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향기나는글(1)

어른말씀 그른 것이 없다!

작성자아상 사무사|작성시간24.03.11|조회수53 목록 댓글 0


어른말씀 그른 것이 없다!.


어른말씀 그른 것이 없다

지혜가 깃든 말씀들, 끄덕끄덕...!
* 세수, 남 보라고 씻는가?
머리 감으면 모자는 털어서 쓰고 싶고 목욕하면 헌 옷 입기 싫은 기 사람 마음이다.
그기 얼마나 가겠노만은 날마다 새 날로 살라꼬 아침마다 낯도 씻고 그런 거 아이가. 안 그러면 내 눈에는 보이지도 않는 낯을 왜 만날 씻겠노?

*고추 모종은 아카시 핀 뒤에 심어야 된다.
* 배꽃 필 때 한 번은 더 추위가 있다.
* 뻐꾸기가 처음 울고 세 장날이 지나야 풋보리라도 베서 먹을 수 있는데....

* 처서 지나면 솔나무 밑이 훤한다 안 카더나.
그래서 처서 전에 오는 비는 약비고,
처서 비는 사방 십리에 천 석을 까먹는다 안 카나. 나락이 피기 전에 비가 쫌 와얄 낀데 ...



* 들깨는 해 뜨기 전에 털어야 꼬타리가 안 뿌사지서 일이 수월코, 참깨는 해가 나서 이슬이 말라야 꼬타리가 벌어져서 잘 털린다.
* 그나저나 무신 일이든 살펴봐 감서 해야 한다.
까치가 집짓는 나무는 베는 기 아니다. 뭐든지 밉다가 곱다가 하제. 밉다고 다 없애면 시상에 머가 남겠노?

* 낫이나 톱 들었다고 살아 있는 나무를 함부로 찍어 대면 나무가 앙갚음하고,
괭이나 삽 들었다고 막심으로 땅을 찍으면 땅도 가만히 있지 않는 기다. * 세상에 씰데없는 말은 있어도 씰데없는 사람은 없는 기다, 하매. 나뭇가지를 봐라. 곧은 건 괭이자루, 휘어진 건 톱자루, 갈라진 건 멍에, 벌어진 건 지게, 약한 건 빗자루, 곧은 건 울타리로 쓴다.'



* 나무도 큰 넘이 있고 작은 넘도 있는 것. 여문 넘이나 무른 기 다 이유가 있는 기다.
사람도 한가지다. 생각해 봐라.
다 글로 잘나면 농사는 누가 짓고, 변소는 누가 푸노?
밥 하는 놈 있고 묵는 놈 있듯이, 말 잘 하는 놈 있고 힘 잘 쓰는 놈 있고, 헛간 짓는 사람 있고 큰 집 짓는 사람 다 따로 있고, 돼지 잡는 사람, 장사 지낼 때 앞소리 하는 사람 다 있어야 하는 기다. 하나라도 없어 봐라. 그 동네가 잘 되겠나.

* 내 살아보니 짜달시리 잘난 넘도 못난 넘도 없더라.
하기사 다 지나고 보니까 배우나 못 배우나 별다른 게 없더라.
사람이 살고 지난 자리는 사람마다 손 쓰고 마음 내기 나름이지 많이 배운 것과는 상관이 없는 갑더라.
* 거둬감서 산 사람은 지난 자리도 따시고,
모질게 거둬들기만 한 사람은 그 사람이 죽고 없어도 까시가 돋니라



* 우짜든지 서로 싸우지 말고 도와 감서 살아라 캐라.
다른 사람 눈에 눈물 빼고 득 본다 싶어도 끝을 맞춰보면 별거 없니라.
누구나 눈은 앞에 달렸고, 팔다리는 두 개라도 입은 한 개니까 사람이 욕심내 봐야 거기서 거기더라. 갈 때는 두 손 두 발 다 비었고.

* 말 못하는 나무나 짐승에게 베푸는 것도 우선 보기에는 어리석다 해도 길게 보면 득이라.
모든 게 제 각각, 베풀면 베푼대로 받고, 해치면 해친 대로 받고 산지라. 하매, 사람한테야 말해서 뭐하겠노?



* 내사 이미 이리 살았지만 너그는 우짜든지 눈 똑바로 뜨고 단디 살펴서,
마르고 다져진 땅만 밟고 살거라이.
* 개가 더버도 털 없이 못 살고, 뱀이 춥다꼬 옷 입고 못 사는 기다. * 사람이 한 번 나면, 아아는 두 번 되고 어른은 한 번 된다더니, 어른은 되지도

못하고 아아만 또 됐다.
인자 너그 아아들 타던 유모차에 손을 짚어야 걷는다.
* 세상에 수월한 일이 어디에 있노.하다 보면 손에 익고 또 몸에 익고 그러면 그렇게 용기가 생기는 게지. 그렇게 사는 게지~.

= 좋은 글 중에서 =<보내온 메일 옮김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