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경전/불보살님

[스크랩] 작은 사자후 경(Cūḷasīhanāda sutta, M11)/불교와 다른 종교의 차이는 무엇인가?

작성자무오|작성시간19.12.04|조회수82 목록 댓글 2

작은 사자후 경(Cūḷasīhanāda sutta, M11)

 

불교의 교단에만 깨달음을 얻은 성자가 있다.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은 불교에만 있다. 다른 종교에는 없다고 사자후를 토할 만큼 확신 있게 말할 수 있는 근거가 무엇인가? 불교와 다른 종교의 차이는 무엇인가? 이것은 상당히 중요한 문제이다. 이 경에서 차이를 밝히고 있다.

 

What are the four? We have confidence in the Teacher, we have confidence in the Dhamma, we have fulfilled the precepts, and our companions in the Dhamma are dear and agreeable to us whether they are layfolk or those gone forth.

 

“무엇이 넷인가? 우리에게는 ① 스승에 대한 확신이 있고, ② 스승의 가르침(담마)에 대한 확신이 있고, ③ 계율을 지키고 ④ 출가자건 재가자건 서로 사랑하고 화합하는 도반이 있다.”

 

이렇게 말하니까 이교도들이 이렇게 반박을 한다.

 

“Friends, we too have confidence in the Teacher, that is, in our Teacher; we too have confidence in the Dhamma, that is, in our Dhamma; we too have fulfilled the precepts, that is, our precepts; our companions in the Dhamma are dear and agreeable to us too whether they are layfolk or those gone forth. What is the distinction here, friends, what is the varianc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you and us?”

 

“친구여, 우리에게도 우리의 스승에 대한 확신이 있고, 우리의 담마에 대한 확신이 있다. 우리에게도 우리가 지키는 계율이 있고, 출가자거나 재자가거나 서로 사랑하고 화합하는 도반이 있다. 우리와 당신들 불교와 차이가 무엇인가?”

 

이교도들도 자기들 종교에도 아라한이 있다고 말한다. 그들이 생각하는 아라한이라는 개념에 문제가 있지만 말이다. 그래서 붓다는 그들에게 이렇게 질문을 한다.

 

'How then, friends, is the goal one or many?' Answering rightly, the wanderers of other sects would answer thus: 'Friends, the goal is one, not many.'

 

“그러면 좋다. 친구들이여, 목표가 하나인가 아니면 여럿인가?”제정신이 박힌 종교라면 이렇게 대답한다. “친구여, 목표는 하나이다. 여럿이 아니다.”

 

불교의 목표는 아라한이 되어 윤회에서 해탈하는 것이 목표이다. 하지만 다른 종교에도 목표가 있다. 바라문들은 범천에 태어나는 것이 목표이다 또는 범천과 합일하는 것이 목표이다. 어떤 종교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구원해주시어 천상에 태어나는 것이 목표이다. 붓다 당시의 인도의 모든 교단들이 자기 나름대로 주장하는 목표가 있고, 그들이 생각하는 아라한이 있다. 그래서 그들에게 질문이 들어간다.

 

'But, friends, is that goal for one affected by lust or free from lust?' Answering rightly, the wanderers of other sects would answer thus: 'Friends, that goal is for one free from lust, not for one affected by lust.' -- 'But, friends, is that goal for one affected by hate or free from hate?' Answering rightly, they would answer: 'Friends, that goal is for one free from hate, not for one affected by hate.' -- 'But, friends, is that goal for one affected by delusion or free from delusion?' Answering rightly, they would answer: 'Friends, that goal is for one free from delusion, not for one affected by delusion.' -- 'But, friends, is that goal for one affected by craving or free from craving?' [*p.65] Answering rightly, they would answer: 'Friends, that goal is for one free from craving, not for one affected by craving.' -- 'But, friends, is that goal for one affected by clinging or free from clinging?' Answering rightly, they would answer: 'Friends, that goal is for one free from clinging, not for one affected by clinging.' -- 'But, friends, is that goal for one who has vision or for one without vision?' Answering rightly, they would answer: 'Friends, that goal is for one with vision, not for one without vision.' -- 'But, friends, is that goal for one who favours and opposes, or for one who does not favour and oppose?' Answering rightly, they would answer: 'Friends, that goal is for one who does not favour and oppose, not for one who favours and opposes.' -- 'But, friends is that goal for one who delights in and enjoys proliferation, or for one who does not delight in and enjoy proliferation?' Answering rightly, they would answer: 'Friends, that goal is for one who does not delight in and enjoy proliferation, not for one who delights in and enjoys proliferation.'

 

“좋다. 친구들이여, 그 목표에 도달하는 자는 탐욕이 있는 자인가? 탐욕이 없는 자인가?” 제정신이 박힌 종교라면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탐욕이 없는 자가 도달한다.”

“좋다. 친구들이여, 성냄이 있는 자가 도달하는가? 성냄이 없는 자가 도달하는가?” 정상적인 종교라면 ‘성냄이 없는 자가 도달한다.’라고 대답한다.

“좋다. 친구들이여, 어리석음이 있는 자가 도달하는가? 어리석음이 없는 자가 도달하는가?”...... “어리석음이 없는 자가 도달한다.”

“좋다. 친구들이여, 갈애가 있는 자가 도달하는가? 갈애가 없는 자가 도달하는가?" ....... ”갈애가 없는 자가 도달한다."

“좋다. 친구들이여, 집착이 있는 자가 도달하는가? 집착이 없는 자가 도달하는가?" ....... ”집착이 없는 자가 도달한다."

“좋다. 친구들이여, 통찰지가 있는 자가 도달하는가? 통찰지가 없는 자가 도달하는가?”....... “통찰지가 있는 자가 도달한다.”

“좋다. 친구들이여, 좋아하는 자나 싫어하는 자가 도달하는가?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는 자가 도달하는가? .......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는 자가 도달한다."

 

대상을 좋아하는 탐욕의 마음부수이고, 싫어하는 것은 분노의 마음부수이다.

 

"좋다. 친구들이여, 망상을 즐기는 자가 도달하는가? 망상을 즐기지 않는 자가 도달하는가?” ....... “망상을 즐기지 않는 자가 도달한다.”

 

여기서 망상(papañca)은 갈애와 견해로 인해 마음이 끝없이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올바른 종교라면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없어야 목적지에 도달한다고 말해야 한다. 목적지에 도달한 사람이 진리를 깨달은 성자이다. 현대의 종교들은 욕망과 분노가 들끓더라도 천국에 태어나는 것이 목표이다. 항상 갈구하는 기도를 하고, 남의 종교를 저주하는 분노를 일으키면 일으킬수록 구원을 얻어 천국에 태어난다고 믿는다. 그러나 사실은 욕망과 분노가 가득하면 천국(여기서는 천상이나 범천이나 동일한 개념으로 본다.)에 태어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욕망이 적고 착한 행위를 많이 하는 자들이 천국에 간다. 이것은 구원의 문제가 아니고 보편성의 법칙이다. 불교는 천국에 가는 것이 목표가 아니다. 천국도 결국에는 유한의 세계이며 욕망의 세계이다. 불교는 욕망이 한 티끌이라도 있다면 욕망의 세계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강조한다. 이교도들이 자신들의 종교에서도 탐욕과 분노가 없는 것이 목표라고 대답한다면 붓다는 두 번째 단계로 나아간다.

 

"Bhikkhus, there are these two views: the view of being and the view of non-being. Any recluses or brahmins who rely on the view of being, adopt the view of being, accept the view of being, are opposed to the view of non-being. Any recluses or brahmins who rely on the view of non-being, adopt the view of non-being, accept the view of non-being, are opposed to the view of being.

 

비구들이여, 두 가지 견해가 있다. 존재의 견해와 비존재의 견해이다. 존재의 견해에 의지하고 채택하고 받아들이는 자는 비존재의 견해에 반대한다. 비존재의 견해에 의지하고 채택하고 받아들이는 자는 존재의 견해에 반대한다.

 

여기서 존재의 견해는 영원주의(常見, sassata-diṭṭhi)이다. 상견은 몸은 죽더라도 그 안에 들어있는 영혼은 죽지 않고 영원하다는 견해이다. 비존재에 대한 견해는 몸이 죽으면 아무것도 없다는 허무주의(斷見, uccheda-diṭṭhi)이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하나의 견해에 집착하면 그것은 탐욕이며, 그로 인해 다른 견해를 반대하고 싫어하게 된다. 싫어한다는 것은 혐오감이며 넓게 보면 분노이다. 즉 탐욕과 분노가 남아있는 상태이다. 기독교와 더불어 대부분의 종교가 영원주의이다. 물질론자들은 허무주의이다. 이런 견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깨달음을 얻을 수 없으며 따라서 그런 종교에는 성인이 있을 수 없다. 견해를 깨뜨리는 단계가 수다원(여기서부터 성인으로 들어간다.)이다.

 

"Any recluses or brahmins who do not understand as they actually are the origin, the disappearance, the gratification, the danger and the escape in the case of these two views are affected by lust, affected by hate, affected by delusion, affected by craving, affected by clinging, without vision, given to favouring and opposing, and they delight in and enjoy proliferation. They are not freed from birth, aging and death, from sorrow, lamentation, pain, grief and despair; they are not freed from suffering, I say.

 

두 가지 견해의 일어남, 소멸, 만족, 위험 그리고 벗어남을 있는 그대로 알지 못하는 자는 탐욕, 분노, 어리석음, 갈애에 사로잡히고, 통찰지가 없고, 좋아하거나 싫어하게 되고, 망상을 일으킨다. 그러면 태어나고 죽는 것이 반복되고 슬픔, 탄식, 고통, 슬픔, 절망이 끝없이 계속된다. 즉 괴로움에서 영원히 벗어나지 못한다.

 

견해가 일어나는 원인에는 8가지가 있다. 오온, 무지, 접촉, 지각, 마음, 어리석은 주의력, 나쁜 친구, 다른 사람의 말이다. 삿된 견해가 모두 소멸할 때는 수다원도에 들었을 때이다. 견해에 대한 만족은 심리학적 요구가 견해와 맞아떨어졌을 때 일어난다. 특히 영원히 존재하기를 원하는 영원주의자들의 갈애가 상견을 만났을 때, 반대로 존재하지 않기를 바라는 허무주의자들이 단견을 만났을 때 일어난다. 견해에 따라 수반되는 영원한 속박이 견해의 위험이다. 왜냐하면 바른 견해를 받아들이지 못하게 하며 해탈을 얻지 못하게 하고, 닙바나를 성취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Bhikkhus, there are these four kinds of clinging. What four? Clinging to sensual pleasures, clinging to views, clinging to rules and observances, and clinging to a doctrine of self.

 

네 가지 집착이 있다. 감각적 욕망에 대한 집착, 견해에 대한 집착, 계율과 금지에 대한 집착, 자아의 교리에 대한 집착이다.

집착(取)에는 4가지가 있는데 감각적 욕망에 대한 집착(욕취, 欲取)ㆍ견해에 대한 집착(견취, 見取)ㆍ계율과 금지에 대한 집착(계금취, 戒禁取)ㆍ자아의 이론에 대한 집착(아어취, 我語取)이다.

 

"Though certain recluses and brahmins claim to propound the full understanding of all kinds of clinging, they do not completely describe the full understanding of all kinds of clinging. They describe the full understanding of clinging to sensual pleasures without describing the full understanding of clinging to views, clinging to rules and observances, and clinging to a doctrine of self. Why is that? Those good recluses and brahmins do not understand these three instances of clinging as they actually are. Therefore, though they claim to propound the full understanding of all kinds of clinging, they describe only the full understanding of clinging to sensual pleasures without describing the full understanding of clinging to views, clinging to rules and observances, and clinging to a doctrine of self.

 

어떤 사문과 바라문들이 모든 집착을 완전히 이해한다고 주장하지만, 모든 집착을 완전히 이해한다고 말하지 못한다. 그들은 욕취, 견취, 계금취, 아어취를 완전히 이해하지 않고서 모든 집착을 완전히 이해한다고 말하고 있다. 왜 그런가? 이 사문과 바라문들은 3가지 집착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이 모든 집착을 완전히 이해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견취, 계금취, 아어취를 이해하지 못하고, 단지 욕취를 이해하고 있을 뿐이다.

 

"Though certain recluses and brahmins claim to propound the full understanding of all kinds of clinging........ they describe only the full understanding of clinging to sensual pleasures and clinging to views without describing the full understanding of clinging to rules and observances and clinging to a doctrine of self.

 

어떤 사문과 바라문들이 모든 집착을 완전히 이해한다고 주장하지만........ 그들은 계근취, 아어취를 이해하지 못하고 욕취와 견취만 이해하고 있을 뿐이다.

 

"Though certain recluses and brahmins claim to propound the full understanding of all kinds of clinging ........they describe only the full understanding of clinging to sensual pleasures, clinging to views, and clinging to rules and observances without describing the full understanding of clinging to a doctrine of self. 

 

어떤 사문과 바라문들은 모든 집착을 완전히 이해한다고 주장하지만........ 그들은 아어취를 이해하지 못하고 단지 욕취, 견취, 계금취를 이해하고 있을 뿐이다.

 

모든 이교도(사문과 바라문)들이 모든 집착을 완전히 이해하고 있다고 큰소리치지만, 아무리 뛰어난 이교도들도 4가지 집착 중에서 3가지 집착까지 밖에 이해하지 못한다. 그 세 가지는 감각적 욕망에 대한 집착, 견해에 대한 집착, 계율과 금지에 대한 집착이다. 마지막 하나인 자아의 이론에 대한 집착은 이교도들은 결코 넘을 수 없는 장벽이다. 이것은 붓다의 가르침에만 있다. 이게 불교와 다른 종교와 가장 큰 차이이다. 왜냐하면 ‘무아’의 이론은 불교에만 있기 때문이다. ‘나는 항상 존재한다. 어떤 형태로든, 그것을 영혼이라 부르든, 정신이라 부르든.’이런 ‘있다’라는 이론으로는 수다원과도 얻을 수 없다. 왜냐하면 수다원도에서 ‘있다’라는 관념(有身見)이 부셔져나가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른 종교에서는 성인이 없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Bhikkhus, in such a Dhamma and Discipline as that it is plain that confidence in the Teacher is not rightly directed, that confidence in the Dhamma is not rightly directed, that fulfilment of the precepts is not rightly directed, and that the affection among companions in the Dhamma is not rightly directed. Why is that? Because that is how it is when the Dhamma and Discipline is badly proclaimed and badly expounded, unemancipating, unconducive to peace, expounded by one who is not fully enlightened.

 

비구들이여, 그러한 법과 율 아래에서, 스승에 대한 확신은 잘못된 것이고, 법에 대한 확신도 잘못된 것이고, 계율의 성취도 잘못된 것이고, 법안에서 동료들의 우정도 잘못된 것이다. 왜 그런가? 법과 율이 잘못 설해지고, 잘못 해석되고, 해탈로 인도하지 못하고, 평화로 인도하지 못하고, 깨닫지 못한 사람이 설한 가르침이기 때문이다.

 

거친 욕망은 아나함도에서 제거되지만 미세한 욕망은 아라한도에서 제거된다. 그리고 3가지 집착은 수다원도에서 제거된다. 이 3가지 견해는 사견(邪見)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집착은 어떻게 제거되는가? 연기의 고리를 거슬러 올라가면 그의 뿌리는 무명에 있다. 그러므로 무명이 제거되어야 집착이 제거된다.

 

//

다음검색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원효사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들마을(전법심) | 작성시간 19.12.04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_()_()_()_
  • 작성자장우중 | 작성시간 19.12.05 감사합니다.나무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