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미술관 박물관 산책

[스크랩] 르네상스 - 라파엘로

작성자유 랑|작성시간19.11.19|조회수103 목록 댓글 1

 

라파엘로(Raphael. 1483-1520)란 누구인가?


<라파엘로 산티(Raffaello Santi), 혹은 산치오(Sanzio)는 화가인 아버지에게서 그림의 기초뿐 아니라

궁정의 인문주의 철학을 배웠다. 열 일곱의 어린 나이에 이미 대가의 반열에 오른 그는,

피렌체를 거쳐 로마에 이르는 동안 자신의 예술적 역량을 더욱 키워나갔다.

율리우스 2세도 그의 재능을 그 자리에서 알아볼 지경이었다고 하니,

그가 젊은 나이에 사망했을 때 사람들의 슬픔이 어떠했는지는 쉽게 상상할 수 있다.

라파엘로는 다른 작가들의 영향을 흡수해서 그것을 넘어서는데 탁월한 재주가 있었다.

그의 작품은 너무나 완벽한 것이어서 아주 세세한 부분에서도 감탄을 금할 수 없다.>

(웬디 베케트, 『웬디 수녀의 유럽미술산책』,예담, p. 84.)

그가 21세의 나이로 1504년 처음 피렌체에 도착했을 때 미켈란젤로는 29세였으며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52세였는데

곧 그들에 버금가는 명성을 얻게 된다. 교황 율리우스 2세와 그 후계자 레오 10세의 후원을 받아,

1514년 교황청 전속 건축가로 임명되었다.

1520년 4월 6일 37세의 나이로 그의 생일날 세상을 떠났다.

교황은 그의 슬픔을 이기지 못해 하느님께 기도를 올리며

< 주여! 당신께서 사랑하시는 천사를 제게 잠깐 보내셨다가 다시 데려가셨습니다.>라고 한탄을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성모(聖母. 마리아) 이미지의 변화 단계

① 중세 시대(초대 교회에서 13세기) : 신성(神性)의 강조

- 화려한 옥좌 : 교회를 상징

- 성인(成人) 모습의 아기 예수 : 전지전능한 하느님의 완전성을 암시

- 오른 팔을 들고 있는 예수 : 승리자 혹은 심판자의 이미지

- 성모 마리아 : 엄격하고 견고하며 현실감이나 개성이 없는 보편적 이미지의 천상의 여인

 

 

01. 작자 미상. 「성모자」, 131 x 76 cm, 워싱턴,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

 

14세기의 성모상 : 중세의 엄격함에서 탈피한 현실적 이미지의 도입 (지오토)

- 현실적 여인 : 근엄한 신의 어머니가 아닌 살아 숨쉬는 현실의 여인으로 묘사

 

- 아기 예수 : 천진난만한 어린 아이의 모습

 

02. 지오토. 「영광의 성모」, 325 x 204 cm. 피렌체, 우피치미술관

 

③ 15세기 성모상 : ‘겸손한 마리아’의 모습

- 도시와 상업이 발달한 이탈리아에서 세계관이 현실적․이성적으로 바뀌면서 인간적 유형의 성모상이 탄생

- 성서이야기가 현실과 결부되며, 지상의 행복을 추구하는 당시의 시대문화상 대변

- 옥좌의 사라짐과 자식에게 애정을 표현하는 모성의 고운 이미지 :

인간의 이미지로서의 성모와 아기 예수 그리고 숭고한 내면의 모습


03. 필리포 리피. 「성모자」, 95 x 62 cm. 피렌체, 우피치미술관

 

④ 16세기 성모상 : 만인의 연인, 만인의 어머니로서의 성모상

- 완전한 모성 자체의 표현 : 현실적 인간의 모습을 통해 가장 완벽하고 이상적인 모성의 조형적 실현

 

04. 라파엘로. 「대공의 성모」, 84 x 55 cm. 1506년. 피렌체, 피티미술관

 

05. 라파엘로, 「의자의 성모」, 지름 71cm, 1513년. 피렌체, 피티미술관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sola fides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보좌진 | 작성시간 19.11.19 감사합니다
    창 넘어에서
    구경만 하네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