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선스승의 편지 7. 흔들리지 않는 뜻을 세워라 又

작성자보문| 작성시간24.08.13| 조회수0| 댓글 9

댓글 리스트

  • 작성자 보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4.08.13 때와 곳은 앞의 편지와 같습니다.

    원순스님께서 고향이 마산이라고 들었습니다. 문맥을 읽다보면 서부경남의 사투리 어투가 있어서 표준말처럼 보이나 어색한 부분도 있네요.

    "비록 이번 생에 화두를 뚫지 못한다 하더라도 목숨을 마칠 때에는 반드시 나쁜 업에 끄달려서 나쁜 길에 떨어지지 않는 것입니다. 다음생에 이번 생의 원력을 따라 반드시 반야 가운데에서 현재 있는 그대로의 공부를 이어갈 것입니다. 이것은 확고한 이치로서 의심할 것이 없습니다."
    공부해햐 하는 이유이네요.
    고맙습니다. 마하반야바라밀_()()()_
  • 답댓글 작성자 普賢. 작성시간24.08.14 어렵지요?
  • 작성자 누리달 작성시간24.08.14 영명연수선사님
    께선 염불과 선을 함께 해나가면
    뿔달린 호랑이라고..;;

    정토와 선을 ~~
    화두도 꼭 챙겨
    죽을때 나쁜곳으로만
    끄달려가지 않길 발원 드려봅니다.
    공양 고맙습니다._()_

    이 모든것을 하는
    이것이 무엇인가?

    마하반야바라밀_()_

  • 작성자 법혜 작성시간24.08.14 오늘도 정성어린 공양 감사드립니다.

    제가 거의 보현행원으로 불교에 입문하디시피 하여 그런것인지는 모르겠으나
    화두참선 가르치시는 스승님들의 가르침을 보면
    늘 용보다는 체를 강조하시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반야가 중요하고, 반야를 깨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이토록 반야를 강조하시는 것은
    중생들의 용이 부족하니 기본 체력을 키우기 위해 체를 강조하시는 것일까요?
    아니면 스승님들의 지극한 자비심으로 대중의 근기에 맞춘 가르침인지요?
  • 답댓글 작성자 普賢. 작성시간24.08.14 체와 용이 따로인줄 알기 때문이죠 이건 중국 불교계의 고질적 병폐인듯

    보현행원품이 중국에서도 유명했지만 그들의 화엄 이해는 어디까지나 先悟비로법계 後修보현行海 즉 먼저 깨닫고 그후에 보현행원 하겠다는 거지요 이건 한국 불교에도 지금까지 내려오는 고정 관념 입니다 그래서인지 무비스님이 그렇게 화엄을 좋아하고 화엄경 강의를 하시지만 화엄경 강의에 보현행원은 없어요 비로법계와 보현행원을 따로 보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주위에서 보듯 오직 깨달음 먼저 입니다 성철스님도 그랬어요 깨친 후에 보살행이든 보현행이지 깨치기 전에는 그 분들께는 오직 깨침만 있어요 깨침이 보살행과 따로 있는게 아닌데, 수행을 보면 완전 따로 입니다

    그러니 불교는 기독교 같은 실천행이 없다는 소리를 줄곧 듣지요 비로법계와 보현행원이 둘이 아닌데, 지금까지도 불교계는 둘로 알거든요? 이건 보조지눌도 마찬가지

    제가 보기엔 오직 원효만이 둘이 아니었음
  • 답댓글 작성자 普賢. 작성시간24.08.14 普賢. 이런 주장을 하면 우리나라 불교계에서 제가 살아남을수 있을까요?
  • 작성자 普賢. 작성시간24.08.14 그래서 지금 화엄강의와 보현행원 강의 보세요

    화엄강의에는 보현행원이 없고
    보현행원 강의에는 화엄이 없어요

    완전 따로 놉니다
    한번 유심히 보세요

    화엄은 저 높은 가르침인데 반해
    보현행원은 화엄을 다 공부한 뒤에 해야 하는 좋은 일에 불과 합니다

    밥 다 먹고 마시는 커피가 보현행원이죠
  • 답댓글 작성자 법혜 작성시간24.08.14 자세한 가르침 감사드립니다
    나무마하반야바라밀...-()()()-
  • 작성자 보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4.08.14 물레방아에 물이 흐르듯
    화엄과 보현행원이 같이 갑니다.
    고맙습니다. 마하반야바라밀 _()()()_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