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이야기---7 감기약에 대하여

작성자크러스트|작성시간13.02.18|조회수52 목록 댓글 0

출처 : 한국피부문화예술원

약이야기---7  감기약에 대하여

감기약은 치료제라기보다는 기침, 고열, 통증 등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

감기는 여러 가지 호흡기 바이러스다. 호흡기 바이러스를 죽일 수 있는 약은 없다. 
콧물이 나면 나지 않도록 하고, 기침을 하면 기침을 줄여 주고, 열이 나면 열을 내리도록 도와주는 식의 치료.감기약의 주요 성분은 콧물을 멈추게 하는 ‘항히스타민제’, 열을 내리게 하는 ‘해열제’, 통증을 덜어주는 ‘진통제’, 가래를 없애주는 ‘진해거담제’ 등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들이다.                                                    감기의 치료는 면역체계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염증반응을 일정 기간에 걸쳐 이겨냄으로써 이루어진다.     감기 기운이 있다고 무턱대고 먹는 것은 금물이다. 증상을 좋게 해주는 효과가 있으나 부작용도 고려해야한다.

감기 약 의 부작용(졸음, 현기증, 권태감 등)

대표적으로 흔히 알려진 감기약의 부작용으로는 졸음이나 현기증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콧물 약으로 쓰이는 ‘항히스타민’ 성분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현기증과 졸음 외에도 권태감, 나른함, 운동신경 둔화, 입안이 바싹바싹 마르는 증상, 주의력 산만 등을 유발하여, 운전자의 경우 사고의 위험을 높인다.

또한 드물기는 하지만 감기약 자체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있어서 두드러기가 돋는 정도의 가벼운 반응에서부터 심한 경우 기관지와 위장 점막이 붓는 부작용으로 호흡 곤란 등의 심각한 증상까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감기약 일부 성분에 대해

감기약에 많이 사용되는 몇몇 성분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예로 진해 거담제에 들어가는 ‘코데인’ ‘텍스트로메드로판’을 들 수 있다. 코데인은 일종의 마약류로 분류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마약류와 마찬가지로 장기간 복용하면 중독의 위험이 있다. 텍스트로메드로판 성분도 습관성이 될 수 있으며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면 눈동자가 풀리고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고, 목이 마르며, 음식물을 삼키기 힘든 증상 등이 나타난다. 또 위장 장애, 혈압 상승, 고열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한꺼번에 많은 양의 텍스트로메드로판 성분을 먹으면 사망할 위험도 있다. 과거 환각 작용을 얻기 위해 감기약을 복용하는 청소년들이 있어 사회적으로 논란이 된 적이 있는데, 이때 문제가 된 성분이 텍스트로메드로판이다.

길어진 감기에는 진단을 받자.

겨울철이면 내내 감기를 달고 산다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독한 감기라고 해서 장기간 감기약을 복용하는 것은 몸에 큰 무리가 간다. 
감기로 머리가 아프거나 몸이 쑤실 때 사용하는 해열제와 소염제는 장기간 복용하면 신경이 예민해지고 위장장애가 올 뿐 아니라 혈액 성분의 변화와 같은 부작용이 따를 수 있다. 그러므로 5일 이상 해열제를 복용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기 증상이 심하고 잘 낫지 않는다고 해서 두 가지 이상의 감기약을 함께 복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간과 신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약국에서 쉽게 살 수 있는 감기약은 수십 가지가 되지만, 기본적으로 함유된 성분은 비슷하다. 이 중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은 여러 가지 종류를 혼합 복용하여 과량이 인체 내에 투여되거나 장시간 복용하여 몸 안에 아세트아미노펜이 대량으로 증가되면 독성이 생겨 간장과 신장에 큰 손상을 주게 되는 것이다.

감기약에 대한 나의 생각

어린이나 노인, 당뇨병이나 신장질환 등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초기에 적절히 치료를 하지 않아 세균감염 등 이차 합병증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 증상이 심할 경우 합병증으로 기관지염이나 폐렴, 축농증, 중이염 등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일주일 이상 계속되는 감기는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과거 나는 "가와사기"라고 의사로 부터 막내(5살)가 진단을 받았다. 의사는 종합 병원으로 급히 가라고 친절히 진단서를 써주었다. 하지만 아이는 3일 후 말끔히 고열과 기침등에서 벗어 났다. 그것은 우리 부부가 진단서를 받은 그 때 부터 아이 곁을 떠나지 않고 간호를 했기 때문이다. 나는 미지근 한 물로 수시로 열을 알 맞게 내려 주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고 아내는 아파하는 아이를 정성것 어루 만져 주었다. 그렇게 한밤을 지새운 다음 새벽 쯤 아이의 열이 잡혔고 거칠어진 볼도 오후엔 안정 되어같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상습적으로 나타났던 팔 관절과 목의 아토피도 한방수로 가볍게 잡혔다. 

막내는 그후 잔 치례 몇번 없이 잘자라서 중학교에 배정을 받길 기다리고 있다. 지금 나의 이야기는 우리가 감기를 대하는 자세에 대한 것을 전하고 싶어서다. 우리 내면에 존재하는 면역력은 어쩜 의사보다 휼륭한 일을 해 낸다. 우리는 이렇게 소중한 몸에 대해 경위보내야한다. 그 소중함을 간과하는 것이 가미의 시작인 것 같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