 - 외음에서 자궁까지 통하는 한개의 근육관으로, 하방에서 상방으로 뻗어 있으며 질의 전방에는 요도와 방광이 위치하고, 후방에는 직장이 있다.
18) fomix : 질원개 - 경관이 질 상부에 삽입된 부분의 공간
19) external os
20) internal os
21) isthmus : 협부
22) cervix : 경부, 자궁 경부
23) uterus : 자궁 - 두꺼운 막으로 된 근육기관으로 월경을 하게 하고, 수정란을 자궁내막에 착상시켜 임신을 유지시키며 임신에서 분만까지 태아를 잘 자라게 한다.
24) endometrium : 자궁내막 - 자궁의 내측 점막으로 임신 시 탈락막이 된다.
25) myometrium : 자궁근층
26) fallopian tube : 나팔관, 난관 - 근육으로 된 관으로 자궁의 간질부에서 양쪽으로 소까지 뻗어 있으며, 난소의 배설관 역할을 한다.
27) ampullary portion : 팽대부
28) ovary : 난소 - 자궁후면의 광인대 상부 양쪽에 각각1개씩, 난소간막과 난소인대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편도모양의 기관으로, ovum을 발육. 배출시키는 내분비작용을 한다.
29) round ligament
30) broad ligament
31) mantgomery's glands
32) ovum : 난자 - ovary에서 성숙되는 생식세포
33) graafian follicle : 그라피안 난포
34) corpus luteum : (ovary의) 황체
35) corpus allbicans : (ovary의) 백체
36) ovulation : 배란 - 난세포의 주기적인 성숙과 성숙한 난포막의 파열로 난자가 나팔관 근처의 복강내로 배출되는 것
37) sperm : 정자
38) conception : 임신, 수태 - 난자와 정자가 수정된 것
39) menstruation : 월경 - 가임기간동안 비임신 여성의 자궁으로부터 혈액, 점액, 상피세포등 을 포함한 분비물이 질을 통해서 배출되는 현상으로서, 임신기간을 제외하고 보통 4주 간격으로 반복된다.
40) menarche : 초경 - 월경기능의 개시 또는 시작
41) menopause : 폐경 - 월경이 종식되는 시기로서 보통 48~52세 정도에 나타남
42) amenorrhea : 무월경 - 월경이 없는 것으로 월경을 해본 적이 없는 1차적 무월경과 월경이 있다가 없어진 2차적 무월경이 있다.
43) F.S.H.(folicle stimulating hormone)
: 난포자극호르몬 - 성숙난포의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생식선자극 호르몬
44) L.H.(lutenizing hormone)
: 황체호르몬 -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난포의 완전한 성숙과 배란에 관여한다.
45) I.C.S.H.(interstital cell stimulating hormone) : 간질세포자극 호르몬
46) H.C.G. hormone(human chorionic gonadotrophic hormone)
: 융모성선자극 호르몬 - 황체로부터 분비되고, 임신시 태반으로부터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임신시 엄마의 소변으로 배설되기 때문에 임신진단을 가능하게 해주는 지표가 된다.
47) fertilization : 수정, 수태
48) trophoblast
49) blastocyst : 포배 - 수정란이 배아로 발달하느 과정 중, 세포성분이 한쪽 극으로 모이고 액체성분이 그 주위를 둘러싼 구조를 띠는 세포 단계
50) morula
51) implantation
52) chorion : 융모막 - 양수주머니의 가장 바깥쪽 막
53) chorionic villi : 융모막 융모 - 모체와 태아사이에서 영양물질, 가스, 대사산물 등과 같은 물질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곳으로, 가늘고 가지처럼 돌출된 모세혈관을 포함하는 융모막 구조
54) amnion : 양막 - 태아를 둘러싼 막 중에 가장 안쪽에 있으며, 태아와 양수를 함유하고 있다.
55) placenta : 태반, 태자 - 수정란이 착상된 이후 자궁 내에 존재하는 둥글고 편평하며, 혈관분포가 많은 구조로 융모를 갖고 있으며 탈락성 구조이다. 태반은 모체와 태아를 연결하며, 자궁과 영양 세포층의 혈관부착을 통해서 호르몬이나 영양물질 또는 노폐산물의 교환 등에 관여한다.
56) embryo : 배아 - 수정 후 약 2주부터 8주까지의 기간동안 발 생분화하고 있는 생체
57) fetus : 태아 - 수태 후 8주로부터 태어날 때까지 자궁 안에 있는 태아
58) estrogen : 일차적으로 난소에서 분비되며, 부신피질에서 분비되기도 하 는 여성 호르몬으로, 여성의 2차 성징을 발현시키며 월경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수정란의 수정과 착상을 위해 여성 생식기계를 준비시키는 중요한 스테로이드 호르몬
59) progesteron : 황체, 부신피질,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수정란이 자궁내막에 착상하고 발달할 수 있도록 자궁내막을 준비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60) testis : 고환
61) epidydimis : 부고환 - 부위에 따라 기능이 다른데, 두부는 흡수와 분비기능을 갖고 있으며, 체부는 외부로부터 체액의 유입, 미부는 흡수와 분비 기능이 미약하게 있다.
62) penis : 음경, 남근 - 해면조직으로 된 3개의 원주로 구성되며, 음낭과 같이 피하지방이 없다.
63) scrotum : 음낭 - 주름진 주머니 같은 구조이며, 근육과 근막으로 된 음낭내의 중격에 의하여 각각 분리되어 있고, 각각에는 하나의 고환, 부고환, 정관을 포함하고 있다.
64) testosteron : 테스토스테론 - 남성호르몬
65) seminiferous tubles
66) seminal vesicle : 정낭 - 남성의 내부성기로, 부속 성선에 속함
67) prostate : 전립샘 - 남성의 내부성기로, 부속 성선에 속함
68) acini cell
69) leydig cell

2. 임신과 관련된 용어
1) pregngant : 임신
2) abortion : 유산 - 태아의 생존력이 있기 이전에 임신이 종결되는 것
3) antepartum : 분만 전
4) umblical card : 제대 - 태반과 태아사이에서 둘을 연결시켜주며. 태아에게 영양물질을 공급해 주고, 태아의 노페산물이 제거되는 통로가 된다. 두 개의 동맥과 두 개의 정맥
5) Warton's jelly : 환톨젤리 - 제대를 구성하는 젤리와 같은 성질의 점액성 물질
6) ductus venosus : 정맥관
7) foramen ovale : 난원공, 타원구멍
8) I.U.P.(intra uterine prenancy) : 자궁 내 임신
9) I.U.G.R.(intra uterine growth retardation)
: 자궁 내 태아성장 지연 - 임신 40주만에 태어난 신생아의 체중이 2500gm미만 또는 신생아 체중 성장 곡선이 나신장 성장 곡선 상 발육정도가 10%미만에 속할 때
10) L.M.P.(last menstrual period) : 최종 월경기
11) P.M.P.(previous menstrual period) : 직전 월경기
12) still birth : 사산
13) G.P.L.A.(gravida, para, living baby, abortion)
임산부, 산부, 생존자녀 , 유산
14) E.D.C.(expected date of confinement) : 분만 예정일
15) G.P.(gestational period) : 임신기간
16) primigravida : 초임부 - 처음 임신을 한 여성
17) primipara : 초산부
18) multipara : 경산부 - 분만 시 출산한 아기의 생존여부에 관계없이 2회 이상이 이전의 출산경험이 있는 여성
19) probable sign : 임신의 가능징후, 임신의 반 확정
20) postive sign : 양성 징후
21) Braxton-Hicks contraction : Braxton-Hicks수축 - 임신기간동안 나타나는 간혈적인 무통성 자궁수축으로 복부촉진으로 알수 있으며, 태아에게 산소와 영양공급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22) Chadwick's sign : 체드윅 증후군 - 혈류의 증가에 의해서 질벽과 질전정부위 색깔이 자청색으로 변하는 것으로 임신을 추정 할 수 있는 증상
23) Goodel's sign : 굳델 증후 - 임신을 예측할 수 있는 증상으로서 질과 자궁경부가 부드러워지는 증상이며. 양손 검진법으로 확인 할 수 있다.
24) Hegal's sign : 헤갈 증후 - 임신을 예측할 수 있는 증상
①hemolysis(용혈), ②elevated liverenzyme(간효소의 증가), ③low platelecout(감소된 혈소판수)
25) H.O.F.(height of fundus) : 기저부의 길이
26) quickening : 태동 - 태아의 움직임이 인지되는 것으로 보통임신 16-18주 사이에 나타남
27) chloasma : 간반, 갈색반
28) linea nigra : 흑선
29) ballotmemt
30) morning sickness : chloasma 간반, 갈색반
31) heartburn : 흉통
32) varicos vein : 정맥류성 정맥
33) maternal(patrenal)-fetal attachment : 태반-태아 부착
34) maternal(patrenal) role attachment
35) couvade syndrome
36) H-mole(hydatidform mole)
37) placenta previa : 전치태반 - 태반이 자궁의 하부 또는 개구부에 부착한 것으로 그 결과 태반이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무통 출혈이 가장 흔한 증상
38) abruptio placenta : 태반조기박리 - 분만이 진행되기 이전에 조기에 자궁내벽으로부터 태반이 부분적 또는 완전히 분리되는 것
39) cervical incompetent : 경관 부전
40) hyperemesis gravidarum : 임신 입덧
41) ectopic pregnancy : 자궁 외 임신 - 나팔관이나 복강 등과 같이 자궁강 이외의 부위에서 수정란이 착상되는 것
42) eclampsia : 자간증 - 임신성 고혈압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
①고혈압, ②단백뇨, ③부종 + 경련, 혼수
43) preecalampsia : 자간전증 - 임신기간동안이나 산욕초기에 나타나는 중독증상 ①고혈압, ②단백뇨, ③부종
44) P.I.H.(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 임신 유도성 저혈압

3. 분만과 관련된 용어
1) labor : 진통
2) delivery : 분만
3) premature labor : 조산
4) fetal head suture : 태아 두부 용상
5) fetal lie : 태위 - 태아의 장축(척추)과 모체의 장축의 상호 관계
6) fetal attitude : 태세 - 태아의 신체 각 부분 (머리, 몸통, 사지의 상호 관계)
7) presentation : 선진부 - 자궁 내부의 내측구와 가장 가까이 닿아있는 태아 부분으로 질내 진시 손으로 확인 할 수 있다.
8) position
9) cervical effacement : 분만시 자궁경의 폐색으로 얇은 외부구만 남는 현상. 즉 자궁경의 길이가 짧아지는 현상
10) cervical dilatation : 경관 개대 - 분만이 진행되는 동안 자궁 입구가 구멍 같은 형태에서 태아가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약10cm정도까지 커지는 것.
11) station
12) B.O.W.(bag of water) : 양막
13) show : 분만 전 출혈 - 분만 도는 월경의 전징으로 나타나는 출혈.
14) vertex : 두정 - 머리 마루 점.
15) breech : 둔부
16) Freiedman curve : 프리드만 곡선
17) bearing down sensation : (골반부의 질환으로 인한) 중압감
18) push : 밀어내다
19) appearing : 외관, 출현
20) crowning : 발로 - 분만 시 선진부의 가장 큰 경선에 의해 회음부가 확장되는 상태로 자궁수축이 없어도 다시 선진부가 자궁내로 들어가지 않고 양음순 사이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
21) episiotomy : 회음절개술 - 태아 반출시의 불규칙한 산도의 열상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질구를 크게 하기 위해 질구와 회음부를 외과적으로 절개하는 것
22) meconium : 태변 - 태아나 신생아의 장내에 있는 암녹색의 점액성 물질, 분만시 양수에서 발견되면 태아가 가사상태(distress)임을 보여줌.
23) tocograpy : 출산기로
24) N.S.T.(non stress test)
: 비자극 검사 - 태아의 안녕상태를 말해주는 검사로서 태동이 있을때 태아 심박동수의 증가여부를 외부 태아감지기를 사용하여 확인하는 것
25) C.S.T.(contraction stress test)
: 수축반응 검사 - 자연적으로 자궁 수축이나 옥시토신으로 자궁수축이 있는 동안 태아 심박동수를 평가하는 검사로서 진통이 있기 전에 태아의 산소보존 능력을 보는 검사.
26) F.A.S.T.(fetal acoustic stimulation test) : 태아 청각 자극 검사
27) fetal distress : 태아 가사 - 분만 전 또는 분만 중에 태아의 빈맥이 유발되고, 활동력이 감소되며 후기 감퇴나 다양한 감퇴 증상들이 반복되는 것
28) molding : 주형 - 분만시 태아가 산도의 크기와 형태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태아의 두개골이 겹쳐지는 현상.
29) caput succedaneum : 산류 - 진통동안 압박을 받아 태아머리에 생긴 부종.
30) fontanel : 천문
31) lanugo : 솜털 - 태아의 손바닥과 발바닥을 제외한 신체의 모든 부분에 분포하는 미세하고 부드러운 털.
32) vernix caceosa : 태지 - 양수로부터 태아를 보호하기 위해 태아의 몸을 덮고 있는 지방성분으로 된 치즈와 같은 얇은 막.
33) Apgar score : 신생아의 가장 즉각적인 반응을 사정할 수 있는 유용, 흔히 사용하는 방법으로 점수가 낮을수록 건강에 문제가 있음
34) C/S.(cesarean section) : 재왕절개술 - 복부를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
35) PROM(premature rupure of membrane) : 조기파막
36) prolapse of cord : 제대탈출 - 아두 만출전에 제대가 선진부 앞부분으로 밀려 내려오는 것.
37) atony : 무 긴장증 - 정상의 긴장이 결여 된 것.
38) dystocia : 난산 - 태아측 요인 또는 모체측 요인으로 인해 분만과정이 지연되거나 분만이 어려운 것.
39) C.P.O (cephalo pelvic disproportion)
: 아두골반불균형 - 아기의 머리가 엄마의 골반을 통과하기 부적절하게 큰것

4. 산욕과 관련된 용어
1) postpartum : 분만후의
2) puerperium : 산욕기, 산후
3) maternal-ianfant bonding : 모아간의 유대
4) maternal infant interaction : 모아간의 상호
5) taking-in phase : 소극기 - 분만 후 첫 2∼3일동안 산모의 특성
먹고 자는 것이 중요
6) taking-hold phase : 적극기 - 산욕 3∼10일, 분만으로 인한 피로가 차츰 회복되고 모성으로서의 역할을 포착하여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수행하려고 노력하는 시기
7) postpartal blue : 산후 우울 기분
8) rooming-in : 모자동실 - 출산 후부터 산욕기간동안 엄마와 신생아를 한방에 머물게 하는 것
9) engorgement : 노장, 충혈
10) lactation : 수유
11) breast dryed up
12) colostrum : 초유
13) involution : 퇴축 - 분만 후 정상의 크기로 되돌아가는 생식기의 축소변화
14) afterpain : 후진통
15) postpartum chill : 분만후 오한
16) inertia : 무력증 (inertia uteri 자궁무력: 진통시 자궁수축이 자하된 상태)
17) residual urine : 잔뇨
18) lochia : 오로 - 분만 후 제1주 또는 2주 사이에 나타나는 질 분비물
19) puerperal fever(puerperal infection) : 산욕열 (산욕감염)
20) inversion : 내번증 (inversion of uterus 자궁내번증 : 자궁내면이 외측으로 되고 저부가 경관에서 밀려나 질내 또는 질외에 돌출하는 것)
21) pulmonary embolism : 폐경색
22) mastitis : 유방염, 유선염
23) thromboplebitis : 혈전 정맥염
24) endometritis : 자궁 내막염

5. 부인 질환과 관련된 용어
1) dysmenorrea : 월경곤란 - 통증을 동반한 월경.골반의 기질적인 병변이 없는 경우를 원발성 월경곤란증, 기질적인 병변과 동반된 경우를 속발성 월경 곤란증이라 한다.
2) menorrhagia : 월경과다 - 월경이 7~8일 이상 지속되며, 실혈이 80~100ml 이상되는 다량의 월경
3) sterilization : 불임 - 피임을 하지 않고 성교를 했는데도 1년 이상 임신이 되지 않는것.
4) infertilization : 불임 - 정관절제 또는 난관절제등에 의해서 생식불능으로 만드는 것. 임신을 못하는 명백한 용인이 있을 때를 임신불능(sterility)이라고 한다.
5) IUD : 자궁 내 피임장치
6) vaginitis : 질염 - 질 점막에 염증이 있는 경우
①가려움증, ②화끈거림, ③질 분비물의 증가
7) cervicitis : 자궁경관염 - 자궁경관의 양성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 원인균은 대부분이 세균성이며 특히 임균이나 클라미디아 및 연쇄상 구균 등이 중요
8) Bartholinitis : 마르톨린샘염 - 질구의 양측에 위치한 바르톨린샘의 감염으로 편측 또는 양측으로 오며, 급성과 만성의 경과를 밟는다.
9) leukopalkia : 백반증
10) trichomonas vaginitis : 트리코모나스 질염 - 성인 여성질염의 가장 흔하며, 알카리성 환경에서 잘 자라는 단세포 트리코모나스 원충류에 의한 감염
11) mycotic vaginiris : 진균성 질염 - 칸디다성 질염,모닐리아 질염, 효모성 질염 등 여러 이름으로 명칭되며, 가장 흔한 원인균은 칸디다 알비칸스로 알려져 있다. 진균성 질염은 질분비물을 호소하는 비임산부중 105, 임산부의 약 1/3의 빈도를 차지하는 중요한 질환
12) fistula :누, 누공
13) gonorrhea : 임질 - ①Neisseria gonorrhea에 의해서 야기되는 감염증세
②여성과 남성의 생식기 점막을 감염시키며 주로 성교에 의해서 전파
ⓐ남성 : 통증을 수반한 요도염, 농의 배출
ⓑ여성 : ㉠난관염, 난소염, 나관나소 농양, 복막염으로로 발달하는 경우도 있으나 보통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 ㉡임부 : 신생아의 임균성 안염의 가능성
14) syphilis chancre : 1기 매독(경성하감) - 1기 매독은 경성하감과 임파선 종창으로 잠복기는 10~90일 정도이며 발병 후 2~6주 후 자연소실된다. 경성하감은 단단하고 통증이 없는 결절로 구강이나, 턱, 외음, 항문에 나타난다.
15) syphilis gumma : 3기 매독(고무종) - 매독성 고무종이 외음에 발생하는 것으로, 괴사와 궤양이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가장 흔한 3기 매독 병소는 매독성 궤양이다.
16) AIDS : 후천성 면역 결핍증 - 원인균이 HIV로 면역결핍 바이러스가 일차적으로 체액의 교환에 의해 발생되며 세포의 면역 체계에 저하를 초래
17) condylona : 콘딜로마
18) leukorrhea : 대하증 - 질의 이상분비증, 소양증, 통증. 임신 전기간에 걸쳐 자주 발생, 호르몬에 의해 자극받은 경관은 비대해지며 많은 양의 점액분비
19) itching : 가려움 - 음부소양감은 폐경후 증상. 에스트로겐이 감소됨에 따라 음부조직이 얇아지고 탄력성이 없어져서 자극되기 쉽고 염증화 되기 쉽다. 긁으면 더 악화되는 심하고 계속적인 가려움 증상이다.
19) CIS : 상피내암종, 동소내암종, 인시투암종
20) Chorio ca : 융모 상피암 - 난소에서 발생되는 융모 상피암은 대부분이 임신성 영양막성 질환에서 전이된 것이며, 순수한 원발성 난소 융모상피암은 혼합 생식 세포종으로 매우 희귀하다.
21) GTN : 임신성 영양아 층 신생물
22) myona of uterus : 자궁근종 - 자궁육종 초래.
23) endometrilsis : 자궁내먁증 - 자궁내막과 유사한 조직이 자궁외에 골반강내의 여러 부위에서 발생하는 상태로서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24) ovarian cyst : 난소낭
25) dermoid cyst : 유피낭종 -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에서 유래된 성숙된 조직을 함유하고 있는 양성 성숙난소 기형종으로써, 가장 흔한 요소는 피부모낭과 털, 피지선과 땀 분비선, 치아 등의 외배엽성에 유래된 조직들이 특징적인 소견을 보인다.
26) oophorectomy : 난소 절제
27) salpingectomy : 난관절제술 - 한쪽 또는 양쪽 난관을 떼어 내는 수술
28) vulvectomy : 외음절제술 - 침윤전 암일 때 시행하고, 절제 후에는 제거한 조직을 검사하여 병의 침윤 여부를 가려야 하나. 침윤 암은 근처 외음절제술과 동시에 살부위와 대퇴부의 이파절제술을 광범위하게 한다.
29) TAH : 복식전자궁절제술
30) TVH :질식전자궁절제술
31) RAH : 근치적복식자궁절제술
33) electric cauterization : 전기소작법 - 오래전부터 만성 경관염 치료에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냉동치료법으로 전환. 전체적으로 7∼8주후 완전치유 이루어진다.
① 장점 : 기구가 간편하고 경제적
② 단점 : 분비물이 더욱 많으며, 치료기간동안 불쾌감이 냉동치료시보다 심하고, 치료후 자궁경부 협착 등의 문제가 될 수 있다.
34) cold coagulation
35) conization : 원추절제법 - 자궁 내 경부의 염증이 심할 때 권장되는 방법. 외견상 자궁 경부가 정상이면서 광범위한 경관내염 일 때 적당
36) LEEp : 환상투열요법
37) LETZ
38) laser vaporization
39) PID : 골반성 염증 질환 - 골반염증성 질환은 질과 자궁경부 등 하부 성기에 침입된 각종 세균이 상부 성기로 이동하면서 자궁내막, 난관, 난소, 복막 및 인접조직 등에 감염과 염증을 이루는 증후군을 말한다. 따라서 자궁내막염, 난관염, 난소염, 골반복막염 등이 한가지 이상으로 복합되어 나타난다.
40) uterine prolapse : 자궁하수 - 자궁과 그 주위 조직이 질강을 통하여 하수된 상태. 그 정도에 따라 1,2,3도 하수로 나눈다.
41) purueitus
42) pessary : 난관 - 난소가 맹난 안쪽, 뒤쪽으로 탈수되면 외과적 고정이 필요
43) DUB : 기능 장애성 자궁출혈
44) polyp : 용종
45) polypectomy : 용종절제술
46) radiation : 방사선 - 직업상 방사선에 급성으로 노출되는 경우는 사고로 인해 방사선이 대량 노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적은 양으로 오랜 기간 노출되는 것이 더 위험하며, 암 유전, 기형, 또는 다른 생식문제를 불러 일으키고 노출의 영향이 누적될 때에는 생물의 조직에 더 심한 변화가 초래된다. 건강관리 분야에서 방사선 노출은 남자에게 90%정도이며 병원의 근로자의 경우 치과, 클리닉, 연구과정, 핵 사업체 등에서 노출될 수 있다.
47) chemotherapy : 화학요법 - 널리 사용하지는 않으나 암이 재발되거나 전이되어 전신적 치료가 필요할 때 시행, 대부분 여러 가지 치료에 실패한 경우 선택한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이 카페 D_wx7c5o_s47g0 관련글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