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윤회와 인과법

인과와 윤회

작성자향련|작성시간17.10.27|조회수612 목록 댓글 10


인과


인과(因果)는 원인(原因)과 결과(結果)를 말한다. 온갖 만유로서 이루어지고 머무르고 무너지고 없어지는 미오(迷悟)의 세계의 모양들은 인과 관계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없다 착한 원인이 있으면 착한 결과가 있고, 악한 원인이 있으면 악한 결과가 있다. 콩을 심으면 콩이 나고, 팥을 심으면 팥이 난다. 착한 원인이 없는데 착한 결과가 있을 수 없고, 악한 원인이 없는데 악한 결과가 있을 수 없다. 콩을 심었는데 팥이 날 이유가 없고, 팥을 심었는데 콩이 날 이유가 없다. 착한 원인에는 착한 결과가, 악한 원인에는 악한 결과가 상응하게 나타나 조금도 착오가 없는 것을 인과응보(因果應報)라고 한다.

 

그리고 현세에 지은 원인을 당장 금생에 그 과보를 받는 것[順現報]도 있고, 현세에 지은 원인을 그 다음 생에, 즉 바로 그 뒤에 오는 세상에 과보를 받는 것[順生報]도 있으며, 현세에 지은 원인을 제3생(生)이후에 과보를 받는 것[順後報]도 있어서 반드시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그 결과가 잇다는 것이 철칙이다. 이것이 인과법칙이다. 이 인과는 부정 할 수 없는 것이어서 꼭 믿어야 한다.

 

신라시대의 일이다. 강원도 철원 땅 보개산 기슭에 먹음직스런 배가 가지가 휘도록 주렁주렁 열린 큰 배나무 한 그루가 있었다.

나무에 앉아 있던 까마귀 한 마리가 막 날려고 하면서 나래를 쭉 펴며 바람을 일으키는 통에 배 한 개가 떨어져 그 밑에서 낮잠을 즐기고 있던 한 독사의 머리로 툭 떨어졌다. 느닷없이 날벼락을 맞은 뱀은 화가 날대로 나서 머리를 하늘로 쑥 뽑아 까마귀를 향해 마구 독기를 뿜어댔다. 까마귀는 더 이상 날지 못하고 땅에 떨어지면서 죽었고, 뱀도 너무 세게 맞은 데다 독을 다 뿜어 버려서 죽고 말았다.

 

뱀은 죽어서 우직한 멧돼지가 되었고, 까마귀는 암꿩으로 변했다. 그들은 다시 나서까지도 원한이 풀리지 않아 원수가 되었다.

멧돼지는 먹이를 찾아 이 산 저 산을 헤매고 다니다가 마침 알을 품고 있는 암꿩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으므로 ‘음, 저 놈을 죽여야겠구나,’하고, 살며시 산등성이로 올라가 발밑에 있는 큰 돌을 힘껏 굴렸다. 암꿩은 미처 피할 겨를도 없이 그 자리에서 그만 죽었다.

 

이때 사냥꾼이 그 곳을 지나다 곧 죽은 꿩을 발견하고 기뻐하면서 주워 집으로 돌아가 그날 저녁에 내외는 꿩을 잡아 실컷 먹었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새겼다. 이제까지 태기가 없던 사냥꾼의 아내에게 태기가 있어 그로부터 열 달 후에 아들을 낳았다. 부부는 정성을 다하여 키웠고 아들은 씩씩한 소년이 되어 아버지를 따라 다니며 활쏘기를 익혔다. 사냥꾼은 아들이 훌륭한 사냥꾼이 되기를 바랐다. 그런데 왠지 모르게 꿩을 만나면 통 쏘려하지 않으면서 멧돼지만 잡고 싶어 하였다.

“너는 왜 멧돼지를 원수처럼 여기는 줄 모르겠구나. 아직 멧돼지 잡기엔 어리다.”

사냥꾼은 아들의 기개가 신통하다고 여기면서도 넌지시 일렀다. 그러나 아들은 장성할수록 더욱 멧돼지를 증오했다.

 

세월이 흘러 사냥꾼은 사냥도구를 아들에게 물려주고 세상을 떠났다. 청년기를 지나 중년에 이른 아들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여전히 사냥을 계속했다. 어느 날 보개산으로 사냥을 나간 아들은 그날따라 일찍이 볼 수 없었던 멧돼지를 발견했다. 우람할 뿐 아니라 온몸에서 금빛이 환히 빛나고 있었다.

 

‘이상한 놈이구나. 저 놈을 당장 잡아야지.’

그는 힘껏 시위를 당겼다. 화살은 적중했다. 그러나 그 금빛 멧돼지는 피를 흘리면서도 환희봉을 향해 달려가는 것이었다. 그는 멧돼지가 숨어있을 만한 곳까지 단숨에 쫓아갔다. 그러나 금빛 멧돼지는 간 곳이 없고, 멧돼지가 숨어있을 만한 자리에서 지장보살 석상이 샘 속에 몸을 담그고 머리만을 밖으로 내밀고 있었다. 그런데 자기가 쏜 화살이 지장보살의 어깨에 꽂혀있었다. 그 묘한 광경에 머리만 갸우뚱하며 이상하게 여길 뿐이었다.

 

까마귀와 뱀의 인과가 반복되는 것을 막기 위해 부처님께서 멧돼지로 화신하시어 화살을 맞은 까닭을 알리가 없었다. 그가 물속에 잠긴 석상을 아무리 꺼내려 해도 움직이지도 않았다. 날이 어두워지자 그는 집으로 돌아왔다. 다음날 그 자리를 다시 찾아갔다. ‘이것이 어찌된 일인가?’ 샘 속에 잠겼던 석상이 어느 새 물 밖으로 나와 미소를 짓고 있었다. 그는 그제야 무릎을 치면서 석불 앞에 합장했다.

“부처님이시여, 어리석은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보이신 뜻을 받들어 곧 출가하여 도(道)를 닦겠나이다.”

그는 곧 출가하여 3백여 명을 동원하여 절을 짓고 석불을 모셨으며, 그는 숲속에 돌을 쌓고 그 위에 앉아 정진 수행하여 높은 도력을 얻었다.

 

지금도 강원도 철원 보개산에 신라시대 성덕왕19년(720) 사냥꾼 이순석(李順碩)이 지었다는 절 석대암(石臺庵)이 있다. 이 절의 주불 지장보살은 석 자쯤의 키에 왼손에는 구슬을 들고 있으며 왼쪽 어깨에는 사냥꾼의 화살이 박혔던 자리라고 하는 한 치 가량의 금이 뚜렷이 남아있다.

 

중국의 천태지자 대사도 사냥꾼을 제도한 일이 있는데, 그 내용도 이와 비슷하다. 스님이 그때 지었던 게송이다.

 

까마귀 날자 배가 떨어져 뱀의 머리를 박살내 버렸다.

뱀은 죽어서 돼지가 되어 뒤에서 돌을 굴러 꿩을 치었다.

꿩은 죽어서 포수가 되어 돼지를 쏘아 죽이려 할 적에

대사가 그 인연을 말해주어 맺힌 원한을 풀어주었네.

 

烏飛梨落破蛇頭 蛇變猪爲轉石雉

雉作獵人慾射猪 大師爲彼解怨結


윤회

윤회(輪廻)라 함은 수레바퀴가 돌고 돌아 끝이 없는 것과 같이 중생이 업(業)에 의하여 죽었다가 나고 났다가 죽기를 몇 번이고 이렇게 반복함을 말한다. 불교에서 말하는 삼계(三界) 육도(六道)에서 미(迷)의 생사를 거듭하는 것이다.

 

삼계는 세 가지 세계로 욕계(欲界)와 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를 말한다. 욕계의 욕(欲)은 탐욕이나 특히 식욕, 음욕, 수면욕이 왕성한 세계이다. 색계는 욕계와 같은 탐욕은 없으나 미묘한 형체가 있는 세계이며, 무색계는 색계의 미묘한 형체가 없는 순 정신적 존재의 세계이다.

 

육도는 천상, 인간, 아수라, 지옥, 아귀, 축생의 길이다. 도(道)는 중생이 윤회하는 길이므로 도라 한다. 이 세 가지 세계와 여섯 가지 길은 중생이 좋은 일[善業]을 쌓았으면 좋은 길[善道]에 가 태어나고 나쁜 일[惡業]을 하였으면 나쁜 길[惡道]에 떨어지는 것이니, 마치 다람쥐 쳇바퀴 돌듯 빙빙 돌며 죽었다가 태어나고, 태어났다가 죽고 한다. 이것을 생사윤회라 한다.

 

어느 스님이 목수 일을 해가며 암자를 지어 도를 닦으려 하였는데, 암자를 다 짓고 수도를 하려는 그 해에 앉은뱅이가 되었고 그 이듬해에는 봉사가 되었으며 그 이듬해에는 벼락을 맞아 죽었다. 그 제자가 보기에 천지도 무심하고 부처님도 영험이 없는 것 같았다. 그래서 속으로 원망하면서 죽은 스님의 팔에다 ‘불무령(佛無靈: 부처님도 영험이 없다)’이라는 세 글자를 쓰고 장사를 치렀다.

그 후 스님은 고려 문종(文宗)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울다가도 목탁 소리만 나면 울음을 뚝 그쳤다. 임금은 신하를 시켜 그 목탁소리가 울려나오는 곳을 찾으라 하였다. 절을 찾은 문종은 아기를 데리고 절에 갔더니 그 제자였던 스님이 아기를 보고 “우리 스님이 오셨다”하고 큰 절을 올렸다. 그 이유를 물은 즉 아기의 팔에 ‘불무령(불무령)’의 세 글자를 자기가 썼다는 말을 하였다. 이 아기가 자라서 출가하여 대각 국사(大覺國師)가 되었다. 공덕을 쌓은 이는 반드시 좋은 길에 가 난다.

 

또 생사윤회 하는 일화를 하나 더 말하겠다. 중국 인광(印光)대사의 ⟪편지설법⟫에 있는 이야기이다.

 

수(隨)나라 때 조량상(趙良相)이라는 큰 갑부가 있었다. 두 아들이 있었는데 큰 아들 이름은 영(盈)이고 작은 아들 이름은 맹(孟)이었다. 영은 몸이 건장했고 맹은 몸이 약했다. 그가 죽을 때 재산을 둘로 나누어 주었는데, 작은 아들 맹에게 더 많은 재산을 주었다.

그런데 아버지가 죽자 큰아들 영이 작은 아들 맹의 재산까지 독차지하고 맹에게는 집과 텃밭만 주었다. 그래서 맹은 살기가 어려워 다른 데 가서 품팔이하며 겨우 가족에게 입에 풀칠만 할 정도로 근근이 살아갔다.

 

그런데 얼마 있다 큰아들 영이 죽어서 아우 집의 아들로 태어나 이름은 환(還)이라 불렀다. 또 얼마 안 되어 작은 아들 맹도 죽어서 형 집의 손자로 태어나 이름을 선(先)이라고 불렀다. 환은 큰아버지의 영의 집안에서 머슴살이를 하였다. 한번은 선(큰집 조카)이 오대산에 유람차 가면서 환에게 자기를 따라가 시중을 들도록 분부했다. 환은 큰아버지가 자기 집안 재산을 독차지한 일을 알고 있었으므로 그 손자인 선을 죽이려고 벼르던 참이라 마침 좋은 기회가 왔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그 산에 도착하여 죽일 좋은 기회를 얻었으므로 환은 선에게 말하였다.

 

“너의 할아버지가 우리 가산을 모두 독차지하여 우리는 집안 대대로 몹시 곤궁하게 살고 있다. 그러니 나는 지금 너를 죽여 집안의 원한을 풀어야겠다.”

선이 이 말을 듣고 깜짝 놀라 부랴부랴 달아나자 환이 그 뒤를 쫓아갔다. 그러다 마침 어느 초가집으로 들어갔는데, 한 늙은 스님이 나와 말하는 것이었다.

“이 곳에서는 끔직한 일을 저지르면 안 되오.”

그러자 환이 자기는 원수를 죽이려고 할 따름이라고 대답했다.

이 말을 들은 늙은 스님은 두 사람을 자리에 앉히고 나서 차 한 잔씩 따라 주며 마시게 하였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두 사람이 차를 받아 마시고 나더니 모두가 금방 전생 일을 환히 알아보고는 서로 붙잡고 대성통곡을 했다. 마침내 두 사람은 모두 그 산속에서 출가하여 불도를 닦았다.

 

하나의 게송을 옮긴다.

 

삼계에서 돌고 돎이 물 긷는 두레박 같아

백 천만 겁이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가네.

이 몸을 금생에 제도하지 않으면

다시 어느 생을 기다려 제도할 것인가?

三界猶如汲井輪 百千萬劫歷微塵

此身不向今生度 更待何生度此身


출처 남호 송성수님의 100일 염불수행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산 그늘 | 작성시간 17.11.06 나무아미타불 ()()()
  • 작성자운정맑은구름 | 작성시간 17.11.13 나무아미타불
  • 작성자진의성 | 작성시간 17.11.21 감사합니다. 성불하십시요.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
  • 작성자솔뫼777 | 작성시간 17.12.01 나무 아미타불...()()()
  • 작성자운정맑은구름 | 작성시간 17.12.31 나무아미타불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