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313)네스토리우스 가르침 단죄,교회 일치 도모한 그리스 교부의 한 명인 교회학자 聖 치릴로(6.27)大主敎 傳記 & 전구(轉求)기도
작성자베드로 문작성시간24.06.27조회수21 목록 댓글 1
오늘(6월27일)의 聖人 中 치릴로 大主敎 傳記
기본정보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치릴로 (Cyril) |
6월 27일 |
성인 |
총대주교, 교회학자, 교부 |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
380?-444년 |
시릴, 시릴로, 시릴루스, 치릴루스, 키릴로, 키릴로스, 키릴루스 |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 태생인 성 키릴루스(Cyrillus, 또는 치릴로)는 그 도시의 총대주교인 테오필루스(Theophilus)의 조카였다. 어려서부터 성직자가 되기로 한 그는 알렉산드리아에서 고전과 신학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고, 삼촌인 테오필루스에 의해 사제로 서품되었다. 그는 403년 총대주교인 삼촌을 수행해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로 가서 성 요한 크리소스토무스(Johannes Chrisostomus, 9월 13일)를 단죄한 퀘르키아(Quercia) 주교 회의에 참석했으며, 417년까지는 테오필루스의 노선에 따라 성 요한 크리소스토무스를 반대하였다. 412년 10월 15일 테오필루스 총대주교가 사망하자 성 키릴루스는 사흘 후에 삼촌을 계승해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가 되었다. 그는 삼촌보다 더 뛰어난 신학적 역량을 갖춘 인물이었다. 그러나 성 키릴루스의 지지자와 그의 경쟁자였던 티모테우스(Timotheus)의 지지자 사이에 격렬한 싸움이 일어나 그는 큰 상처를 입고 출발하였다. 그런데 성 키릴루스는 자신이 축출하였던 노바티아누스(Novatianus) 이단을 상대로 일련의 공격을 재개했고, 그리스도인들을 공격하던 유다인들을 추방하는 일에 관여했다. 하지만 유다인들의 반란이 계속되자 오레스테스 총독 또한 그의 행위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결국 성 키릴루스는 세속 정부의 권위를 인정하며 유다인들 문제에서 손을 뗐다. 성 키릴루스는 신학적으로 주로 알렉산드리아의 성 아타나시우스(Athanasius, 5월 2일)의 노선을 따르며 아리우스주의에 대항하였다. 정통 가톨릭 신앙을 지키기 위해 애쓰던 그는 430년에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인 네스토리우스(Nestorius)와 분쟁에 휘말렸다. 네스토리우스는 가톨릭교회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神性)과 인성(人性)이 동일하다고 가르치는 데 반해, 신성과 인성이 분리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성모님은 하느님의 어머니가 아니라 단순히 인간 예수의 어머니이기 때문에, 마리아에게 주어졌던 ‘하느님의 어머니(천주의 모친)’ 즉 ‘테오토코스’(Theotokos)라는 호칭을 사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로 인해 수많은 사람이 이단에 빠지고 많은 성직자와 수도자들도 혼란을 겪게 되었다. 성 키릴루스는 강론과 서한을 통해 네스토리우스의 주장을 반박하고 사람들이 이단에 빠지지 않도록 경고했다. 그리고 네스토리우스에게도 직접 편지를 보내 그의 주장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단에 빠진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자 그는 교황 성 코일레스티누스 1세(Coelestinus I, 4월 6일)에게 이 사실을 보고하여, 430년 8월 로마에서 주교 회의를 개최하여 네스토리우스를 단죄하도록 교황을 설득했다. 그리고 그에 맞추어 성 키릴루스도 같은 해 11월에 알렉산드리아에서 주교 회의를 열어 네스토리우스의 가르침을 단죄하고 교회 일치를 도모하고자 했다. 그러자 네스토리우스는 교황이 아닌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에게 성 키릴루스를 이단으로 고소했다. 당시 네스토리우스가 총대주교로 있던 콘스탄티노플은 황제가 거주하던 곳이었다. 황제의 신임을 믿고 고소했지만, 황제는 이 문제를 독단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며 주교 회의를 소집했다. 그래서 이루어진 것이 431년의 에페수스(Ephesus) 공의회이다. 교황 성 코일레스티누스 1세는 성 키릴루스로 하여금 네스토리우스를 축출하도록 지시하였고, 성 키릴루스는 에페수스 공의회에서 교황의 특사 자격으로 의장직을 맡아 회의를 주재하였다. 이때 200명 이상의 주교들이 대거 참여하여 큰 성황을 이루었다. 에페수스 공의회는 네스토리우스가 결백하다고 주장하는 안티오키아(Antiochia)의 총대주교 요한 1세(Joannes I)과 안티오키아 학파의 신학자들이 대거 몰려오기 전에 네스토리우스와 그의 추종 세력을 단죄함으로써 성 키릴루스의 승리로 끝났다. 네스토리우스는 결국 유배되었고, 이런 과정을 겪으며 그리스도론에 대한 교회의 정통 교리가 확고히 정립되는 계기가 되었다. 2년 후인 433년에 성 키릴루스는 안티오키아 학파와 화해를 이루었다. 안티오키아 학파는 에페수스 공의회에서 결의한 대로 마리아께 ‘하느님의 어머니(천주의 모친)’라는 칭호를 부여하는 것을 인정했고, 그리스도가 성부와 동일하며 인간 예수와 동일함을 인정하는, 즉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동일하다는 결론에 합의했다. 성 키릴루스는 이러한 결의와 합의를 끌어내는 데 큰 역할을 담당했고, 그래서 ‘성모 마리아의 신학박사’라는 별칭을 얻었다. 그러나 네스토리우스 이단이 사라지기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그 후로도 성 키릴루스는 모든 생애를 바쳐 이단 척결을 위해 사목적, 학문적으로 혼신의 노력을 다했다. 성 키릴루스는 삼위일체와 강생에 관한 교의 확립과 신학 논문 저술에 여생을 바쳤고, 그리스도교 사회에 깊이 뿌리박고 있던 펠라기우스주의(Pelagianism)와 네스토리우스주의를 배격하는 일을 지속해 교회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그는 알렉산드리아가 낳은 가장 위대한 신학자였다. 그의 저서는 정확한 사고와 명확한 전개 및 그 합당한 근거 제시로 후대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가 남긴 저서 중에는 구약과 신약 성경에 관한 여러 주석서와 많은 교의 신학 논문을 비롯해 배교자 율리아누스(Julianus) 황제에 대한 반박문과 편지 그리고 다양한 강론들이 전해져 온다. 그리스 교부의 한 명인 성 키릴루스는 1882년 교황 레오 13세(Leo XIII)에 의해 교회 학자로 선언되었다. 동방 교회에서는 6월 9일에 그의 축일을 기념하고 있다. |
┼ 기도합시다.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하느님,
이 세상에서'치릴로'를 당신의 종으로 선택하시어
복음을 받아들이고 신앙을 꽃 피우게 하셨으니
당신의 충실한 종,聖 '치릴로'大主敎의 轉求를 들으시고
저희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시어
우리 모두가 복음을 따라 살아갈수 있도록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아멘.
[청송(靑松)카페 가입 방법] 1.<http://cafe.daum.net/bluepinetreesenior > Click 2.청송(靑松)카페 회원수 옆에 있는 카페 초대 Click 3.가입 인사 글 보냄 2024년6월27일(목) 캐나다 몬트리올 累家에서 청송(靑松)카페지기 베드로 문 拜上 |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