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랄

작성자박주영원장|작성시간11.11.24|조회수142 목록 댓글 2

- 미네랄의 역할 -


단독으로 작용하는 미네랄은 없으며 체내에서 다른 미네랄, 비타민, 호르몬과 상호 협력 및 길항 등의 작용을 통하여 이용된다.
체내에서 생성되지 않고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하는 필수 미네랄로 약 15가지를 들 수 있다.


1. 칼슘 (calcium, Ca++)
기능 : 뼈와 치아 형성, 근육과 신경 및 심장의 기능에 있어 조절자 역할, 혈액응고 촉진, 체액의 적정 ph 유지
권장량 : 800-1200 mg
급원 : 우유, 난황, 치즈, 대두, 어육, 생굴, 해조, 멸치, 참깨, 새우 등
결핍증 : 변비, 과민성대장증상, 골다공증, 발육장애, 경련, 충치, 신경불안증 등
과잉증 : 비타민 D와 함께 과량 복용시 고칼슘혈증, 관절이나 신장에 칼슘침착, 미네랄 불균형

2. 마그네슘 (magnesium, Mg++)
기능 : 에너지 생성, 신경기능 조절, 장에서의 칼슘 흡수 도움, 비타민 C, B, E의 대사를 도움- 특히 B6의 대사에 중요
권장량 : 성인 300-400 mg, 수유중 450mg, 어린이 체중 1kg당 6mg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필요량이 현저하게 달라짐)
급원 : 완두콩, 해수
결핍증 : 심장병, 고혈압, 신결석, 불면증, 월경전증후군, 부정맥, 저혈압, 정신착란, 식욕상실, 뼈 형성 장애, 수족냉증, 보행장애, 지각이상, 유아경련, 근육통, 빈혈 등
과잉증 : 설사, 30000mg 이상 과량 복용시엔 신기능 이상 환자에게 위험함.

3. 칼륨 (potassium, K+)
기능 : 세포내 산염기 평형 조절, 수분조절, 신경기능 유지, 세포기능 보존, 혈관확장, 부정맥 예방, 변비예방, 혈압유지, 뇌의 산소공급에 역할.
권장량 : 정해진 것은 없으나 성인의 경우 하루 2000-3000 mg정도 필요한 것으로 추정됨. 미국의 경우 성인 1.5-5.0 mg
급원 : 채소류, 특히 박과식물, 과일, 다시마, 효모, 흰콩, 바나나 등
결핍증 : 부정맥, 식욕감퇴, 근육경련, 변비, 피로, 무력증, 저혈당증
과잉증 : 25000 mg의 과량 섭취시 신부전환자에 치명적

4. 나트륨 (sodium, Na+)
기능 : 삼투압 유지, 신경기능 유지, 칼륨과 길항, 세포기능 보존
권장량 : 정해져 있지 않으며 하루 1500 mg 이상 섭취는 바람직 하지 않음
급원 : 장류식품, 소금
결핍증 : 구토, 호흡장애, 무력증
과잉증 : 고혈압, 편두통, 부종 등

5. 인 (phosphorus, P)
기능 : 해당작용에 관계하여 에너지 생성, 비타민 B 활성 도움, 뼈 및 치아 구성성분, 신경자극전도에 역할 함.
권장량 : 우리나라에선 특별히 정해진 것 없지만 900-1200 mg 정도면 무난,
미국의 경우 성인 800 mg
급원 : 자두, 콩, 육류, 해바라기씨, 생선 등
결핍증 : 어린이의 구루병, 성인의 골연화증, 신경 및 뇌기능 장애
과잉증 : 특별한 부작용은 없음. 칼슘에 비해 너무 과량 섭취시 미네랄 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음.

6. 아연 (zinc, Zn++)
기능 : 인슐린 만드는데 필요, 효소활성에 필요, 맛, 상처치유 및 소화에 관여, 핵산 및
단백질 합성에 필요, 피부 및 골격의 발육, 유지에 필요
권장량 : 우리나라는 권장량이 정해져 있지 않으며, 미국의 경우 15 mg
급원 : 육류, 해조류, 우유 등
결핍증 : 태아기형, 저체중아, 성장발육 정지, 성기발육부진, 창상치유장애, 미각과 후각
기능이상, 빈혈, 간 및 비장 비대
과잉증 : 하루 50 mg 이상 섭취할경우 구리 결핍 및 미네랄 불균형 초래, 하루 2000 mg 이상은 위험.

7. 철 (iron, Fe++, Fe+++)
기능 : 헤모글로빈(혈액단백질) 생성에 이용, 산소운반, 음식물대사에 관여
권장량 : 여자 18mg, 남자 10 mg, 임신중, 수유중일경우 20 mg
급원 : 육류, 계란, 우유, 채소 및 과일등에 여러형태로 존재
결핍증 : 빈혈, 피로, 체내 산화작용 약화
과잉증 : 매일 과량의 철 섭취시 간, 췌장, 심장 등에 영향, 감염에 대한 저항력 약화,
소화불량, 변비

8. 망간 (manganese, Mn++)
기능 : 효소활성 촉매, 뼈, 결체조직 및 세포 유지
권장량 : 2.5 ? 5.0 mg
급원 : 효모, 콩류, 밀, 살구, 녹황색채소, 소맥배아 등
결핍증 : 고환수축, 유즙분비력저하, 체중감소, 피부염, 구토
과잉증 : 간에 침착되지만 해는 없음. 미네랄 불균형의 가능성이 있음

9. 구리 (copper, Cu++)
기능 : 철의 흡수와 저장 촉진, 골격계나 심혈관계 유지에 관여, 비타민C와 함께 교원
질이나 탄력소 등의 합성에 관여, 헤모글로빈 합성에 필요
권장량 : 2-3 mg
급원 : 육류, 내장, 해조류, 채소류 및 견과류
결핍증 : 태아의 뇌, 모발, 골격 및 혈관 등의 발육이상
과잉증 : 장기간 과량복용은 독성. 드물지만 윌슨씨병이 생길 수 있는데, 이경우는 Cu의
흡수는 좋지만 샐룰로플라스민이 현저하게 낮아서 신경증상이나 간장, 신장의
증상을 나타내는 유전적 질환임.

10. 요오드 (iodine, I-)
기능 :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의 중요성분
권장량 : 150 mg
급원 : 해조류
결핍증 : 신생아의 정신발육지체, 신체발육지연, 크레티니즘(특징적 얼굴 형태를 지님)
과잉증 : 요오드 갑상선종, 여드름양 피부질환

11. 크롬 (chromium, Cr++)
기능 : 인슐린작용 촉진, 음식물 대사, 효소 활성 및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여
권장량 : 50-200 mg
급원 : 효모, 현미, 해조류, 굴, 감자, 콩 등
결핍증 : 글루코스 처리력 저하, 인슐린 작용 저하
과잉증 : 알려진것이 없음

12. 셀레늄 (selenium, Se)
기능 : 항암, 항산화 효소인 glutathion peroxidase의 필수성분, 비타민 E 효과 상승시킴,
심근경색, 고혈압 예방
권장량 : 55-200 mg
급원 : 효모, 마늘, 파, 감, 해조류 등
결핍증 : 근육약화, 성장장애, 혈관협착, 노화촉진
과잉증 : 구토, 설사, 피부탈색

13. 게르마늄 (Ge-132)
기능 : 항암, 항바이러스, 혈압상승억제, 해열진통, 칼슘대사 개선
권장량 :
급원 : 효모, 구기자, 신선초, 인삼, 마늘, 생강 등
결핍증 : 산소결핍에 의한 질병, 성인병
과잉증 :

14. 염소 (chloride, Cl-)
기능 : 수분평형, 신경자극전달, 위액형성
권장량 :
급원 : 소금
결핍증 : 드물게 구토, 설사, 유아의 혼수, 부신피질성질환
과잉증 : 구토, 탈수, 고혈압, 위산과다, 위궤양

15. 유황 (S)
기능 : 인슐린, 뇌하수체전엽호르몬, 씨스틴, 메치오닌 등의 작용 도움, 모발 피부 손톱
건강 유지, 체내 산화 환원과정에 필요
권장량 :
급원 : 콩, 생선, 무우, 양배추, 녹용
결핍증 : 손톱균열, 탈모, 습진, 발진, 기미
과잉증 :


16.불소 (fluoride, F)
기능 : 충치예방, 골다공증 예방
권장량 :
급원 : 새우, 패류, 어류, 견과류, 통밀
결핍증 : 충치, 골다공증
과잉증 : 불소증, 위장장애, 치아에 착색반점 형성


17. 코발트 (Co)
기능 : 비타민 B12의 구성성분 (헤모글로빈 형성의 기초물질)
권장량 :
급원 : 동물의 간, 푸른잎채소
결핍증 : 악성빈혈, 혈액성질병

18. 규소 (Si)
기능 : 정신활동에 필요
권장량 :
급원 : 해조류, 사과, 딸기, 양파, 포도, 현미, 보리 등
결핍증 : 건망증, 인내력부족, 골다공증, 노화


-당신의 몸은 지금 각종 산성 노폐물과 오염된 물로 인해 죽고 병들어 가고 있습니다.-

미네랄이 우리인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불과 4%정도 밖에 되지 않지만 없어서는 안될 아주 중요한 물질입니다.

우리 몸에 필요한 5대영양소 지방,탄수화물,단백질,비타민,미네랄중 미네랄만 무기질이고 나머지는 모두 유기물입니다.

우리몸에 필요한 필수미네랄은 칼슘,마그네슘,아연,나트륨,칼륨,인,철,망간,동,모리브덴,세레늄,니켈,코발트,크롬,바나듐등인데 이중 어느 한가지도 없어서는 안될 아주 중요한 미네랄들입니다.

이 미네랄은 자체적인 칼로리는 없고 여러 가지 효소들이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촉매 역활을하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마시는 물에서보다 미네랄은 음식을 통해서만 섭취한다고 생각해 왔지만,

그것은 마그네슘과 칼슘등의 미네랄이 풍부한 중경수인 유럽에 비해 우리나라 의물은 미네랄 함량이 적은 연수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또한 음식물을 통해 섭취하는 미네랄은 우리 몸속에서는 고작 20%~30% 많은 것이 50%정도밖에 흡수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러나 물속에 녹아있는 미네랄은 완전콜로이드 상태로 녹아있기 때문에 체내에서의 흡수율이높아 이상적인 미네랄 섭취 방법중에 하나 라고 생각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최고가되기위해서 | 작성시간 11.11.24 미네랄....아주 중요한것같네요...잘보고 갑니당~~^^
  • 답댓글 작성자박주영원장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1.11.25 관심가져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