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일대사인연은 배울 수 없다 答 李參政
示諭에 自到城中으로 著衣喫飯하고 抱子弄孫하며 色色仍舊하되 既亡拘滯之情하고 亦不作奇特之想하며 宿習舊障도 亦稍輕微라하니 三復斯語하고 歡喜踊躍이라. 此乃學佛之驗也라. 儻非過量大人이 於一笑中에 百了千當則 不能知吾家의 果有不傳之妙라.
보내온 편지에서 그대가 “마을로 돌아와서 옷 입고 밥 먹고 손자들과 놀아가며 살아가는 모습은 옛 그대로이다.
그러나 이미 인연에 걸리는 정이 없고 기특한 생각도 내지 않으며 그밖에 옛날에 익혔던 나쁜 버릇들도 조금씩 가벼워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저는 되풀이하여 이 글을 여러 번 읽으며 크게 기뻐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부처님의 법을 배우는 영험입니다. 생사를 해결할 수 있는 뛰어난 사람이 한 웃음에 모든 것을 알고서 해결해 버리는 힘이 아니라면, 우리 공부 가운데 진실로 전하지 못할 오묘한 도리가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若不爾者라면 疑怒二字法門을 盡未來際 終不能壞라. 使太虛空으로 為雲門口하고 草木瓦石으로 皆放光明하여 助說道理라도 亦不柰何니라. 方信此段因緣은 不可傳不可學이라. 須是自證自悟하며 自肯自休하여야 方始徹頭니라. 公이 今一笑에 頓亡所得하니 夫復何言가 黃面老子가 曰에 不取眾生所言說 一切有為虛妄事라 雖復不依言語道나 亦復不著無言說이라.
그대가 아니라면 의심과 노여움의 법문을 아무리 노력하여도 끝내는 해결할 수 없는 것입니다.
커다란 허공으로 저의 입을 삼고 나무나 풀과 돌들이 모두 광명을 놓아 도의 이치를 설하는 데 도움을 주더라도 또한 어찌 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바야흐로 이 일대사인연은 전할 수도 없고 배울 수도 없다는 사실을 믿어야 합니다. 모름지기 스스로 증득하고 스스로 깨달아야 하며 스스로 긍정하고 스스로 쉬어야만 비로소 공부에 철두철미해지는 것입니다. 그대가 지금 한 웃음에 얻었던 바를 대뜸 잊으니, 무릇 여기에 무슨 말을 다시 하겠습니까.
부처님께서 “중생이 말한 허망한 모든 유위의 일들을 취하지 않는다. 비록 다시 말에 기대지는 않으나 또한 말이 없는 곳도 끄달리지를 않는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주1) 答 李參政
이 편지의 줄거리는 이참정의 깨친 바를 칭찬하고 그것을 잘 챙기라고 권하는 내용이다. 紹興 5년(1135), 스님의 나이 47세 때 남천 운문암에서 보낸 편지이다.
주2) 저는 되풀이하여 이 글을 여러 번 읽으며
『詩典』 大雅編에 “옥에 묻어있는 흠은 닦아 없앨 수 있으나, 한번 내밷은 말의 흠은 없앨 수 없다”라고 하는 구절을 남용이 세 번 되풀이 해 읽는 것을 공자가 듣고, 남용의 사람됨을 짐작해 형의 사위를 삼았다고 한다. 좋은 글귀에 도취하여 여러 번 읽는 것을 三復斯語라고 한다.
주3) 그대가 아니라면 의심과 노여움의 법문을
1135년 1월 강급사, 체량중, 이참정 등이 운문암에 올라가 법을 청하였다. 그러자 대혜 스님은 묵조선의 잘못을 비판하며 그것을 따르는 사대부들은 韓獹逐塊(한로축괴)와 같아 주관 없는 자들이라고 혹평하였다. 법을 청한 이들은 대혜 자기의 깨달음이 어느 정도이기에 저렇게 큰소리를 치나 의심하고, 또한 묵조선 하는 사대부들을 물리쳐 버림에 자기들도 포함되므로 노여운 마음이 없지 않았다. 이것을 疑怒二字 법문이라고 한다.
來書所說에 既亡拘滯之情하고 亦不作奇特之想이라하니 暗與黃面老子所言과 契合이라. 即是說者를 名為佛說이나 離是說者는 卽波旬說이니라. 山野平昔에 有大誓願하되 寧以此身으로 代一切衆生하여 受地獄苦언정 終不以此口로 將佛法以為人情하여 瞎一切人眼하리라. 公이 既到恁麼田地하여 自知此事가 不從人得이라. 但且仍舊이니 更不須問 大法明未明과 應機礙不礙니라. 若作是念則 不仍舊矣리라.
보내온 편지에서 그대가 “이미 인연에 걸리는 정이 없으며, 또한 기특한 생각도 내지 않는다”고 하니, 넌지시 부처님의 말씀에 꼭 들어맞습니다. 곧 이대로 설한 것을 부처님의 말씀이라고 하니, 이 내용을 떠나있는 것은 모두 마구니의 말입니다.
평소에 저는 큰 서원이 있습니다. 차라리 이 몸을 가지고 모든 중생을 대신하여 지옥의 괴로움을 받을지언정, 끝까지 이 입으로 부처님의 법을 볼모 삼아 모든 사람의 눈을 멀게 하지 않겠다는 뜻입니다.
그대는 이미 이러한 경지에 이르러서 스스로 이 일이 다른 사람한테서 얻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다만 옛 그대로일 뿐이니 다시 큰 법이 밝았는지 밝지 못했는지, 경계를 맞아들일 때 걸림돌이 있는지 없는지를 묻지 말아야 합니다. 이런 생각을 하신다면 옛 그대로의 시절이 아닌 것입니다.
출처: 禪 스승의 편지, 대혜 종고 『서장』, 원순 옮김
댓글
댓글 리스트-
작성자普賢. 작성시간 24.08.28 오늘 대혜선사의 글을 보니 화엄의 無修而修가 생각 나네요
닦음 없이 닦는 것을 무수이수라 말하지요
닦는데 닦는 게 없는 겁니다 -
작성자普賢. 작성시간 24.08.28 대혜선사가 묵조선을 저렇게 냉혹히 비판한 것은 나름대로 깊은 이유가 있겠지요
하지만 범부들은 그런 뜻을 알지 못해요
뭐든 배척하는 마음이 있으면 어두워집니다 -
작성자普賢. 작성시간 24.08.28 사실 묵조선이 그렇게 잘못된 건 아닙니다 염불선도 어찌 보면 묵조선의 일종이라 볼수도 있어요 다만 잘못 묵조하니 문제지요
이는 간화선도 마찬가지.
잘못 간화하면 문제 됩니다
그러니 묵조 간화 어느 것도 그 자체에는 문제가 없어요 잘못 드는 것이 문제지요 또 묵조가 더 낫다느니 간화가 제일이라니 하며 상대방을 배척하는게 문제지요
묵조선을 창안한 그 누구냐 이름이 생각 안 나는데 그 분과 대혜는 사실 두 분 모두 서로를 존경하고 친했지요 두 분 분상에는 묵조 간화가 아무 문제가 없었던 겁니다 -
작성자법혜 작성시간 24.08.28 보문님 공양 오늘도 감사하고요, 덕분에 댓글 가르침 배울 수 있어 감사합니다.
나무마하반야바라밀..._()()()_ -
작성자보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 24.08.28 덕분에 묵조선까지 공부하네요.
세상 모든 공부가 몸으로 익혀야 한다는 말씀 새깁니다.
고맙습니다.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