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초기불교

[스크랩] 왜 삼보가 중생들의 귀의처가 되는가???

작성자천장암|작성시간11.07.11|조회수23 목록 댓글 0

 

 

 

1) 부처님은 어떤분 이시기에 중생들의 귀의처가 되는가?

    그 이유는 바로 아래와 같이 거룩하신 분이시기 때문 입니다

 

     (1) 아라항(Araham. 應供)

          모든 번뇌로 부터 벗어 난 분. 번뇌의 적을 모두 죽인 분. 번뇌가 있을 때 나쁜 습관을 모두 죽인 분

     (2) 삼마 삼붓도(Samma Sambuddho. 正等覺者)

           모든 법을 바르게 직접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분

     (3) 위짜짜라나 삼빤나(Vijjacaranasampanna. 明行足])

          지혜와 수행을 다 아시는 분. 지혜와 덕행을 함께 갖추신 분

     (4) 수까또(Sugato. 善逝)

          잘 가시는 공덕을 지니신 분. 붓다가 가시는 길은 깨끗하여 허물이 없어서 적당 하시다

          알맞은 성스러운 道(도)로써 가시기 때문에 열반(닙빠나)에 집착없이 가신다

     (5) 로가까위두(Lokavidu.世間解 )

          중생들 세간의 모든 것을 다 아시는 분

     (6) 아눗따로(Anuttaro. 無上士)

          위 없으신 분. 붓다보다 공덕이 더 큰 이는 없기 때문이다.

          붓다의 지계 공덕보다 더 넘치는 이는 없다.

          붓다의 선정 공덕보다 더 넘치는 이는 없다.

          붓다의 지혜 공덕보다 더 넘치는 이는 없다.

          붓다의 번뇌 벗어남의 공덕보다 더 넘치는 이는 없다.

          붓다의 자비 공덕보다 더 넘치는 이는 없다.

     (7) 뿌리사 담마 사라티(Purisadhammasarathi. 調御丈夫)

          어리석은 자를 으뜸되게 잘 다스리는 분. 거친 이를 제도하여 잘 삶하게 하시는 분

     (8) 삿타데와마누상(Satthadevamanusam. 天人師)

          모든 천인과 인간의 스승이신 분

     (9) 붓도(Buddho. 覺者)

          깨달으신 분. 존재의 실상을 깨달으신 분

     (10) 바가와(Bahgava.世尊 )

            세상에서 가장 존귀하신 분 

 

2) 법(붓다의 가르침)은 어떠한 가르침이기에 중생들의 귀의처가 될 수 있는가?

    바로 다음과 같은 가르침이기 때문에 모든 중생들의 귀의처가 되는 것 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거룩하시고 존경 받는 붓다께서 잘 설하는 가르침은

 

     현세에 유익한 가르침이며,

     시간을 초월하는 가르침이며,
     와서 보라는 가르침이며,

     (열반에의) 길로 이끌어 주며,

     지혜 있는자 누구나 스스로 증득 할 수 있는 것이다.

      Svaakkhaato bhagavataa dhammo, sanditthiko, akaariko, ehipassiko, opanayiko,

      paccattam veditabbo vi~n~nuuhi ti.

 

3) 승가는 어떠한 분들이 모여 있는 곳이기에 중생들의 귀의처가 될 수 있는가?

    승가의 모임은 바로 다음과 같기 때문에 모든 중생들의 귀의처가 되는 것 입니다

 

     붓다의 제자이신 스님들은

 

     길을 잘 걷고 있으며

     길을 바르게 걷고 있으며,

     길을 지혜롭게 걷고 있으며,

     길을 충실하게 걷고 있으니

     저 네 쌍의 분들, 여덟 단계에 계신 분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 붓다의 제자분들은

 

     공양을 올려 마땅하며,

     시중들어 마땅하며,

     보시하여 마땅하며,

     합장드려 마땅하며,

     이 세상에 다시없는 복전(福田)이다.  

 Supa.tipanno bhagavato saavakasangho, uujupatipanno bhagavato saavakasangho, ~naayapa.tipanno bhagavato saavakasangho, saamicipatipanno bhagavato saavakasangho, yadidam cattaari pursayugaani atthapurisapuggalaa esa bhagavato saavakasangho, aahuneyyo, paahuneyyo, dakkhi.neyyo, a~njalikara.niiyo anuttaram. pu~n~nakkhettam lokassaa ti.

 

참고사항

1) 빠알리어로 된 붓다의 열가지 명호는 붓다누싸티(Buddhanussati) 라고 하며, 남방불교에서는   붓다의 공덕을 마음속 깊이 되새기며 암송(염불)수행을 합니다. 이러한 붓다누싸티의 수행을 계속하게 되면 지혜와 선업이 쌓이게 되고 기쁨이 넘쳐나며 어떠한 고통도 참을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특히 수행자의 마음은 자연스럽게 붓다의 마음이 되며 자비심이 넘치게 된다고 합니다. 특히 계율을 범해야 될 상황을 만나게 될지라도, 마치 붓다께서 면전에 계신 것 처럼 두려운 마음이 생겨서 계율을 범하지 않게 되며 설사 불도를 많이 깨치지 못하여도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고 합니다

 

2)  승에 보면 네쌍의 분들, 여덟 단계에 계신분들이란 글이 있습니다. 이는 불교의 수행 과정중 지혜를 얻는 단계를 네가지로 구분하여 놓았습니다. 1) Sotapatti(소타빳티. 수다원. 예류과) 2) Sakadagami(사카다가미. 사다함. 일래과) 3) Anagami(아나가미. 아나함. 불환과) 4) Arahat(아라하뜨. 아라한) 입니다.

 

또한 이와 같은 네가지 성인의 경지를 세분하여 그 경지로 나아가는 과정(Magga. 道 또는 向(향))과, 이미 그경지를 성취한 (Phala.팔라. 果(과)) 분으로 나눌 수 있기 때문에 모두 여덟 부류의 성인이 있게 됩니다. 이를 총칭하여 흔히들 四雙八輩(사쌍팔배), 四向四果(사향사과), 八部聖人(팔부성인) 이라고 합니다.

 

바로 이분들이야 말로 진정 佛道 를 제대로 걷고 있고 올바른 길로 가는 수행승(성인)들이기에 모든 불자들이 예배 드릴만 하며 공양 드릴만 하며 재가자들의 참된 스승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불.법.승. 삼보 중에서 "승" 에 해당하는 분들 입니다.

 

지금은 "승" 이란 개념에 대해서 넓게 모든 수행승들을 가르켜 부르고 있지만 경전상의 엄격한 구분은 바로 이런 사향사과의 수행승들을 가르켜서 삼보중의 하나인 "승" 이라고 합니다.

 

 

 

한국불교개혁카페 원불사(原佛寺)

http://cafe.daum.net/wonbulsatemple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원불사(源佛寺)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