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4월 4일(월) 이화여대와 연세대 탐방(3차 접종 완료자 10명까지)

작성자서울사람|작성시간22.03.09|조회수656 목록 댓글 24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내일은 없다!(단재 신채호) 

++++++++++++++++++++++++++++++++++++++++++++

각각 100여년의 역사가 있는 이화여대와 연세대, 양교(兩校)의 박물관,본관과 더불어,

연세대에서는 수경원과 광혜원을 거쳐,최근 새 단장을 마친 언더우드家 기념관, 윤동주 기념관(핀슨관)등을 돌아보고, 

희망자에 한하여 후문(동문)근처의 식당에서 뒷풀이를 진행한다.

+++++++++++++++++++++++++++++++++++++++++++++++++++++++++++++

 

 

01. 집결/출발 일시: 2022.4.4(월) 오전 11:30   *주최자는 당일 오전 11:15 경 현장 도착 예정

02. 집결 장소 : 서울 지하철 2호선 "이대역" 6번 출구 역내(벤취)

03. 탐방 코스 :

[오전 11:30] 지하철 "이대역"6번 출구[나가기 직전,역내 벤취 집결] -->이화여대 진입-->박물관 (간략한 자기 소개후 입장)  -->100주년 기념관 -->본관 [이상 이화여대] --> [낮 12:30 경] 신촌역 -->  연세대 정문 진입 [이하 연세대]  -->수경원과 광혜원(휴식,간식) -->  박물관(화장실)  --> [오후 2시] 언더우드家 기념관(대학원생 해설 안내)---> 윤동주 시비와 기념관 --> 본관   --> 후문(동문) --> 총장 관사 --> 언어 교육원 (한국어학당) --> [오후 3시경] 식당(삼진식당, 희망자에 한함) ---> 귀가(오후 4시경)  

※귀가 방법:   식당--> 지하철역 도착
1)약 10분 소요:식당 길 건너 --> 이대 후문 -->(도보 5분)---> 이대 정문  --> 2호선 "이대역"
2)약 15분 소요:식당-->(도보 10분/또는 버스 이용) --> 세브란스 정문/연세대 정문 -->(도보 5분)-->

 2호선 "신촌역" 
 

04. 걷는 거리 : 7km 내외 [평지]

05. 걷는시간 : 3.5 시간 내외(휴식 시간 포함)

06. 식사준비 : 희망자에 한해서 삼진식당에서 식사함(8천원 내외/메뉴:돌솥 비빔밥,조기 구이,제육 볶음 등)

07. 걷기준비 : 마스크, 식수간식,  미끄러지지 않는 신발, 모자, 선글라스, 썬크림, 방풍의 등
                    각자 필요한 대로

08. 걷기주최 : 서울사람,  010-3919-0787 (주최자 휴대폰번호 꼭 저장해 가세요~^^)
                                                                               


09. 난 이 도 : "하"(평지)


10. 참 가 비 : 중식비(희망자에 한해서, 8천원 내외의 식사비)


11.카페 목걸이 명찰 : 희망자는 댓글에 구매(개당 1천원) 의사 기재 부탁

12. 신청양식 : 참가1 / 닉네임 / 3차 접종일자/  하고싶은말

참가 신청은 신중히 하세요. 혹시 신청 후 당일 불참하시면 사전에  꼬리말/또는 주최자 핸드폰:

010-3919-0787 문자 메시지로 꼭 통지 부탁드림

+++++++++++++++++++++++++++++++++++++++++++++++++++++++++++++++++++++++

※주요  관련  사진

 

 

[사진 1]이화여대: 박물관

 

 1935년 박물관 개관,1990년 아래 사진의 건물로 신축되었고, 2005년에는  아래와 같이 증축되었다.

 [1층:상설 전시관/2층:기획 전시관/B1:기증 전시관,담인(澹人 張富德:1908~1967) 복식 전시관]  

 

 

 

 

[사진 2]연세대:수경원과 광혜원

 

영조(英祖)의 후궁 영빈이씨(暎嬪李氏:1696~1764, 사도세자의 어머니이자, 정조의 친할머니)의 묘인 '수경원(綏慶園)'과 최초의 근대식 병원인 '광혜원(廣惠院)'

[1885년 개원, 개원 2주 후에 '濟衆院'으로 명칭이 변경됨]을 복원해 놓은 곳.

 

*수경원: 1970년 무덤만 서오릉으로 이장되고, 정자각, 비각, 출토 유물과 흔적들은 그대로 보존되어 있음.

 

[사진 3]연세대:언더우드家 기념관

  2003년 개관, 2018년 재개관 

 

  최초의 복음선교사인 언더우드 목사의 아들이자, 연희전문학교(연세대 前身)의 제3대 교장

 원한경 박사는  1927년 연희 교정 서편 언덕에 집을 지었는데, 이 사택은 연희 교육과 기독교

 선교의 요람이 되었다.

  1974년 원한경 박사의 아들 원일한 박사가 이 사택과 주변 토지를 연세대에 기증하였고,

학교측은 2003년 이곳을 <언더우드家 기념관> 으로 이름하여, 대를 이은 소명(召命)과

유덕(遺德)을 기리고 있다.

 

 

[사진 4] 연세대: 윤동주 기념관 
  

 
 윤동주(1917~45) 시인이 1938년~1941년 연희 전문학교 재학시 생활했던 기숙사 건물인 핀슨(Pinson)관이 <윤동주 기념관>
으로 
이름을 바꿔, 2021.3.20 새롭게 개방되었다. 기념관은 윤동주의 육필 원고를 처음으로 선보인다. 

문화재청은 2020년 11월, 핀슨관을 등록 문화재 제 770호로 지정한 바 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네피도 | 작성시간 22.04.03 대기합니다 3차완료
  • 답댓글 작성자서울사람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04.04 연세대 박물관 담당자에게 핸드폰 문자 문의 결과,10명 참석 가능하다고 함(<----사전 인터넷 예약)
  • 답댓글 작성자네피도 | 작성시간 22.04.04 서울사람 
    넵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작성자서울사람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04.04 ♧참가자(10명까지):
    서울사람/동복/대사방/후나(명찰)/채송화(명찰)/난타/재경/자하/싸리꽂/네피도

    *대기자(약간명):?????
    --------------------------------------------
    *이화여대,연세대에서의 인원 제한으로, 위 인원으로 마감합니다


    ☆최근 코로나 완치자 대환영; 단,현재 코로나 증세있는 분은 참가 불가함
  • 작성자서울사람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04.04 참석자:11명 --->
    서울사람/동복/대사방/후나(명찰)/채송화(명찰)/난타/재경/자하/싸리꽂/네피도/큰산지기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