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의류생산Q/A

대충 아는데까지만 설명드립니다..

작성자천년천년|작성시간07.04.30|조회수71 목록 댓글 2

linen은 다년생 식물로 주로 유럽및 중국의 습지등지에서 서식하는 식물로 수확량이 적은 관계로

가격이 대단히 높은 섬유입니다,

주로 유럽의 고급직물및 호텔중에서도 아주 고급호텔등은 대부분 이원사를 사용합니다 (침구류).

 

대부분의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원사는 중국산이며 linen은 형태에따라 벨기에산 linen(육안으로 검은색을띰)과 일반 linene으로 나우어 집니다..

 

베기에산 linen은 습지에서 린넨을 수확한뒤 일정기간(약45일정도) 방치후(이때 자연스러운 색상이 나타남) 수확하여 원사를 만든것입니다,

공정에서 보았듯이 일정부분 습지에서 방치공정을 거치는 관계로 수확량이 떨어져 가격이 매우 높습니다.

 

일반 linen은 육안상 면과같이 누런색을 띄며 국내에 통용되는 대부분의 원사가 이에 해당됩니다.

 

linen은 실의 형태에따라 서로 다르게 명명하는데 다음과 같은 원칙으로 합니다.

 

먼저 혼방(실을 만드는 공정에서 서로 mixing된경우 linen이라 부르지 않고 fax라 명명합니다.

 

linen이라 불리는것은 혼방이 아닌 교직인경우만을 linen이라 부릅니다..

 

linen의 굵기를 부를때 리아(lea)라는 단위를 사용합니다, 잘 알다시피 면은 수라는 단위를

사용하지요??

 

혹시 혼동하실까바 수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수= 860yds/1파운드(454g) 입니다.

 

2수면 860 x 2 /1파운드 ..

 

이런식입니다 만약 100s'면 100x860yds/1파운드 가 되지요?

 

왜 이런식의 단위를 사용하는지 좀 의아 스러울것입니다,

 

만약 실의 굻기가 철근처럼 혹은 강관처럼 처음과 끝이 일정하다면 구태어 이런

어려운 단위를 사용하지 않고 철근처럼 10파이 혹은 15파이등 지름의 굵기 단위를

간편하게 사용하였을겁니다.

 

그러나 실의 굵기는 현미경으로 보면 처음 중간 끝 등 모든 부분이 다 다릅니다

그러니 당연히 철관처럼 단순히 지름만을 갖고 실의 굵기를 표현할수 없겠지요?

 

그래서 고안한것이 바로 몇수 몇수 이러는것입니다.

 

다시말해 중량은 일정(1파운드=454g)인데 야드수가 올라간다면 (10x860, 50x860등등)

실이 가늘어진다는것을 의미한답니다,,아마 이정도면 충분히 이해하셨을거라 믿습니다.

 

 

그런데 linen은 이런 면의 수단위를 사용하는것이 아니라 리아(lea)라는 단위를 사용합니다

 

1리아는 360yds/1파운드입니다,,

 

그러니까 1리아와 1수의 상관관계를 잘 살펴보면(중학교 수학정도) 면번수로 대충

 

몇번수인지 확인가능할것입니다 대부분의 섬유인들은 조견표를 갖고 다닙니다

일일이 계산하기 번거러우니까...

 

어찌되었건 이런 linen은 여름용 소재로써 아주 다양하게 사용되며 대단히 고급소재임에

틀림없습니다

 

다만 가공상의 어려움이 있고 취급상의 어려움(마직물 고유의 구김성)이 한계를 뛰어넘어야할

과제입니다.

 

너무 왔다갔다 설명드린것같아 죄송합니다,

 

레이온에대해서는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천상천상..



<내용출처 : 본인작성>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황상태 | 작성시간 08.07.10 글 감사요, 참고)마류는 많은 종류(아마=플렉스=린넨, 저마=라미, 삼베,쥬트,등 다양한 식물의 껍질 섬유이며,방적 방법에따라 lea번수=마방적,,Ne번수=준소모방,수=면방적으로구분되며,습식,건식에따라 실표면 잔털의 소대차이며,육안 겁질 칼라(Natural=마자연색상))는 그대로 방적한것이며 B/O,B/W원사는 인피섬유라고함
  • 답댓글 작성자황상태 | 작성시간 08.07.10 자연 원료(실크,면,모,마류)는 원료의 작황에 따라 수급이 조절됨으로 가격는 천차만별이며,요즘는 여름용 의류 기본류로도 특수(명품)아이템이지만 잘 고르면 면(COTTON)가격과 동일요,,필요시 연락요 20년 마류 취급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