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스크랩] Leonardo da Vinci / 1452 ~ 1519년 -4

작성자유 랑|작성시간19.11.21|조회수21 목록 댓글 1

Leonardo da Vinci


Italian Renaissance painter, sculptor, architect, author, engineer,

inventor, lutanist, mathematician & scientist

born 15 April 1452 - died 1519
Born in: Vinci (Florentine province, Tuscany, Italy).
Died in: Amboise (Indre-et-Loire, France).


 Leonardo da Vinci 

presumed self-portrait


Leonardo als Platon,

Ausschnitt aus Raffaels Fresko

Die Schule von Athen


" 매혹 이라는 낱말은 언제나 그를 설명하는 적절한 명칭"이라고

르네상스의 저자 페이터는 말하고 있다.

30구가 넘는 주검을 해부하여 인체의 비밀을 탐구하였고 자궁 속에서 태아가

자라는 것을 조사한 최초의 사람. 파도와 조류의 법칙을 연구하고,

날고 싶은 이카로스의 꿈을 실현하기 위하여 비행기구를 고안한 사람.

요새를 파괴하는 법, 운하, 전차와 박격포를 구상한 사람.

그러한 사람과 저 신비로운 "모나리자"의 미소를 형상화한 위대한 화가가

도대체 어떻게 동일인 일수가 있다는 말인가?


Mona Lisa (La Gioconda)
c. 1503-5
Oil on panel, 77 x 53 cm
Museen du Louvre, Paris

 

레오나르도 다빈치

 

그는 르네상스의 기적이다.

매혹적인 기적. 기적 사이에 숨겨진 주름이 있다.

거기에 접혀 있는 하나의 비밀을 프로이드는 셜록 홈즈 처럼 흥미진진하게 파헤친다.

 

정신분석학을 창시한 프로이드, 그 호기심 많은 석학은 유명한 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유년의 기억" 에서

어둠속에 묻혀 버린 천재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무의식을 수사 한다.

그의 수사는 과학 논문 속에 느닷없이 삽입된 레오나르도의 짤막한 메모를 단서로 시작된다.

거기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아직 요람에 누워 있을 때 독수리 한 마리가 내게로 내려와

꽁지로 내 입을 열고는 여러 번에 걸쳐 그 꽁지로 내 입술을 쳤다."

참으로 기이한 기억이다.

이 기이한 기억의 단서에서부터 레오나르도의 마지막 명작

"성 안나와 성모자"에 담긴 비밀에 이르기까지…….

 

The Last Supper - Before Restoration
Fresco, 1498
181 x 346 3/8
inches (460 x 880 cm)
Convent of Santa Maria delle Grazie, Milan

 

레오나르도는 사생아이다어머니의 이름은 카타리나.

가난한 집안의 딸이던 그녀는 그녀를 임신시킨 남자와 결혼하지 못한다.

카타리나는 이 섬세하고 영민한 아이를 5년 동안 혼자 기르다가

결국 아이 아버지의 집으로 입양 시킨다.

이 비극의 카타리나가 레오나르도의 기억 속에서 독수리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0ee83cd7.1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pixel, 세로 14pixel 고대 이집트의 상형문자에서 독수리가 어머니의 상형이다.

이집트 사람들은 모든 독수리를 암컷으로 생각 하였다.

그들은 일정한 시기가 되면 독수리들이 하늘 높이 날아 오른 상태에서

정지하여 자궁을 열고 바람의 힘으로 수태한다고 믿었다.

 

Virgin of the Rocks
Oil on panel, 1486
78
1/4
x 48 inches (199 x 122 cm)
Museen du Louvre, Paris

 

 

박학(博學)한 레오나르도는 어느 날 이러한 지식을 얻게 되었고,

그것이 그의 기억과 무의식 속에서 혼합되어 기이한 독수리의 환상을 만들어 낸 것이다.

그러나 그 환상 속에는 진실이 숨어 있다.

즉 레오나르도는 자신을 어머니는 있으나 아버지는 없는 독수리의 자식,

나아가서 "성 안나와 성모자" 에 나오는 동정녀의 아들인 예수와 동일시하고 있는 것이다.

또 독수리의 환상은 이러한 어머니와 아이 사이에 일어난 모종의 에로틱한 사건을 말하고 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0ee80001.1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pixel, 세로 14pixel 이탈리아에서 "꽁지"는 남성의 성기를 가리키는 말임

 

The Virgin and Child with St Anne
Charcoal with white chalk heightening on paper, c.1510
66
1/8 x 51 1/8
inches ! (168 x 130 cm)
Mus? du Louvre, Paris


유년 시절의 어머니에 대한 사랑은 그 뒤 억압되어 무의식 속에 간직된다.

그러나 이러한 무의식은 어머니에 대한 사랑을 배반하게 만들 수도 있는

다른 여인들을 피하게 함으로써 마침내 레오나르도를 동성애자로 만든다…….

이하 중략

 

Female head [The Lady of the Dishevelled Hair]
Oil on panel, c.1508
10
5/8 x 8 1/4
inches (27 x 21 cm)
Galleria Nazionale, Parma

 

예수와 마리아 그리고 마리아의 어머니인 안나로 구성되는

성 가족의 도상은 당시에 흔한 것이었다.

그러나 마리아를 안나의 무릎 위에 앉힌 것은 특이한 구성으로 의미심장한 무엇이 있을 법 하다.

양은 예수의 희생을 상징하는 동물이다.

어린 예수는 엄마의 품에서 미끄러져 희생이 예정된 운명을 껴안으려고 하는데,

애정이 가득한 표정의 마리아는 아들의 희생을 막기 위하여 아들을 양으로부터 떼어 놓으려고 한다.

부드러운 천으로 이루어진 옷의 물결치는 주름은 그녀의 섬세하고 복잡한 마음의 결이다.

마리아와 예수의 시선 교차에는 이러한 숨겨진 긴장이 있다.

얼굴에 그늘이 진 어린 예수는 마치

"여인이여, 그대가 나와 무슨 상관이 있나이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0ee80002.1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pixel, 세로 14pixel 요한2:4"

라고 말하려는 듯이 보이지 않는가.


Madonna and Child with St Anne and the Young St John
Charcoal with white chalk heightening on paper, 1507-1508
55
5/8 x 41 5/8
inches (141.5 x 106 cm)
National Gallery, London


아기답지 않게 양을 잡고 있는 팔에 잔뜩 들어간 힘은 이러한 긴장을 함축한다.

이 다정함과 긴장감의 교차를 관조하는 시선이 있다.

바로 성 안나의 눈길이다.

모나리자의 미소와 닮은 안나의 미소에는

전면에 흐르는 황혼 빛 같은 비극적 운명을 견디고 받아들이는 운명애가 담겨 있다.

그녀의 머리 뒤로 마치 동 아시아의 산수화를 연상시키는

무한한 우주의 대기 속으로 이어진 풍경은 그녀를 더욱 신비롭게 만든다.

모든 여자가 이브의 딸로 여겨지던 중세에도 오직 한명의 여자, 마리아만은 찬미되었다.


  Madonna and Child with St Anne

and the Young St John [detail: 1]
Charcoal with white chalk heightening on paper,

1507-1508
55
5/8 x 41 5/8
inches (141.5 x 106 cm)
National Gallery, London
 

 

분석 심리학자 칼 융에 따르면,

남자 속에 여자가 들어 있다.

남자의 심리 속에 들어가 있는 여성적인 특성을 융은 아니마 Anima"라고 하였다.

마리아는 중세라는 남성의 감추어진 아니마이며 욕망이다.

 

Annunciation
Tempera on wood, 1472-1475
38
1/2 x 85 3/8
inches (98 x 217 cm! )
Galleria degli Uffizi, Florence


Annunciation  detail : 1


St John in the Wilderness
Oil on panel transferred to canvas, 1510-1515
69
5/8 x 45 1/4
inches (177 x 115 cm)


Annunciation [detail: 2]


Annunciation [detail: 3]

칼 융이 구분한 에로스의 4단계를 보자.

첫째는 성적 에로스와 아기를 낳은 생산성을 상징하는 "이브"의 단계,

둘째는 미적이고 낭만적인 단계인 "헬레나"의 단계다.

그리고 셋째는 종교적 헌신으로 드높여진 "에로스" 마리아의 단계다.

그러나 아직 끝이 아니다.

칼 융은 넷째로 "소피아"단계를 설정한다.


 Head of a Warrior
Red chalk on brownish paper, 1504-1505
8
7/8 x 7 1/4
inches (22.6 x 18.6 cm)
Museum of ! Fine Arts, Budapest


모든 것을 지혜로 관조하는 아니마.

"성 안나와 성 모자"에서 마리아가 에로스 단계와 상응한다면

안나는 소피아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 안나의 자리가 인간 지성의 극치를 훔쳐본 레오나르도의 정신이 다다르고자 한곳이었을까?

이 그림이 유년의 무의식의 풍경인가,

성화인가, 아니면 아니마의 이미지인가 하는 논의는 어쩌면 이 그림의 변죽에 지나지 않을지 모른다.

윤곽선을 흐릿하게 함으로써 대상에 생명감을 부여하는 스푸마토 기법,

황색과 청색 계열 색채의 연금술 적 융합, 안정된 삼각 구도 속에 담긴 역동성의 아슬아슬한 균형,

시선들의 교묘한 얽힘, 무엇보다 정점에 이른 완숙한 여성미의 표현과

여기에서 풍겨 나오는 신비 같은 그 어떤 심리학적 사실도 초월하는 아름다움이 아니겠는가.

 


The Battle of Anghiari
Black chalk, pen and ink, watercolour on paper, 1503-1505
17
3/4
x 25 inches (45.2 x 63.7 cm)
Museen du Louvre, Paris


The Battle of Angihiari
Oil on canvas, c.1503
Galleria degli Uffizi, Florence


The Battle of Angihiari
Oil on canvas, c.1503
Galleria degli Uffizi, Florence



Head of Christ
Black chalk, red chalk and pastel,

reworked with charcoal,

tempera wash and bistre on green paper,

 c.1494-1495
15
5/8 x 12 1/2
inches (40 x 32 cm)
Pinacoteca di Brera, Milan


Madonna Litta
Tempera on canvas, transferred from panel,

c.1490-1491
16
1/2 x 12 7/8
inches (42 x 33 cm)
! Hermitage, St Petersburg


Portrait of Cecilia Gallerani
Oil on wood, 1483-1490
21
1/2 x 15 3/4
inches (54.8 x 40.3 cm)
Czartoryski Museum, Cracow


The Madonna of the Carnation
Oil on panel, 1478-1480
24
3/8 x 18 5/8
inches! (62 x 47.5 cm)
Alte Pinakothek, Munich


 

The Madonna of the Carnation [detail: 1]
The Madonna of the Carnation [detail: 2]


Portrait of Ginevra Benci
Oil on wood, 1476
16
1/2 x 14 1/2
inches (42 x 37! cm)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The Baptism of Christ [detail]
Oil on wood, 1475
69
5/8 x 59 3/8
inches (17! 7 x 151 cm)
Galleria degli Uffizi, Florence



이 성희의 " 미술관에서 릴케를 만나다"  발췌

 

 




https://en.wikipedia.org/wiki/Leonardo_da_Vinci

 https://commons.wikimedia.org/wiki/Leonardo_da_Vinci?uselang=kbd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sola fides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보좌진 | 작성시간 19.11.21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