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향기나는글(1)

참 사랑의 네 가지 특성(特性)은

작성자아상 사무사|작성시간23.12.28|조회수129 목록 댓글 0


참 사랑의 네 가지 특성(特性)은.


참 사랑의 네 가지 특성은

건강한 몸을 갖기 위해서 신전한
음식을 섭취해야 하듯, 건강한 의식을 갖기 위해서는 참사랑 같은 긍정적인 에너지를 섭취해야 한다.
하지만 모두가 사랑을 얘기해도 참 사랑이 무엇인지 제대로 아는 사람은 드물다.

참 사랑의 네 가지 특성은 사랑, 자비, 기쁨, 평등 등이다 불가에서는 이를 네가지 한없는 마음,
즉 사무량심(四無量心)이라고 부른다.
이른 참사랑을 지닌 사람은 깨달은 자라 할 수 있다.

◆ 참사랑의 첫 번째 특성인 사랑은 자애와 같은 말이다.
기쁨과 행복을 주려는 마음과 실제로 베풀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그런 능력을 기르려면 이 보기와 깊이 듣기를 익혀야 한 다.

타인과 관계에서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알아야하기 때문이다.
그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으 면 그건 참사랑이 아니다. 사랑을 받으려면 먼저 사랑 을 해야 하고 사랑을 하려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 참사랑의 두 번째 특성인 자비는
고통과 슬픔을 걷어내고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내면의 자비심을 기르기 위해서는 깨어있는 호흡, 깊이 듣기, 깊이 보기를 행해야 한다.



◆ 참사랑의 세 번째 특성은 기쁨이다.
참 사랑은 언제나 모두에게 기쁨을 준다.
기쁨을 좀더 깊은 차원에서 정의하자면
평화와 만족이 넘쳐흐르는 상태를 뜻한다.

다른 사람의 행복을 지심으로 축하해 줄 수 있는가?
자신의 행복이나 다른 사람의 행복을 모두 기쁘게 받아들이는 것. 그것이 바로 참 사랑에서 말하는 기쁨 이다

. ◆ 참사랑이 네 번째 특성은 평등한 마음이다.
진정한 평등은 냉정한 것도 무관심한 것도 아니다. 다만 모든 것을 동등하게 볼 수 있는 능력이다.

평등한 마음이
없다면 당신은 소유욕과 집착에 머물고 만다.
여름철의 산들바람은 매우 시원하지만 이를 조그 만 병에 넣으려 한다면 산들바람은 죽어버리는 것과 같은 이치다.

사랑하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그는 구름이고 바람이고 꽃이다.
그런데 신이 그를 병에 가두려 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하지만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사랑을 좁은 틀 안에 가두려 한다.



그의 자유를 뺏고 행복을 구속해 그가 더 이상
자신의 삶을 살 수 없도록 만든다..
이런 구속은 단지 자기 만족을 위한 행위일 뿐 사랑이 아니다. 단지 파괴일 뿐……
당신이 건네는 사랑이 참사랑이 되기를 원한다면, 그 안에 사랑, 자비, 기쁨, 평등이 있는지 살펴볼 일이다..

어쩌면 당신은 자신의 사랑에서 미움, 무지, 의심, 자만을 보게 될지도 모른다.
그런 사랑을 하는 사람은 무든 걸 부정적으로 본다.

그리고 .
그의 삶은 깨달음의 길과는 정반대로 치닫게 .
된다. 듣고, 보고, 먹고, 행동하고, 말하는 모든 소비에 주의를 기울여라. 늘 참사랑에 가까운 소비가 되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깨어있는 소비며, 삶을 행복하게 하는 수행이다.

;전문;-0153


출처>[힘] -Power 틱낫한 지음 / 진우기 옮김
//깨어있는 소비4-의식
의식은 참사랑으로 자유를 얻는다//에서
구름과 달팽이와 불도저를 닮은 스님 틱낫한이 전하는 "진정한 힘이란 무엇인가?//-<받은메일 옮김>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