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여름 운동 주의: 심장병 막는 운동법

작성자크러스트|작성시간13.08.15|조회수73 목록 댓글 0

한여름 운동 주의: 심장병 막는 운동법


갑작스런 운동은 심혈관 질환자 뿐만 아니라 정상인에게도 부담을 주게 된다. 매일 강도를 조금씩 높여 ㅈ신에게 맞는 강도를 찾고 적응을 시켜야한다.  잘 못된 의료 지식 중 심장병 수술 환자는 운동을 하지 말라고한다. 그러나  심근 경색증을 앓은 사람이라도 최소한의 운동은 해야한다. 운동을 기피하면 오히려 재발 되고 악화 될 수 있다. 그래야  흉통·호흡곤란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자신에게 맞는 운동법으로 해야한다.


심장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혔을 때(협심증·심근경색), 심장을 뛰게 하는 발전기 시스템에 이상이 생겼을 때(부정맥), 심장 근육이 비대해져 심장이 제대로 못 뛸 때(심근병증), 심장판막질환·심부전이 있을 때 운동하는 것을 금기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이는 오해다.


대체로 근력운동으로 매주 150분이상의 운동을 권한다. 분담이 없다면 조금씩 시간을 늘려 나간다. 최소한 1주 이상의 정응 기간을 두고 10분 씩 늘리는 것이 좋다.


▷혈관 넓혀주는 효과

운동을 해야 심장 혈관을 넓혀주고 항산화 효과를 내는 호르몬이 심장에서 나온다. 또 운동은 만성 염증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며 체중도 줄여준다. 운동을 하지 않으면 심장병이 잘 재발하고 악화되며 사망 위험도 높아진다는 것이 최근의 연구 결과다.

▷운동은 숨찰 정도

심장병 환자는 숨이 찰 정도로 운동하면 안 된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심장병 환자도 가슴이 약간 아프거나 숨이 찰 정도의 강도로 운동해도 된다. 그래야 심폐 기능 강화 효과를 보기 때문이다. 심장에 부담을 안 주는 강도로 운동을 해서는 심장이 강화되지 않는다.


▷근력운동도 필수

근력운동이 유산소 운동보다 심장에 과부하를 주므로 해서는 안 된다는 상식도 틀렸다. 근력운동은 심장 근육 구석구석의 실핏줄을 발달시켜서 심장이 충격에 잘 버티게 해준다. 근력운동은 팔만 해도 전신 근육에 영향을 주므로 심장 근육이 강화된다. 강도는 운동 부위의 근육이 당기는 정도가 돼야 효과가 있다다.

◇유산소·근력운동 비중 비슷하게
심장병 시술·수술을 받은 직후나 갑자기 병이 악화됐을 때를 제외하곤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한다. 심장 시술·수술을 받을 경우 이틀 뒤부터 걷기를 시작하면 좋다. 퇴원 직후 8~12주에는 스트레칭·걷기·맨손체조 같은 가벼운 운동 위주로 해야 한다. 그 뒤에는 숨이 차거나 근육이 당기는 운동을 1주일에 150분 이상 한다. 다만, 운동 시간 배분이나 운동 방법은 환자가 아닌 사람과는 달리 해야 한다.

▷운동 시간

1주일에 5일, 하루 30분 운동이 적당하다. 이전에도 운동을 했던 환자는 주 3일, 하루 50분으로 시작해도 된다. 하루 운동량을 3~4차례 나눠서 소화한다. 각 회차도 3~5분간 운동하고 2~4분간 가볍게 걷거나 쉰다.

▷운동 방법

운동 전 반드시 스트레칭·걷기·자전거타기 같은 준비운동을 10분 이상 해서 심장이 본격적인 운동에 대비하게 한다.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의 비율은 1대1이 좋다. 유산소 운동은 조깅·줄넘기·수영 등 심장박동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게 좋다. 근력 운동은 맨손체조·아령·짐볼·고무밴드 등에서 선택한다. 아령은 0.5~1㎏에서 시작해 차츰 중량을 올린다.


운동 중 어지럽거나 메스꺼우면서 심장이 두근거리면 운동을 멈추고, 1~2분 휴식해도 가라앉지 않으면 즉시 응급차를 불러 병원에 가야 한다. 자신의 한계를 넘는 운동은 절대 삼가한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