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좋은말씀집

*80세가 넘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

작성자구은희|작성시간24.05.15|조회수31 목록 댓글 0

  ♧ 80세가 넘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

남자는 85세, 여자는 90세면, 거의, 먼 길을 떠나게 된다!!
발췌한 글이오니,
친구(親舊)님들 잘 읽어 보세요.

"삶"이란 지나고 보면, 장수(長壽)의 저주에 빠지기 보다 하고 싶은 일 하면서
활기있는 여생(餘生)을 보내야 한다!!

1960년 오사카 출생. 도쿄대 의학부 졸업 후,
30년 이상 고령자 의료를 전담 해 온, 정신과 의사 <와다 히데키(和田秀樹)>가 쓴 "80세의 壁"이란 책을 봤다.

80의 벽(璧)을, 넘으면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20년이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체력도, 기력도 80세부터는 70대와 전혀 다르답니다!!

인생 100년 시대라고 하나,
건강수명 평균은 남(男) 73세, 여(女) 75세랍니다!!
그런데, 80세를 목전에 두고
침대에서 일어나지 못하며,
간호받는 처지가 되는 사람도 많답니다.

우선 무사히 80대 진입한 건 축하 할 일이다!!
80세의 벽은 높고 두꺼우나 벽을 넘는 방법은 있다.!!

- 우선 싫은 걸 억지로 참지 말고,
   좋아하는 일을 하고, 먹고 싶은 건 먹는다.
- 술도 당기면 마셔라.
- 건강진단은 받지 않는 게 낫다!!
- 약은 상태가 나쁠 때만 복용하자.
- 운동은 적당히 하라.
- 그래서 산책이 제일 좋다.
- 번거로운 뇌 훈련보다, 하고 싶은 일을
   그냥 하는 것이 뇌에도 좋다!!
- 혈압이나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는
   무리하게 내리지 않아도 괜찮다.
- 암(癌)이 발견되어도 절제하지 않는다.
- 뇨실금(尿失禁)이 걱정되면 기저귀를 착용해라.
- 치매는 무섭지 않다. 등, 건강 상식에
   무지한 나에겐 생각할 바가 가득한 것 같다!!

80대(代) 이후는 70대와는 크게 달라서, 하나 하나의 선택이 명줄과 직결되는 삶,
그 벽을 넘어 수명을 연장하고, 건강한 삶을 갖기 위한 요점을 소개한다!!

일단 설득력 있는 전문적 견해인지 여부를 가리는 건 각자의 몫.
나는 80 넘었는데 멀쩡하니 다행이라고 자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맞는 말이다!!

그러나 지나친 안심과 자만은 금물(禁物)
한 치 앞을 모르는 게
우리 80 옹(翁)들의 처지가 아닌가??

우리가 평소 많이 접하는 말들이지만,
이 의사가 주장한 그 것들 중에 마음에 와닿는 한두 개라도 골라 실천한다면,
아니 함보다는 나을 것이다.

다음은 책의 요지!…!
"인간이 몇 살까지 살 수 있을까?" 하는 평균수명(平均壽命)이 남성 82세, 여성 88세인 현재,
심신(心身) 모두 자립하여 건강하게 지낼 수 있는 건강수명(健康壽命)은
남성 73세, 여성은 75세라고 한다.

즉, 남성은 73세, 여성은 75세가 되면,
누군가의 간호받으며 살게 된다거나 신변잡사를 혼자서 처리하기 어려워지기
시작한다는 것으로, 다른 말로 하면 인간은 마지막 남은 삶 10여 년간은
질병 등으로 불편하거나 누군가의 간호받으며,
산다는 말이다.

따라서 건강수명이 늘어나지 않는 한 아무리 장수 한들, 바람직스럽지 않은 상태로 수명만 연장하고 있다는 의미다!!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는 나이는
남성이 85세, 여성은 90세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미래는 누구도 알 수가 없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우리는
내일 어찌 될지를 모른다!!

그러나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인 건 있다.
우리가 모두 결국은 죽는 다는 사실이다!!
다만 죽음에 이를 때까지에는 두 갈래의 길이 있다!!

마지막 순간
"좋은 인생이었다!.
고맙구나!"
자족하면서 눈 감을 수 있는 행복한 길과 회한(悔恨)의 눈물을 흘리는 불만족스러운 길이다!!

80세부터의 인생은 70대와는 전혀 다르다!!
어제까지 하던 일이 오늘 할 수 없는 사태가 몇 번이고 닥친다!!

여기저기 몸의 불편함도 많아진다.
암, 뇌경색, 심근경색, 폐렴 등 수명에 관계되는 질병에 걸리기도 쉬워진다!!

"혹시 내가 치매인가?"하고 불안하게 생각되는 일도 있을 것 이다.
배우자의 죽음에 직면하여 절망과 고독에 빠질지도 모른다!!

이런 벽(壁)들을 극복하여 "행복한 만년(晩年)"과 "불만스러운 만년(晩年)"의
경계에서 좋은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나이 듦"을 받아들이며,
스스로 할 수 있는 일들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활용하는 자세 일 것이다!!

고령자(高齡者)는 병(病)의
씨앗을 다수 품고 산다.
언제 무슨 병(病)이 발병(發病)할지 누구도 알 수 없다!!

오늘은 건강해도 내일 돌연사(突然死)할 수도 있다.
이런 상황을 전제로 내일 죽어도 후회하지 않는 인생을 보내기 위해서는

"너무 참는다, 거나 "지나친
무리는 하지 않는 게 좋다!!

또, 80세가 넘으면,
건강검진은 받지 않아도 괜찮다!!

검진은 암의 조기 발견 등으로 이어지기도 하지만,
각종 수치를 정상(기준치)으로 만들기 위해 약을 과다복용함으로써 몸 상태를 저하하거나 그나마 남아있는 능력을
상실 또는 수명을 단축하는 경우까지 생긴다.

이른바, 과잉검사(過剩檢査)와 진단(診療) 일상화(日常)의 늪에 빠져 허우적대는 꼴이다!!

건강검진(健康檢診)은 60代까지는 의미가 있으나,
80 넘으면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80 넘어 활기 있게 사는 사람은 그 자체가 건강하다는 증거다!!

그런데, 검진받고 무슨 수치가 정상을 넘었다며 의사가 약을 처방하면 어찌할 것인가??

그 처방 약을 먹으면, 그때까지 남아있던 그나마 건강과 활력마저 손상될 뿐이다!!
노쇠(老衰)는 병이 아니라 조금씩 몸이 약해져 죽음에 이르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며, 천수("天壽)를 다한 죽음"의 방식이다.

85세가 지나면, 누구나 몸 속에 많은 병(病)의 종자(種子)를 갖고 있다!!

확실한 증상이 없어도 어딘가 불편한 곳이 있기 마련이다.
병원에서 검사받고 병을 발견, 약을 먹거나 수술받아 수명을 연장할 것인가!!

자택이나 요양원에서 하고 싶은 일 해가면서 살 것인가?
그건 오로지 당신이 선택할 일이다!!

80 넘으면 병은 완쾌되지 않는다.
일시 호전(好轉)되는가 싶다가도 나쁜 부분이 차례차례 나타난다.

정확히 말하면, 이런 것이 나이를 먹는 다는 것이다.
장기(臟器)별 진료의 폐해는 먹는 약이 많아진다는 것이다.
전문의(專門醫)마다 처방해주는 약을 먹다 보면
아침 저녁에 먹는 과다한 약이 오히려 독(毒)으로,
작용하는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마저 들 지경이다.

고령자일 수 록 약이 몸에 해를 끼치는 만큼, 역시 약은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일이다!!

그러나 몸 상태가 좋지 않을 땐 참지 말고 먹어야 한다.
머리가 아프면 두통약을, 위가 아프면 위장약을 먹으면 된다.

80세 넘은 시신을 부검했을 때, 동맥경화가 없는 경우는 보질 못 했다.

그냥 둬도 좁아져 있는 혈관인데, 약으로 혈압을 내려 혈류(血流)를 나쁘게 하면 혈액 안의 산소나 영양분이 전신의 세포에 고르게 전달되지 못 한다.
따라서, 가장 damage를
많이 받는 곳이 뇌(腦)이다!!

뇌(腦)는 산소와 당분이 공급되지 못해 저산소(低酸素)・저혈당(低血糖) 상태를 일으킨다.

결국, 동맥경화인 경우, 혈압과 혈당치를 높게 조절하는 편이 건강 유지에 좋다!!

그러니까, 혈압・혈당・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건 동맥경화엔 효과가 있을 지라도 몸의 활력이 없어진다거나, 암 발병 우려가 높아지는 "역효과"도 생기는 만큼 혈압・혈당・콜레스테롤약을 과다 복용한다는 것은 생활의 질(質)을 낮추는 선택일 수도 있다는 말이다!!

※당뇨병인 경우, 알츠하이머형(形) 치매로 발전하기 쉽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적극적인 당뇨병 치료가 오히려 알츠하이머를 촉진 시킨다는 게 맞다!!

저혈당도 마찬가지지만 고령자가 되면 많은 것 보다는 부족한 것의 해(害)가 압도적으로 크다!!
그러니, 80을 넘기면 비만을
걱정하지 말고 약간 살찌는 걸 목표로 할 것이며, 염분・당분・지방 등을 가리지 말고
당기는 것을 실컷 드시라!!

"먹고 싶다는 건, 몸이 요구한다."라는 것이다.
영양부족은 확실히 노화를 촉진한다!!

무엇인가에 흥미를 느끼고 관심을 둔다는 건 뇌가 젊다는 증거로 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