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바이크 스터디

배기장치

작성자R1100|작성시간00.06.02|조회수2,411 목록 댓글 1
연소한 가스는 밖으로 내보내야 하는데, 이것을 제대로 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복수의 실린더를 갖고 있는 엔진에서는 조금이라도 효율있게 배출시키기 위해서 여러가지 궁리를 하고 있다. 배기 디바이스 2스트로크 엔진에서는 배기포트의 개폐타이밍을 변경함으로써 엔진성능을 안정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래서 고속 회전역 에서는 배기 타이밍을 빨리, 저속 회전역 에서는 느리게 한 파워밸브를 부착하거나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배기디바이스라고 하는데, 80년대부터 각 메이커가 오토바이에 부착해 왔다. 야마하의 YPVS, 혼다의 RC에 따라 배기음의 집합방식을 교체하는 EXUP가 실용화되고 있다. 수공 휨 머플러 파이프는 밴더라고 하는 휘기 위한 기구로 가공하는데, 시작품등에 서는 파이프를 불로 달궈 완력으로 구부리는 것이 있다. 파이프가 막히지 않도록 파이프 안에 모래를 넣어 구부린다. 손으로 구부린 것이 예술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인기가 있다. 익스펜션 챔버[expansion chamber] 팽창실이란 의미로 2스트로크 엔진의 배기상태를 컨트롤하고 마력을 향상시키려는 머플러의 명칭, 4스트로크와 같이 배기가 좋은 것만을 생각하면 출력이 저하해 버린다.익스펜션 챔버는 중앙부분이 부푼 파이프 같은 것으로, 거기에 배기가스를 불어넣으면 압력진동이 일어나 배기가스에 섞인 흡입가스를 엔진으로 밀어서 되돌리는 효과가 있다. 사이렌서[silencer] 레이서의 머플러와 배기관 후부에 부착한 소음기. 레이서에서는 배기소음 규제가 약하기 때문에 실린더에서 배기관 사이를 출력향상을 위해 사용하고, 소음은 단독으로 배기관 후부에서 줄인다. 레이서 레플리카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이렌서를 사용하여 레이서 이미지를 어필한다. 배기관[exhaust pipe] 실린더헤드 이후의 배기가스가 지나가는 관을 말한다. 이그저스 파이프는 머플러까지 배기가스를 인도하는데, 오토바이는 밖에서 보이기 때문에 엔진과 마찬가지로 오토바이다움을 느끼게 하는 중요한 부품, 열이 전도되지 않도록 이중관으로 함으로써 도색이 열로 변하지 않도록 처리한다. 에밋션[emission] 엔진배기가스의 배출량, 성분 등을 가리키는 총칭, 캬브레이터와 벨브 타이밍, 주행모드등을 연구해서 에밋션은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데, 스위스 같은 에밋션 규제가 심한 나라에서는 캬터라이저가 필요한 기종도 있다. 프레스드 이그저스트 파이프 오토바이가 고성능화됨에 따라 엔진의 위치가 프레임의 어디에 있는지가 중시되어, 그것을 실현하는 차체설계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실린더에서 돌출한 이그저스트 파이프는 직관파이프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휘는 한계가 있고, 이그저스트 파이프는 엔진이 원하는 위치에 설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철판을 프레스로 눌러 성형한 것이 프레스드 이그저스트 파이프이다. 집합 머플러 4기통 등의 엔진에서 배기관을 최종적으로 1개의 머플러가 되도록 모은 것, 배기가스를 다음 실린더에서 나오는 배기가스 바로 앞에 내 놓으면 다음 실린더의 배기가스는 거기에 이끌려 효율있게 배출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배기관을 1개로 해서 배기효율을 향상하고 있다 . 레이서에서 쓰이는 방법으로, 많은 테스트를 통해 드디어 오리지널보다 효율이 좋은 집합 머플러가 나타났다. 이그저스트 머플러[exhaust muffler] 소음기를 말한다. 단지 머플러라고도 한다. 배기폭발음의 압력변동을 없애고 흡수해서 음을 조용하게 하는 장치 배기관이 마지막에 있기 때문에 너무 저항이 크면 배압이 올라가 엔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머플러는 형상과 음질로 오토바이를 어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각 메이커에서는 디자인과 음에 상당히 신경을 쓰고 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남동구라이더 | 작성시간 13.03.03 잘 보고갑니다~
댓글 전체보기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