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부사모게시판법당

대혜 종고 선사의 선스승의 편지-1. 스님, 어떻게 공부해야 합니까

작성자보문|작성시간24.06.12|조회수110 목록 댓글 4

스님, 어떻게 공부해야 합니까(曾侍郎 天游 問書)

  

 

頃在長沙에서 得圓悟老師書하니 稱公하되 晚歲相從이나 所得甚是奇偉라하거늘 念之再三今八年矣이로다. 常恨未獲親聞緒餘하니 惟切景仰이라. 自幼年으로 發心 參禮知識하여 扣問此事.

 

제가 예전 長沙에 있을 때 원오(圓悟) 노사의 편지를 받은 적이 있는데, 그 글에서 스님을 늘그막에 만났으나 공부에서 얻은 바가 매우 기특하고 대단하다는 칭찬을 많이 하셨습니다. 그 뒤 스님을 많이 생각하는 동안 벌써 여덟 해가 흘렀습니다. 스님께 직접 가르침 받지 못한 것을 늘 한탄하다 보니, 오직 받들어 사모하는 마음만 간절합니다. 저는 어려서 발심하여 선지식을 찾아서 마음 찾는 일을 물었습니다.

 

弱冠之後即為婚宦所役하여 用工夫不純하고 因循至今老矣.

未有所聞常自愧嘆이니라. 然而立志發願實不在淺淺知見之問이니 以為不悟則已어니와 悟則須直到古人親證處하여야 方為大休歇之地니라. 此心雖未 嘗一念退屈이나 自覺工夫終未純一하니 可謂 志願大而力量小也로다. 向者痛懇圜悟老師하니 老師 示以法語六段하시니라.

 

그러나 어른이 된 뒤에 혼인하고 벼슬을 살며 공부에 전념치 못하고 어영부영 지내다보니 지금에 이르러서 나이만 먹고 있습니다. 이 나이가 되도록 참된 공부를 하지 못했다는 사실이 부끄러워 늘 스스로 탄식만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뜻을 세우고 원을 발함은 실로 얕은 지견에 있지 않습니다. 깨닫지 못하면 그만이나 깨달음이란 모름지기 바로 옛 선지식들이 몸소 증득한 곳에 이르러야 공부가 끝나는 것입니다. 일찍이 이런 마음에서 한 생각도 물러나지 않았으니 끝내 공부가 한결같이 순수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스스로 느낍니다. 뜻과 원력은 컸으나 제가 해낼 수 있는 힘이 적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번 원오 노사께 간곡하게 가르침을 청했더니 노사께서 법어 여섯 단을 내보이셨습니다.

 

其初直示此事하고 舉 雲門趙州 放下著 須彌山 兩則因緣하여 令下鈍工하되 常自舉覺하라. 久久하면 必有入處. 老婆心切如此이나 其奈鈍滯太甚이리오. 今幸私家塵緣都畢하고 閑居 無他事하니 政在痛自鞭策하여 以償初志기에 第恨未得親炙教誨耳이니라. 一生敗闕己一一呈似하니 必能洞照此心이라 望委曲提警하소서. 日用當如何做工夫해야 庶幾不涉他途하고 徑與本地相契也이리오.

 

처음에는 바로 이 일대사를 보이시고, 뒤에는 운문스님의 수미산과 조주스님의 방하착 인연을 들어서 아둔한 저를 공부시키시며  언제나 스스로 화두를 들거라. 오래 공부하다 보면 반드시 들어가는 곳이 있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노사의 간절한 가르침이 이와 같았지만 아둔한 저의 어리석음이 참으로 깊었으니 어찌 하겠습니까. 이제 다행히 세상의 번거로운 인연을 모두 마치고 한가로이 살며 다른 일이 없습니다. 바로 이 시절이 호되게 스스로 채찍질하여 처음 세운 뜻을 이루고자 할 때입니다. 그러기에 제가 몸소 가르침 받지 못하는 것을 마음 아파할 뿐입니다.

이미 일생의 허물을 낱낱이 드러내었으니, 스님께서는 반드시 이 마음을 훤히 아실 것입니다. 바라옵건대 꼼꼼히 타일러 꾸짖어 주옵소서. 날마다 주어진 삶 속에서 어떻게 공부를 해야만 다른 길로 가지 않고 바로 본지와 서로 꼭 들어맞겠습니까.

 

如此說話敗闕亦不少但方投誠이라 自難隱逃니라. 良可愍也至扣하노이다.

 

이와 같은 말도 허물이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오직 지극한 정성을 바칠 뿐입니다. 이는 스스로 도망가 숨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참으로 제가 불쌍하다 하겠습니다. 지극한 마음으로 스님께 묻습니다.

 

살다 보면 세월이 그냥 흐른다. 돌아보면 한 일이 없다. 서 있는 지금 자리에서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사람이야말로 공부를 할 수 있는 사람이다. 자신이 허물을 돌아보고 나의 모습이 현재 어떠한가를 철저히 아는 것이 공부의 시발점이 아닐까. 쓸데없는 마음을 비우고 자기를 지켜보자.

 

주) 曾侍郎

 

이름은 , 자는 天遊로서 예부시랑을 맡았던 사람. 서장에서는 공부를 묻는 편지 두 편이 있는데, 그 가운데 증시랑 편지는 깨닫기 이전의 경계에서 묻는 글이고, 이참정의 편지는 깨친 경계에서 나오는 소리이다.

 

출처禪 스승의 편지 대혜 종고 서장원순 옮김

 

 

 

대혜서장(大慧書狀)

 

1. 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 서장(書狀), 대혜서(大慧書)

2. 시대: 고려

3. 유형: 문헌/고서

4. 분야: 종교·철학/불교

5. 요약: 대해서장(大慧書狀)은 송나라 임제종 승려 대혜종고가 42명의 제자 및 신도들과 주고받은 편지글 62편을 모아 편찬한 책이다. 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 대혜서(大慧書), 서장(書狀)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임제 간화선을 정립한 종고의 사상을 담고 있어, 고려 후기 보조국사 지눌(知訥)이 중시하였고, 조선 후기에는 승려들의 교육과정인 이력(履歷)의 교재로 채택되어 널리 읽혔다.

 

6. 편찬 및 간행 경위

대혜 종고가 입적한 뒤 30권으로 대혜보각선사어록(大慧普覺禪師語錄)이 편찬되었는데, 이 가운데 권25~30만을 따로 뽑아 대혜서장으로 편찬하였다. 대혜서장의 편찬은 종고의 제자 혜연(慧然)과 거사 황문창(黃文昌)이 주관하였으며, 황제의 명으로 1166년 항주 경산 묘희사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후기에 전래되어 유통된 것으로 추정되며,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은 1387(우왕 13) 승려 지담(志淡)과 각전(覺全)이 보조국사 지눌의 뜻을 추모하며 간행한 것으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으며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승려뿐만 아니라 우왕의 왕비 근비 이씨(謹妃 李氏), 환관 강인부(姜仁富), 판사 이세진(李世珍) 등 왕실과 중앙 관료들이 간행에 참여했으며 이색이 발문을 썼다. 조선 전기 국립중앙박물관본과 동일한 판본을 여러 사찰에서 복각하여 간행했고, 조선 중기 이후 새로 판하본을 만들어 간행하였다. 조선시대 간행본으로는 다음이 있다. 1537(중종 32) 경상도 지리산 신흥사(神興寺), 1545(인종 1) 함경도 홍원 묘봉암(妙峰庵), 1546(명종 1) 황해도 학봉산 석두사(石頭寺), 1568(선조 1) 전라도 장흥 천관사(天冠寺), 1574(선조 7) 황해도 문화 월정사(月精寺), 1576(선조 9) 전라도 대웅산 안심선원(安心禪院), 1604(선조 37) 경상도 산청 능인암(能仁庵), 1630(인조 8) 평안도 성천 영천사(靈泉寺), 1633(인조 11) 함경도 안변 석왕사(釋王寺), 1728(영조 4) 평안도 영변 보현사(普賢寺)본 등이 있다.

 

7. 구성과 내용

승속의 제자 및 신도들과 교환한 서신 6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승려 2인과 여성 1인을 제외하면 모두 사대부들과 교환한 서신으로, 내용은 이들의 질문에 대한 종고의 답신이다. 대부분 종고의 답신만 수록되어 있지만 참정(叅政) 이한로(李漢老)에게 보낸 편지 등처럼 종고가 받았던 질문도 함께 수록된 경우도 있다. 대개 일념으로 화두(話頭)를 참구하고 대원(大願)을 세울 것, 정식(情識)을 놓아 버릴 것, 단상이견(斷常二見)에 떨어지지 말고 활구(活句)를 참구할 것, 조용한 곳에서보다 시끄러운 곳의 공부가 더 효과가 있으며, 방편(方便)을 좇아 도()에 들어간 뒤 방편을 버릴 것, 깨달음을 조속히 이루려고 하지 말 것, 도를 깨친 사람은 반드시 보임(保任)을 할 것, 지해(知解)에 끄달리지 말 것 등 화두참구나 수행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둔한 사람이 총명에 사로잡힌 사람보다 공부를 착실히 할 수 있는 이유를 밝히고, 도의 깨침은 신심(信心)에 달려 있음을 밝혔으며, 묵조선(默照禪)에 빠져들지 말 것을 당부하고, 무자화두(無字話頭)를 참구하는 방법을 지도하는 등 간화선을 강조하고 있다.

 

8. 의의 및 평가

대혜의 사상은 고려시대 이후 한국 선종의 전개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고려 후기 수선사를 개창한 보조 지눌은 육조단경(六祖壇經)화엄론(華嚴論)을 통해 두 차례에 걸쳐 깨달음을 얻은 뒤 마지막으로 대혜어록을 통해 그의 깨달음을 완성하였다. 또한 조선 후기 이력에서 사집과(四集科)의 하나로 채택되어 승려들의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인악의첨(仁岳義沾)이나 연담유일(蓮潭有一) 등이 서장사기(書狀私記)를 저술하기도 했다. 이 책은 고려시대 이후 한국 선종 사상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자료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보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4.06.12 오늘부터 대혜 종고 선사의 <서장>을 공양 올립니다.

    아래쪽은 대혜서장이라는 책이 어떤 책인지 궁금하실 것 같아 함께 검색하여 올립니다.

    ☞ 표시로 적은 부분은 원순스님의 평 이십니다.

    오늘 편지는 증시랑 이라는 분이 공부가 힘들다, 안된다 하시면서 물은 질문의 편지입니다.
    그 시대나 오늘날이나 사람 살아가는 것은 비슷하나 봅니다.

    오늘도 변명거리는 많습니다. 그래도 바쁜 가운데 마음 한 구석에 공부 생각 잊지 마시는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마하반야바라밀_()()()_
  • 작성자법혜 | 작성시간 24.06.12 원순 스님이 번역하신 선 스승의 편지라는 책을 가지고 있는데 펼쳐 본 기억이 손에 꼽을 정도인 듯 합니다.
    보현행자라면 염불에도, 독경에도, 절에도, 화두참선에도 편견없이 어느 정도의 의견과 체험이 있어야 하는데 게으른 탓에 아무 소견이 없습니다.
    이번 기회에 화두 참선을 새로 배우는 계기로 삼아 보겠습니다.
    특별히 서장을 공양 올리시기로 한 사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고맙습니다. 나무마하반야바라밀..._()()()_
  • 답댓글 작성자보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4.06.12 보현선생님께서 권하시기도 했고요.
    제가 처음으로 원순스님 강의 들은 과목이기도 해서요.

    그때 들으면서 여기도 저기도 보현행원이네 싶은 생각을 했었어요.

    고맙습니다._()()()_
  • 작성자청정수1 | 작성시간 24.06.14 저도 첫부분은 기억이 납니다. 불대를 졸업한 다음 해 어록반 주제가 < 서장> 이어서 ,저도 법혜님처럼 두꺼운 책을 가지고는 있습니다. 방하착 이라는 표현도 이 수업을 들으면서 배웠던 것 같습니다.
    벌써 세월은 이리 흘렀건만 게으름은 켜켜이 쌓여만 갑니다.
    옴살바못자모지 사다야 사바하,,,
    변명거리는 뚝! 보현행원 잊지 않기!
    고맙습니다. 마하반야바라밀 _()()()_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