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일 요 법 회

11월 30일 충고를 하는 마음자세-학승과 선승이 서로 비난하다

작성자천장암|작성시간14.11.23|조회수45 목록 댓글 0

                            충고를 하는 마음자세

                                                 [앙굿따라 니까야 5부 157]

 

사리뿟다 존자는 비구들에게 말하였다.

"존자들이여, 다른 사람에게 충고를 하려면 안으로 다섯 가지 가르침을 확립한 후에 충고를 하여야

합니다.

무엇이 다섯입니까?

 

1.나는 아무 때나 말하지 않고 알맞은 때에 말할 것이다.

2.나는 실제로 일어난 일만 말할 것이지 있지도 않은 말을 하지 않을 것이다.

3.나는 부드럽게 말하지 거칠게 말하지 않을 것이다.

4.나는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말만 할 것이지 이익이 없는 말은 하지 않을 것이다.

5.나는 자애의 마음을 가지고 말할 것이지 성냄을 가지고 말하지 않을 것이다.

 

이와같이 다른 사람에게 충고를 하려면 안으로 다섯 가지 가르침을 확립한 후에 충고를 하여야 합니다."

 

 

학승과 선승이 서로 비난하다

                                                                                                [앙굿따라 니까야 6부 46]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마하쭌다 존자가 사하자띠에서 쩨띠 사람들이 있는 곳에 머물고 있었다.

그는 비구들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벗들이여, 담마[부처님 가르침] 에 열성적인 비구[학승] 들이 명상하는 비구[선승]들을 헐뜯어

말하기를, `그들은 우리는 명상가다, 우리는 명상가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들은 명상을 한다.

그러나 `무엇을 명상하는가? 무엇 때문에 명상하는가? 어떻게 명상하는가?`라고 비난 합니다.

그래서 담마에 열성적인 비구들도 명상하는 비구들도 모두 기쁘지 않게 됩니다.

이들은 중생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 수행하는 것이 아닙니다.

 

한편 명상하는 비구들은 담마에 열성적인 비구들을 헐뜯어 말하기를, `그들은 우리는 담마의 열성가이다, 우리는 담마의 열성가이다.`라고 말한다.

그래서 그들은 자만심으로 우쭐거린다.

그들은 언변이 좋고 말이 많다.

마음챙김이 없고 마음집중이 부족하다.

생각은 안정성 없이 여기저기 떠돌고 감각기관은 절제함이 없다.

그러면

`무엇 때문에 담마에 열성적인가?

무슨 목적으로 담마에 열성적인가?`

어떻게 담마에 열성적인가?`라고 비난합니다.

그래서 담마에 열성적인 비구들도 명상하는 비구들도 모두 기쁘지 않게 됩니다.

이들은 중생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 수행하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담마 열성가 비구들은 명상가 비구들을 칭찬하지 않고, 담마 열성가 비구들만 칭찬합니다.

그래서 담마에 열성적인 비구들도 명상하는 비구들도 모두 기쁘지 않게 됩니다.

이들은 중생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 수행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벗들이여, 그대들 자신을 이와 같이 담마 열성가는, `우리들은 담마 열성가이지만 명상하는 비구들을 칭찬하겠습니다.`라고 단련하여야 합니다.

왜냐하면 열반의 체험을 얻은 이런 뛰어난 사람들은 이 세상에 드물기 때문입니다.

또한 명상하는 비구들은, `우리들은 명상가이지만 담마 열성가를 칭찬하겠습니다.` 라고 단련하여야 합니다.

왜냐하면 심오한 뜻의 경지를 통찰지로 선명하게 꿰뚫어 보는 이런 뛰어난 사람들은 이 세상에 드물기 때문 입니다." http://suttacentral.net/pi/an6.46

 

Aṅguttara Nikāya 6

5. Dhammikavagga

46. Mahācundasutta

13.35516A6:351Evaṃ me sutaṃ—​   ekaṃ samayaṃ āyasmā mahācundo cetīsu viharati sayaṃjātiyaṃ

sahajātiyaṃ
  • Buddhajayantītripiṭakagranthamālā 2501–2531 (1957–1989)
  • Pali Text Society 1st ed. 2424–2535 (1881–1992)
sañjātiyaṃ
  • Chulachomklao Pāḷi Tipiṭaka 2436 (1893)-3
  • Phratraipiṭakapāḷi 2501–2512 (1958–1969)

. Tatra kho āyasmā mahācundo bhikkhū āmantesi: “āvuso bhikkhave”ti. “Āvuso”ti kho te bhikkhū āyasmato mahācundassa paccassosuṃ. Āyasmā mahācundo etadavoca:

 

216A6:352Idhāvuso, dhammayogā bhikkhū jhāyī bhikkhū apasādenti: ‘ime pana jhāyinomhā, jhāyinomhāti jhāyanti pajjhāyanti nijjhāyanti avajjhāyanti. Kimime

kintime
  • Buddhajayantītripiṭakagranthamālā 2501–2531 (1957–1989)
kiñhime
  • Chulachomklao Pāḷi Tipiṭaka 2436 (1893)-3
kiṃ hime
  • Phratraipiṭakapāḷi 2501–2512 (1958–1969)
  • Pali Text Society 1st ed. 2424–2535 (1881–1992)

jhāyanti, kintime jhāyanti, kathaṃ ime jhāyantī’ti? Tattha dhammayogā ca bhikkhū nappasīdanti, jhāyī ca bhikkhū nappasīdanti, na ca bahujanahitāya paṭipannā honti bahu­jana­su­khāya bahuno janass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ṃ. (1)

 

316A6:353Idha panāvuso, jhāyī bhikkhū dhammayoge bhikkhū apasādenti: ‘ime pana dhammayogamhā, dhamma­yo­gamhāti uddhatā unnaḷā capalā mukharā vikiṇṇavācā muṭṭhassatī asampajānā asamāhitā vibbhantacittā pākatindriyā. Kimime dhammayogā, kintime dhammayogā, kathaṃ ime dhammayogā’ti? Tattha jhāyī ca bhikkhū nappasīdanti, dhammayogā ca bhikkhū nappasīdanti, na ca bahujanahitāya paṭipannā honti bahu­jana­su­khāya bahuno janass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ṃ. (2)

43.35616A6:354Idha panāvuso, dhammayogā bhikkhū dhamma­yogā­nañ­ñeva bhikkhūnaṃ vaṇṇaṃ bhāsanti, no jhāyīnaṃ bhikkhūnaṃ vaṇṇaṃ bhāsanti. Tattha dhammayogā ca bhikkhū nappasīdanti, jhāyī ca bhikkhū nappasīdanti, na ca bahujanahitāya paṭipannā honti bahu­jana­su­khāya bahuno janass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ṃ. (3)

516A6:355Idha panāvuso, jhāyī bhikkhū jhāyīnaññeva bhikkhūnaṃ vaṇṇaṃ bhāsanti, no dhammayogānaṃ bhikkhūnaṃ vaṇṇaṃ bhāsanti. Tattha jhāyī ca bhikkhū nappasīdanti, dhammayogā ca bhikkhū nappasīdanti, na ca bahujanahitāya paṭipannā honti bahu­jana­su­khāya bahuno janass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ṃ. (4)

616A6:356Tasmātihāvuso, evaṃ sikkhitabbaṃ: ‘dhammayogā samānā jhāyīnaṃ bhikkhūnaṃ vaṇṇaṃ bhāsissāmā’ti. Evañhi vo, āvuso, sikkhitabbaṃ. Taṃ kissa hetu? Acchariyā hete, āvuso, puggalā dullabhā lokasmiṃ, ye amataṃ dhātuṃ kāyena phusitvā viharanti. (5)

716A6:357Tasmātihāvuso, evaṃ sikkhitabbaṃ: ‘jhāyī samānā dhammayogānaṃ bhikkhūnaṃ vaṇṇaṃ bhāsissāmā’ti. Evañhi vo, āvuso, sikkhitabbaṃ. Taṃ kissa hetu? Acchariyā hete, āvuso, puggalā dullabhā lokasmiṃ ye gambhīraṃ atthapadaṃ paññāya ativijjha passantī”ti. (6)

Catutthaṃ.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