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초기불교

[스크랩] 깃발 경(다작가 숫따, Dhajagga-sutta, S11:3) 빠알리 원문 및 한글번역 - 삼보는 불자들의 깃발! - 삼보에 귀의하면 두려움과 공포가 극복된다

작성자천장암|작성시간15.05.18|조회수34 목록 댓글 0

깃발 (S11:3)

Dhajagga-sutta

 

[본경은 스리랑카에서 Maha Pirit Pota( 보호주를 모은 ) 포함되어 보호주(paritta) 널리 독송되고 있다. 북방불교에서도 중국과 티벳에서 번역되었으며 산스끄리뜨로 경의 단편이 발견되었다.]

 

1. Evamme sutam* -- ekam* samayam* bhagavaa saavatthiyam* viharati jetavane anaathapin*d*ikassa aaraame.

2. Tatra kho bhagavaa bhikkhuu aamantesi "bhikkhavo"ti. "Bhadante"ti te bhikkhuu bhagavato paccassosum*.

Bhagavaa etadavoca: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사왓티에서 제따 숲의 아나타삔디까 원림(급고독원)에 머무셨다.

2. 거기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부르셨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3. ``bhuutapubbam*, bhikkhave, devaasurasan#gaamo samupabyuul*ho ahosi/

atha kho, bhikkhave, sakko devaanamindo deve taavatim*se aamantesi --

비구들이여, 옛날에 신과 아수라들 간에 전쟁이 있었다. 구들이여, 그때 신들의 삭까가 삼십삼천의 신들을 불러서 말했다.

 

`sace, maarisaa, devaanam* san#gaamagataanam* uppajjeyya

bhayam* vaa chambhitattam* vaa lomaham*so vaa,

mameva tasmim* samaye dhajaggam* ullokeyyaatha/

maman$hi vo dhajaggam* ullokayatam*

yam* bhavissati bhayam* vaa chambhitattam* vaa lomaham*so vaa,

so pahiiyissati'/

존자들이여, 신과 아수라들 간에 전쟁이 발발했을 두려움과 공포와 털끝이 곤두섬을 느끼게 되면 그때 나의 깃발을 올려다보시오. 그대들이 나의 깃발을 올려다보면 두려움과 공포와 털끝이 곤두섬이 없어질 것이오.

 

`no ce me dhajaggam* ullokeyyaatha,

atha pajaapatissa devaraajassa dhajaggam* ullokeyyaatha/

pajaapatissa hi vo devaraajassa dhajaggam* ullokayatam*

yam* bhavissati bhayam* vaa chambhitattam* vaa lomaham*so vaa,

so pahiiyissati'/

만일 나의 깃발을 올려다볼 없으면 신의 빠자빠띠의 깃발을 올려다보시오. 그대들이 신의 빠자빠띠의 깃발을 올려다보면 두려움과 공포와 털끝이 곤두섬이 없어질 것이오.

 

`no ce pajaapatissa devaraajassa dhajaggam* ullokeyyaatha,

atha varun*assa devaraajassa dhajaggam* ullokeyyaatha/

varun*assa hi vo devaraajassa dhajaggam* ullokayatam*

yam* bhavissati bhayam* vaa chambhitattam* vaa lomaham*so vaa,

so pahiiyissati'/

만일 신의 빠자빠띠의 깃발을 올려다볼 없으면 신의 와루나의 깃발을 올려다보시오. 그대들이 신의 와루나의 깃발을 올려다보면 두려움과 공포와 털끝이 곤두섬이 없어질 것이오.

 

`no ce varun*assa devaraajassa dhajaggam* ullokeyyaatha,

atha iisaanassa devaraajassa dhajaggam* ullokeyyaatha/

iisaanassa hi vo devaraajassa dhajaggam* ullokayatam*

yam* bhavissati bhayam* vaa chambhitattam* vaa lomaham*so vaa,

so pahiiyissatii'''ti/

만일 신의 와루나의 깃발을 올려다볼 없으면 신의 이사나의 깃발을 올려다보시오. 그대들이 신의 이사나의 깃발을 올려다보면 두려움과 공포와 털끝이 곤두섬이 없어질 것이오.’”

 

4. ``tam* kho pana, bhikkhave, sakkassa vaa devaanamindassa dhajaggam* ullokayatam*,

pajaapatissa vaa devaraajassa dhajaggam* ullokayatam*,

varun*assa vaa devaraajassa dhajaggam* ullokayatam*,

iisaanassa vaa devaraajassa dhajaggam* ullokayatam*

yam* bhavissati bhayam* vaa chambhitattam* vaa lomaham*so vaa,

so pahiiyethaapi nopi pahiiyetha/

비구들이여, 그러나 신의 삭까의 깃발을 올려다보거나 신의 빠자빠띠의 깃발을 올려다보거나 신의 와루나의 깃발을 올려다보거나 신의 이사나의 깃발을 올려다보면 두려움과 공포와 털끝이 곤두섬이 없어지기도 하고 없어지지 않기도 것이다.

 

``tam* kissa hetu? sakko hi, bhikkhave, devaanamindo aviitaraago aviitadoso aviitamoho bhiiru chambhii utraasii palaayiiti/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비구들이여, 신의 삭까는 탐욕을 제거하지 못했고 성냄을 제거하지 못했고 어리석음을 제거하지 못했고, 두려워하고 공포를 느끼고 떨면서 도망갈 있기 때문이다.”

 

5. ``ahan$ca kho, bhikkhave, evam* vadaami -- `sace tumhaakam*, bhikkhave, aran$n$agataanam* vaa rukkhamuulagataanam* vaa sun$n$aagaaragataanam* vaa uppajjeyya bhayam* vaa chambhitattam* vaa lomaham*so vaa, mameva tasmim* samaye anussareyyaatha -- itipi so bhagavaa araham* sammaasambuddho vijjaacaran*asampanno sugato lokaviduu anuttaro purisadammasaarathi satthaa devamanussaanam* buddho bhagavaa'ti/ maman$hi vo, bhikkhave, anussaratam* yam* bhavissati bhayam* vaa chambhitattam* vaa lomaham*so vaa, so pahiiyissati/

비구들이여, 그러나 나는 이렇게 말한다. 비구들이여, 만일 그대들이 숲으로 가거나 나무 아래로 가거나 빈집으로 가서 두려움과 공포와 털끝이 곤두섬을 느낀다면 그때는 이런 [이유로] 그분 세존께서는 아라한[應供]이시며, 완전히 깨달은 [正等覺]이시며, 명지와 실천이 구족한 [明行足]이시며, 피안으로 가신 [善逝]이시며, 세간을 알고 계신 [世間解]이시며, 가장 높은 [無上士]이시며, 사람을 길들이는 [調御丈夫]이시며, 하늘과 인간의 스승[天人師]이시며, 깨달은 []이시며, 세존(世尊)이시다.’라고 오직 나를 계속해서 생각하라.

비구들이여, 그대들이 나를 계속해서 생각하면 두려움과 공포와 털끝이 곤두섬이 없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6. ``no ce mam* anussareyyaatha, atha dhammam* anussareyyaatha -- `svaakkhaato bhagavataa dhammo sandit*t*hiko akaaliko ehipassiko opaneyyiko paccattam* veditabbo vin$n$uuhii'ti/ dhamman$hi vo, bhikkhave, anussaratam* yam* bhavissati bhayam* vaa chambhitattam* vaa lomaham*so vaa, so pahiiyissati/

만일 나를 계속해서 생각할 없다면 법은 세존에 의해서 설해졌고, 스스로 보아 있고, 시간이 걸리지 않고, 와서 보라는 것이고, 향상으로 인도하고, 지자들이 각자 알아야 하는 것이다.’라고 법을 계속해서 생각하라.

비구들이여, 그대들이 법을 계속해서 생각하면 두려움과 공포와 털끝이 곤두섬이 없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7. ``no ce dhammam* anussareyyaatha, atha san#gham* anussareyyaatha -- `suppat*ipanno bhagavato saavakasan#gho ujuppat*ipanno bhagavato saavakasan#gho n$aayappat*ipanno bhagavato saavakasan#gho saamiicippat*ipanno bhagavato saavakasan#gho, yadidam* cattaari purisayugaani at*t*ha purisapuggalaa esa bhagavato saavakasan#gho, aahuneyyo paahuneyyo dakkhin*eyyo an$jalikaran*iiyo anuttaram* pun$n$akkhettam* lokassaa'ti/ san#ghan$hi vo, bhikkhave, anussaratam* yam* bhavissati bhayam* vaa chambhitattam* vaa lomaham*so vaa, so pahiiyissati/

만일 법을 계속해서 생각할 없다면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도를 닦고,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바르게 도를 닦고,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참되게 도를 닦고,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합당하게 도를 닦으니, 쌍의 인간들이요[四雙] 여덟 단계에 있는 사람들[八輩]이시다. 이러한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공양받아 마땅하고, 선사받아 마땅하고, 보시받아 마땅하고, 합장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밭[福田]이시다.’라고 승가를 계속해서 생각하라.

비구들이여, 그대들이 승가를 계속해서 생각하면 두려움과 공포와 털끝이 곤두섬이 없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8. ``tam* kissa hetu? tathaagato hi, bhikkhave, araham* sammaasambuddho viitaraago viitadoso viitamoho abhiiru acchambhii anutraasii apalaayii''ti/ idamavoca bhagavaa/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비구들이여, 여래아라한정등각자 탐욕을 제거했고 성냄을 제거했고 어리석음을 제거했고, 려워하지 않고 공포를 느끼지 않고 떨지 않고 도망가지 않기 때문이다.”

 

9. idam* vatvaana sugato

athaaparam* etadavoca satthaa --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스승이신 선서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신 다시 [게송으로] 이와 같이 설하셨다.

 

``aran$n$e rukkhamuule vaa, sun$n$aagaareva bhikkhavo/

anussaretha sambuddham*, bhayam* tumhaaka no siyaa//

숲에서나 나무 아래서나 빈집에서나 비구들은

완전하게 깨달은 분을 계속해서 생각해야 하나니

그러면 그대들에게 두려움은 없을 것이로다. {868}

 

``no ce buddham* sareyyaatha, lokajet*t*ham* naraasabham*/

atha dhammam* sareyyaatha, niyyaanikam* sudesitam*//

세상의 으뜸이요 인간들 가운데 황소인

부처님을 계속해서 생각할 없으면

벗어남으로 인도하고 설해진 법을

그대들은 계속해서 생각해야 하노라. {869}

 

``no ce dhammam* sareyyaatha, niyyaanikam* sudesitam*/

atha san#gham* sareyyaatha, pun$n$akkhettam* anuttaram*//

벗어남으로 인도하고 설해진 법을 만일

계속해서 그대들이 생각할 없으면

무상복전 승가를 계속해서 생각하라. {870}

 

``evam* buddham* sarantaanam*, dhammam* san#ghan$ca bhikkhavo/

bhayam* vaa chambhitattam* vaa, lomaham*so na hessatii''ti//

이와 같이 비구들이 부처와 법과

승가를 계속해서 생각한다면

두려움과 공포와 털끝이 곤두섬이

어느 어느 때도 일어나지 않으리라.” {871}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초기불전연구원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