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만주 연구

만주어 음운체계(출처:위키백과)

작성자헨리헤크스|작성시간07.04.14|조회수97 목록 댓글 3
음운

로마자는 묄렌도르프 (Möllendorff) 방식의 로마자 전사(transliteration)이며 필요에 따라 국제 음성 기호에 의해 보충 설명한다.

[편집] 모음

단모음에는 아래 여섯 개가 있다.

a e i o u ū

e는 [e]가 아니라 [ə]와 같은 소리이다. ū는 보통 /g/, /k/, /h/ 다음에만 나타나며 [ʊ]와 같은 소리였다고 추측된다. 이중모음에는 /ai/, /ei/, /oi/, /ui/, /io/, /oo/가 있다. (/oo/는 /o/의 장모음으로도 해석됨.) 남성(양성)모음, 여성(음성)모음, 중성모음에 의한 모음조화가 존재하지만 엄격한 것은 아니다.

남성모음 a,o,ū
여성모음 e
중성모음 i,u

[편집] 자음

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파열음, 파찰음 p  b t  d c  j k  g
비음 m n ng
마찰음 f s š h
탄음 r
설측음 l
반모음 w y
  • /p/-/b/ 등 무성, 유성의 대립은 유기, 무기([pʰ], [p] 등)의 대립이었다는 견해도 있다.
  • /s/는 [s]이지만 i 앞에서는 [ʃ]로 소리난다.
  • /c/, /j/는 각각 경구개 파찰음 [ʧ], [ʤ]이다.
  • /š/는 [ʃ]이지만 i 앞에서는 [ʂ]로 소리난다. ši는 고유 만주어에 없다.
  • /k/, /g/, /h/는 남성모음 /a/, /o/, /ū/ 앞에서는 연구개음 [k], [ɡ], [x]로, 여성·중성모음 /e/, /u/, /i/ 앞에서는 구개수음 [q], [ɢ], [χ]로 소리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 /ng/는 연구개 비음 [ŋ]을 나타낸다.

[편집] 음소 배열의 특징

만주어는 음소 배열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w 뒤에는 a, e 이외의 모음이 오지 않는다.
  • 차용어를 제외하고 t, d 뒤에 i가 오지 않는다.
  • y 뒤에 모음 i가 오지 않는다.
  • ū는 보통 k, g, h 뒤에만 올 수 있다.
  • r은 어두에 오지 않는다.
  • ng는 음절초에 오지 않는다. 또 어중의 ng는 k, g 앞에만 나타난다.
  • 음절말에 올 수 있는 자음은 b, m, t, n, r, l, s, k, ng이다.
  • 어말에 올 수 있는 자음은 n뿐이다. (외래어 제외)
  • 보통 음절초 또는 음절말에 자음이 연속되지 않는다. (음절말 자음과 음절초 자음은 연속될 수 있음)

 

출처: http://ko.wikipedia.org/wiki/%EB%A7%8C%EC%A3%BC%EC%96%B4#.EC.9D.8C.EC.9A.B4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헨리헤크스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07.03.17 저 교수의 주장과 달리 위키백과에서 만주어의 폐쇄음의 변별자질은 무성/유성으로 나와있습니다.
  • 작성자월계자 | 작성시간 07.03.17 음...위에 인용된 위키백과에는 "/p/-/b/ 등 무성, 유성의 대립은 유기, 무기([p?], [p] 등)의 대립이었다는 견해도 있다."고 했는데, 성백인 교수님은 17세기 만주어에 대해서 후자의 유기 무기 대립설을 취한 셈이군요. 묄렌도르프는 무성 유성 대립설을 택한 셈이고....
  • 작성자월계자 | 작성시간 07.03.17 만주어 녹음 자료가 있다면 어렵지 않게 판단을 할 수 있을텐데....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