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서보 임서공부

28. 손과정 서보 (임서공부)

작성자하전|작성시간15.10.25|조회수302 목록 댓글 1

 

28. 손과정 서보 (임서공부)


해  설





본  문



서보 임



편 집 본


명지서법 제70회 추계전시회가 있어 찬조작품으로

 출품 하기위해 편집하여 보았다.

평범한 체재이지만

공부하는 마음으로 써 보기로 하였다.

오래전에 동아미전을 준비하는 중에 남은

가로 90에 세로 180 되는 화선지에

쓸 것이다.

2015년 10월 25일






임서




2015년  11월 6일











2015년 11월 7일




11월 7일은 공부하는 날이었다.

첨삭을 받은 글자들을 1/2지인 반지의 화선지에

잘라 옮겨 보았다.

의미를 파악하고자 임서일지라도 작품체재를 잡아서

이 책 저책을 참고하여 해설도 하여보고

본문으로 정자로 옮겨도 보고

노트에 임서도 하고  화선지에 다시 임서를 하여 보곤 하였지만

작품으로 한다고 생각하니 마음이 많이 쓰였다.

전서나 예서는 같은 글자가 반복이 되면

또역자나 =같은 기호로 반복됨을 표시하는데

행초는 같은 자가 반복이 되면 아래 부분에 겹치는

글자는 점점으로 생략 표시를 하는데

여기에서는 단어로도 생략을 하여 놓았다.

예를 들면 본문 끝에서 두 번째 줄의 맨 윗부분의 다섯 번째

점을 찍은 것 즉 득기(得器)가 그것이다.

그리고 화선지에 임서한 것 중 본문의 맨 끝줄 끝에서

네 번 째자는 몽(蒙)자로 써야 하는데

의(義)자로 잘못 써졌다.

내가 초서는 다 모르니 선생님께서

원래의 문장은 초서로 몽(蒙)자인데

의자로 잘 못 써져있다고 하셔서 다시 집자를 하여 놓았다.

이처럼 행서나 초서는 옛 분들이 썼지만

틀리는 글자도 있어서 임서작품이라고 하면

그냥 그대로 쓰기도 하지만

義자는 蒙자로 바꾸어 쓰기로 하였다.

대학에서도

대학지도는 재명명덕하고 재친민...

(大學之道 在明明德 在親民......)에서

親자로 써 있는 것을 문맥상 新자로 바꾸어 읽어야 하는 것처럼.......

전임(全臨)작품에서는 親자로 그대로 작품을 한 적이 있다.

공모전에서도 한동안 오자 시비가 되어

원전을 요구하였던 적이 있었다.

목판본에 있는 대로만 쓰거나

서적에 근거만 있으면 인정하는 것 같다.

이번 임서작품은 생전처음으로 선생님께서

체재가 좋다고 하신 작품이다.

잘 마무리를 하였으면 좋겠다.

이 작품은 2015년 이학기 명지서법회장 김*나에게

줄 것인데 맘에 들었으면 좋겠다.


2015년 11월 9일




완성된 작품이다.





임서




첨삭




이번 달은 이 문장을 계속 공부하기로 하였기에

다시 국전지에 임서를 하였다.

글씨의 크기는 더욱 작아졌다.

사실 화선지의 크기가 90x180이나

국전지나 거의 쓰는 면은 비슷했다.

책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먹물이 떨어진 줄 알고

화이트로 지우고 그것을 편집하여 그 편집본을  보고

작품을 하다보니 실수가 있었다.

선생님께서 아래와 같이 고치라고 하셨다.







也下字誤

寫之如此可也則感也



야하자오

사지여차가야즉감야


야(也)의 아래글자는

잘못되었다.

그것은 이와같이

쓰는 것이 옳다.

곧 감(感)이다.



이렇게 고치려면

낙관의 바로

아래에

작은 글씨로

 써야 하는데






서보에

나와있는 대로

 틀린 글자를

썼을 때에

틀린글자의 바로 옆에

점을 세 번 찍고 바른 글자를 써 놓은

 것처럼

 첨삭한 바와 같이

나역시 따라서

 옆에 점을 찍고

작게 써

주기로 하였다.



공부한 중에

유사, 연사, 절차고, 허첨, 골다공증 ,물렁팥죽 등등의

단어들이 있어 그것에 대해 나름의 해설을 달기로 하였다.



유사 ;  글자 획의 끝에 쓸데 없이 붙는 가는 획을 말한다.

연사 ; 연면초에서 나온 글자와 글자를 연결하는 획인데

         유사와는 사뭇 다른 것이다.

허첨 ; 획이 끝날 때에 붓끝이 획의 끝에 다 묻어나지 아니하고

         보프라기처럼 들쭉 날쭉 끝난 것을 말한다.

골다공증 ; 뼈에 바람이 든 것처럼 획에도 비백과 비슷한 느낌이 들게

              붓이 획의 중심을 통과하지 않은 썪은 획을 말한다.  

              곧 화선지를 뒤집어보면 붓이 지나간 자리가 하얗게 보인다.

              글씨를 쓰면서 가끔 나타나는 비백과는 다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물렁팥죽 ; 획에 힘이 없이 흔들리거나 깐깐하지도 탄력도 없는 것을 말한다.



2015년 11월 21일 공부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cjsbbhy | 작성시간 16.07.16 참으로 명필 이십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