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아잎(배초향, 곽향)의 효능
방아잎----건위 구풍 소화 해열 감기 두통 종양 치료에 쓴다.
속명 : 방앳잎, 방아잎, 중개풀, 방애잎, 방아풀
생약명 : 곽향
채취시기 : 여름, 가을에 꽃이 필 때 채취한다.
약효 : 위장. 소화. 위염. 대장염. 감기. 구토증에 좋으며 속을 편안케 한다
◈ 효능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여 소화기계통의 기능을 항진시키면서 외부의 사기로 인한 체표의
사기를 발산시켜 주므로 소화불량,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감기에 효과특히 여름철에 좋은 약재이
며 잘못 먹어서 토하고 설사하는 증상에도 좋다.
가슴이 답답하고 메스꺼운 증상, 발열, 도통, 구토, 식욕부진, 복부팽만, 설사에 활용위장을 건강하
게 하고 소화를 좋게 하여 속을 편안하게 하며, 당뇨·혈압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위장. 소화. 위염. 대장염. 감기. 구토증에 좋으며 속을 편안케 한다.
향이 좋고 약효성분이 많아, 노화방지 및 피부질환에 쓰인다.
생잎은 한방채소로 육류, 해물요리, 매운탕 등에 사용하면 생선특유의 비린내를 없애주므로 용도
가 다양하게 이용된다.
배초향의 꽃은 향기가 아주 진하여 기름을 뽑아 방향제로 쓰며 봄철에 어린순을 나물로 먹기도 한다.
성숙한 잎은 쌈을 싸먹거나 송편을 싸서 찌기도 하고 추어탕이나 장어탕, 보신탕에 넣어 먹어 냄새
를 제거하고 입안을 향기롭게하여 향신료로 사용되고 있다.
생선을 먹을 때 비린내를 없애는 용도로도 사용한다.
꽃이 아름다워 또한 집안에서 관상용으로 가꾸기도 한다.
또한 꽃속에 꿀이 많이들어 있어 곤충들이 즐겨찾고 꿀벌을 치는 사람에게 주요 밀원식물 중 하나
이다.
배초향은 맛이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심장, 폐장, 비장, 위장으로 들어간다. 기분을 상쾌하게 하고, 위장의 기운을 보충해주며 악취를
제거하고 습열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가래, 기침, 식체, 식욕촉진, 속이 쓰리고 아픈증상, 한열, 두통, 구토, 설사, 학질,이질, 옴, 입냄새
를 제거한다.
[한국본초도감]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화습, 해표, 거서, 지구, 개선의 효능이 있어 습이 비위에 정체된 것을 치료하므로 복부창만, 식욕
부진, 메스꺼움, 구토, 설사, 설태가 두껍게 끼는 증상을 다스린다.
특히 소화 장애가 따르는 감기로 가슴이 답답하고 메스꺼운 증상 및 발열, 두통, 구토, 설사, 몸이
나른한 증상에 유효하다.
여름철의 구토, 설사에 신통력이 있으며, 차로 항상 복용하면 더위를 잊게 한다.
옴이나 버짐(특히 손, 다리)에는 달인 물에 환부를 30분간 담가 치료한다.
입 안에서 구취가 날 때에는 약물 달인 물로 양치질을 하면 제거된다.
[동의학사전]
방아풀(배초향)은 각지의 산기슭과 산골짜기에서 자라고 광곽향(廣藿香)은 아열대에서 심는다.
방아풀은 여름에 꽃이 필때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폐경, 비경, 위경에 작용한다.
땀이 나게 하고 기를 잘 통하게 하며 비위의 기능을 강하게 하고 서습(暑濕)을 없애며 구토를 멈춘다.
약리실험에서 위액분비촉진작용, 약한 발한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서습증, 여름감기, 식욕부진, 소화장애,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에 쓴다.
◈ 식용 방법
특히 전초에서 강한 향기가 나므로 잘 말려서 차로 음용할 수 있다.
생잎을 이용하며 생선 비린내를 제거하거나 육류 요리시에 냄새를 없애는데 사용할 수 있다.
5~8월경 채취한 어린싹과 잎은 날 것으로, 또는 데쳐서 식용하면 좋다.
◈ 차 만들기
-어린잎을 채취
-깨끗이 세척후
-김을 이용해 잎을 찐후
-그늘에 말린다
-차를 드실때 조금씩 우려내 마시면
-좋은 차가 된다
◈ 민간요법
입냄새를 없앨 때
깨끗이 씻은 배초향을 달인 물로 매일 양치질을 한다.
무더운 여름철 구토하고 설사를 할 때
볶은 활석 74그램, 배초향 10그램, 정향 1.85그램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1회 4~8그램을 쌀뜨물
과 섞어서 먹는다.
어린 아이의 이가 흔들리고 이틀에서 피고름이 나며 입냄새가 심하게 나고 입이 부어 오를 때
배초향에 고반을 조금 넣고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치근 위에 바른다.
칼에 베인 상처로 피가 날 때
배초향과 용골 적은 양을 가루로 만들어 바른다.
토사곽란
흰부분을 제거한 진피와 잎과 흙을 제거한 배초향즙. 이 두가지 약물을 같은 양으로 하여 1회 18.5그램에 물 1잔 반을 붓고 7할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수시로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학질
고양강, 배초향 각 18.5그램을 가루로 만들어 4첩을 균등하게 나누어 1회 물 1사발을 붓고 1잔으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따뜻하게 데워 복용한다. 낫지 않으면 다시 먹는다.
피부나 점막이 짓무르거나 헐 때
배초향의 잎과 좋은 차 같은 양을 태운 재를 기름에 개어서 잎에 발라 붙인다.
건위약,구풍약,소화약,해열약으로 더위를 먹거나 먹은 것이 체했을 때,감기,두통과 구토설사에 쓴다.
피질병, 종양 치료약으로도 쓴다. 특히 비장과 위장병에 쓰이는 중요한 약이다.
배초향 달임약(6-12g:200ml)을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간장과 된장 등 식료품에 좋은 향료로 되며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
◈ 주의사항
-오래 달이면 약성이 경청하여 날아가므로 오래 달이지 말아야 하며 위가 허하여 구토하는 사람
-열병으로 열이 있거나 음이 부족하여 열이 있는 사람에게는 쓰지 말아야 한다.
1)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향긋한 향과 매콤한 맛이 어울려 맛있다
2) 소화기계통의 기능을 항진시키면서 외부의 사기로 인한 체표의 사기를 발산시켜 주므로
소화불량,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감기에 효과특히 여름철에 좋다.
3) 잘못 먹어서 토하고 설사하는 증상에도 좋다.
4) 가슴이 답답하고 메스꺼운 증상, 발열, 도통, 구토, 식욕부진, 복부팽만, 설사에
활용위장을 건강하게 하고 소화를 좋게 하여 속을 편안하게 한다.
5) 당뇨·혈압 등에 탁월하게 도움을 준다.
6) 소화불량, 식용부진, 위장. 소화. 위염. 대장염. 감기. 구토증에 좋으며 속을 편안케 한다.
7) 향이 좋고 약효성분이 많아, 노화방지 및 피부질환에 쓰인다.
8) 또한 한방채소로 육류, 해물요리, 매운탕 등에 사용하면 생선특유의 비린내를 없애주므로
용도가 다양하게 이용된다.
오늘은 방아잎효능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하는데요 우리나라 허브라고 불리며 다른명칭은 배초
향이라고 불리는데요
따뜻한 성질을 갖고있고 매운맛을 가진 방아잎은 향이 독툭하여 생선 비린내를 잡는데 사용되었
는데요 알고보면 더 좋은 방아잎효능 지금시작하겠습니다.
방아잎효능 첫번째 식욕부진에 좋으면 퀀태감에 좋습니다.
요즘같은 더운날씨에는 식욕부진으로 힘들어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이럴 때 방아잎을 드신다면
식욕증진에 도움을 주고 원태감을 해소해 줍니다.
심신안정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아잎은 기분이 다운되어 있을 때 상쾌하게 해주며 위장의 기운
을 보충하여 줍니다.
방아잎효능 가운데 혈압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주며 고혈압, 당뇨, 노화방지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소화기능을 높혀주어 소화불량에 좋고 설사가 멎는데도 좋습니다.
한열(오한과 발열)증상에 좋고 두통으로 고생하시는 분들께서 드시면 좋겠습니다.
진해거담에 좋으며 속이 쓰리고 아픈 증상을 제거해준다고 합니다.
방아잎효능 마지막은 구토를 멈추게하는 것인데요 비, 위를 보양아여 주고 따뜻하게 해주는 작용
을 합니다.
방아잎 감자전
재료 : 방아잎 50g,감자큰것 3개(570g), 밀가루 2컵,달걀2개.소금 2/3작은술,식용유 적당량
만드는방법
1, 방아잎 은 억센 줄기 를 잘라내고 연한잎 만 잘 씻어서 물기 빼구요,
2,감자 는 강판 에 갈아 준비
3, 갈아 놓은 감자 를 볼에 담고 달걀 과 밀가루, 방아잎 을 넣고 소금간 하여서
골고루 섞어서 달군팬 에 기름 두르고 한 수저씩 떠내어 부치면 됩니다
방아 장떡
재료
방아잎, 부추, 양파,청양고추.호박, 깻잎 등 집에 있는 재료를 이용 밀가루, 고추장이나 된장, 식용유
방아잎을 위와 같이 준비하고 나머지 재료를 적당히 썰어 넣고 된장이나 고추장을 섞어 간을 맞춘
후 지져낸다
1. 식물명
식물명 : 배초향(排草香) 학 명 : Agastache rugosa(FISCH et Meer)O. Kuntze. 생약명 : 곽향(藿香) 이 명 : 合香, 羅香, 排香草, 土藿香, 大薄荷, 野薄荷, 薄荷, 방애잎, 방앳잎, 방아잎, 방한잎, 중개풀, 참쇄기, 大藿香, 川藿香, 鐵馬鞭, 家猫香, 描把, 描把蒿, 仁丹草, 拘尾巴香, 拉拉香
2. 분포 및 형태
형태 : 다년생 초본으로 50~150cm정도 곧게 자라는데 줄기는 4각형이며 잎은 對生하고 卵狀心藏形으로서 톱니가 있어 끝이 뾰족하게 밑 뒷면에 약간의 털이 있어 7~9월에 자주색의 輪傘花序로 꽃이 피며 9~10월경에 열매가 성숙됨. 분포 : 우리나라 전역의 산야지 계곡, 약간 습기있는 곳에 자생한다. 많이 재배되는 곳 : 경북 경산, 전남 해남, 순천, 구례, 여수, 경남 하동
3. 성분, 이용 및 품질기준
성분 : methylchavicol(estragole) eugenol limonene caryophyllene, rosemary acid linolenolic acid, palmitic acid, glutamic acid, histidine, serine, proline 등 용도 : 頭痛, 腹痛, 嘔吐, 泄瀉, 痢疾, 寒熱, 감기, 下痢, 口臭, 中風, 消化不良, 胃炎, 腸炎, 惡心, 腫氣, 腫毒, 風濕, 高血壓, 糖尿 효능 : 制吐, 止瀉, 抗眞菌, 健胃, 解熱, 解署, 發表 등 품질기준(약전, 생약규격집) 순도시험 이물 : 이 약은 뿌리와 그밖의 이물이 2.0% 이상 섞여 있어서는 안된다. 회 분 : 8.0% 이하 산불용성, 회분 2.5% 이하 정유함량 : 0.3㎖ 이상(50.0g) 등 급 : 양품→ 이 약은 황녹색이고 약간의 쓴맛을 지녀 부드러우며 특이한 향기가 강하고 길이 2~3cm, 0.9~1.1cm로 잘게 썰어야 한다.
| |
|
|
1. 재배환경 및 적지선택
가. 기 후 * 비교적 추위에 잘 견디는 중북부지역에서도 잘자라지만 이른 봄에 새싹이 나오므로 서리 피해를 받지 않는 남부지역에서 재배가 유리함. * 일사량이 많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생육이 양호하고 품질도 좋음.
나. 토 양 * 토심이 깊고 어느정도 습기가 유지되는 물빠짐이 좋은 곳인 양토나 사양토임. * 지나치게 건조하면 발아율이 저하되고 장마철 배수가 불량하면 뿌리가 썩어 말라죽음.
2. 품종
가. 품종명 : 연구기관에서 육성 보급된 품종은 없으며 자생 및 농가에서 재배해온 지방수집종이 주종을 이룸.
나. 주요특성 장경, 다분지성, 엽장폭이 크고 경엽 다수성임. 정유성분 함량이 높고 주요 성분함량이 높음
다. 재배상 유의점 * 채종방법 : 척박한 토질에서는 건조하며 위조현상이 발생하고 장마철 배수불양 토양에서는 뿌리가 썩어 고사됨. * 생육초기에 질소성분이 많아 생육이 너무 좋으면 개화가 빨라지므로 후기에 추비중점 시비로 재배할 것
3. 종묘번식 및 채종
가. 번 식 : 종자 및 포기나누기(分枝)
나. 채종방법 * 직파재배, 온상육묘이식재배 : 1~2년생에서 채종 * 타화수정작물이므로 격리채종 할 것
4. 경종기술
가. 재배양식 * 직파재배 - 노지재배 : 춘파 1년생(3월 상,중순, 3월 하순~4월 상순 파종, 수확-1차: 8월 중순, 2차: 10월 중,하순), 2~3년생(수확-1차: 7월 상순, 2차: 10월 상순), 추파 : 발아율이 저조하고 동상해 피해율이 높아 재배가 어려움 - 하우스재배 : 추파 1년생(10월 상,중순 파종, 수확-1차: 7월 중순, 2차: 9월 중,하순), 2~ 3년생(수확-1차: 6월 중순, 2차: 9월 상,중순), 춘파 1년생(3월 상,중순 파종, 수확-1차: 8월 상순, 2차: 10월 상,중순), 2~3년생(수확-1차: 6월 하순, 2차: 9월 중,하순, 10월상, 중순) * 온상육묘 이식재배 : 10월 상순, 3월 중,하순(남부), 1년 육묘, 4월 중,하순(남부) ~ 5월 상 ,중순(중부) 이식, 10~11월 수확 * 채종재배 : 수확시 망실재배로 채종포 설치, 1~2년생 종자생산
나. 파종 및 육묘(묘기르기) 1) 묘판적지 * 햇빛이 잘들고 통풍이 좋은 동남향의 밭을 선택 * 비옥도가 중정도인 참흙, 흑모래참흙 물빠짐이 좋고 보수력이 좋은곳 2) 묘판면적 (10a당) : 산 파 15~19㎡(4.5~5.7평) 조 파 20~30㎡(6~10평) 3) 파종시기 * 직파재배-하우스(추파: 10월 상,중순, 춘파: 3월 상,중순), 노지(남부지방: 3월 상,중순, 중북부지방: 3월 하순~4월 상순) * 육묘이식재배(추파: 10월 상,중순, 춘파: 3월 상,중순) 4) 파종량(10a당) : 육묘이식재배: 30~60g, 직파재배: 점파 25~30g, 조파 50~60g ※ 산파시 2g/㎡ 기준(0.26g/1,000립) 5) 침종(발아억제 물질제거) 및 소독 * 흐르는 물에 1~2일간 침종 * 종자소독 : 벤레이트티 1,000배액에 1~2시간 소독한후 맑은 물로 씻거나 분의 처리한 다음 파종 * 30~35℃에서 2~3일간 처리후 발아되기 전에 파종 6) 파종방법 : - 산파 120cm 이랑에 산파 - 조파 120cm 이랑에 30cm 간격 조파 - 종자가 않보일 정도(1cm) 흙덮음 7) 묘판관리 - 시 비 : 10㎡당 완숙퇴비 10kg, 복합비료(17-21-17) 300~350g 전층시비 - 수 분 : 파종후 짚, 왕겨로 피복하고 충분히 관수할 것 - 병충해방제 : 입고병, 진딧물, 응애 등 - 묘가 5~8cm 자라면 밀생한 곳은 솎아주고 풀을 뽑아준다.
다. 아주심기(定植) 1) 묘가리기 : 묘 크기는 5~10cm 정도로 굵고 건실한 묘 선별 2) 정식시기 : 4월 중순~하순, 5월 상순~중순 * 정식후 활착이 잘되도록 차광망 설치하거나 볏짚등을 피복함 3) 재식거리 : 직파재배- 밀식(조간 30cm, 주간 20cm), 소식(조간 60cm, 주간 30cm) * 육묘이식재배 : 조간 25~30cm, 주간 15~20cm 4) 정식방법 * 묘가 건조하지 않게 관리하고 흐린날을 택하거나 비가 와서 습기가 충분할 때 정식 * 15~20cm 깊이로 골을 파고 45°각도로 세우고 심는다 5) 피복재배 * 흑색비닐 피복재배로 잡초발생 억제되고 노동력 절감, 지상부 생장량 양호
|
|
|
<개체> |
<군집> |
<개화> |
라. 거름주기 * 유기질 비료는 퇴비 3,000kg를 시용하거나 계분 50kg+유박 50kg 복합시용시 수량증대 및 품질향상 * 화학비료 시용 : 1년생(기비-퇴비2,000kg, 요소16kg, 용과린50kg, 염화가리11kg, 추비-7월상순~중순, 8월하순~ 9월상순에 요소5kg, 염화가리 3kg씩 2회 분시함) 2~3년생(1차 추비 : 4월상,중순 퇴비2,000kg, 요소10kg, 용성인비50kg, 염화가리7kg, 2,3차 추비-6월상,중순, 8월상,중순에 요소8kg, 염화가리5kg씩 2회분시함)
마. 제초 * 파종후 1~2주일 내외가 되면 출현하고 1~2회 김매기와 함께 주간거리를 20~30cm 정도 로 솎아내고 결주된 곳에 옮겨 심는다. 옮겨 심은 후 초기생육이 저조하므로 초기에 잡초 방 제를 하지 못하면 방제하기가 어렵다. * 배초향밭 잡초에 적용되는 고시된 제초제는 없으나 잡초 2~3매 정도일 때 중기제초제인 나브, 원싸이드 유제 100~150㎖/10a를 사용한다.
바. 주요관리 * 장마철에 배수가 안되면 뿌리가 부패하기 쉬우므로 배수로 관리에 철저를 기한다.
5. 병해충 및 재해방지
가. 병해충 방제 : 식물 자체의 향이 진하여 병충해가 별로 없으므로 농약 사용은 지양할 것 1) 병해 : 갈색점무늬병, 줄기(뿌리)썩음병, 흰가루병 2) 충해 : 거세미, 굼벵이, 응애, 뿌리혹선충
나. 재해방지 1) 연작장애 : 연작을 싫어하므로 돌려짓기 2) 습 해 : 장마기에 배수불량시 습해가 심함
6. 수확 및 건조
가. 수확시기 * 1년 파종으로 수확후 2~3년 동안은 재파종하지 않아도 수확이 가능함. - 하우스재배: 추파 1년생: 1차(7월중순), 2차(9월중,하순), 2~3년생: 1차(6월중순), 2차 (9월상,중순), 춘파 1년생: 1차(8월상순), 2차(10월상,중순), 2~3년생: 1차(6월하순), 2차 (9월중,하순) - 노지재배: 1년생: 1차(8월중순), 2차(10월중,하순), 2~3년생: 1차(7월상순), 2차(10월상순)
나. 건조방법 : * 6~9일 정도 천일건조하거나 건조기를 이용한 송풍건조(60℃, 풍속4m/초, 12시간) 또는동 결건조(40℃, 42㎜ Torr/㎛2, 8시간)하면 색깔과 향기 성분의 함량이 높았음. *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에 생엽을 채취한 후 고르게 차곡차곡 펴서 밀봉포장하여 저온저장고(0℃)에 보관으로 장기저장이 가능함.
7. 특수재배 * 쌈용 잎채소 재배 : 겨울동안 온상에서 재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