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정철어학원♥ 유사어의 미묘한 차이!! 원어민처럼 구별하는 비법?!

작성자정철어학원|작성시간09.07.03|조회수39 목록 댓글 0

“hard vs. difficult”, “a lot of vs. lots of”의 차이가 뭐죠?
원어민과 대화 할 때~ 미묘하게 틀리게 말할까봐 걱정이에요!

유사어의 의미차이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이번 주에는 많은 분이
궁금해하는 “대표 유사어들의 미묘한 차이”를 상세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유사어의 미묘한 차이!! 원어민처럼 구별하기!
hard vs. difficult
두 단어는 유사어입니다. 공통적으로 “어려운, 힘든”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요.

하지만 그 차이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hard"육체적, 정신적으로 노력을 필요로 하는"

예) Farming is hard work.
→ 농사는 고된 일이다
This problem is very hard to solve.
→ 이 문제는 아주 어렵다 / 풀기에.


difficult"육체적인 노력보다 오히려 특별한 지식,
기술, 판단력 등을 필요로 하는"


예) a difficult situation
→ 어려운 상황
Mathematics is always difficult for me.
→ 수학은 언제나 어렵다 / 나에게는.

정리하자면, hard는 정신적, 육체적으로 힘들고 어렵다는 뜻이고,
difficult는 기술이나, 지식 등이 어렵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a lot of vs. lots of

두 단어는 뜻이 완전히 같습니다.
때문에 둘이 바꾸어 쓰더라도, 문법적으로도, 의미상으로도 문제가 없습니다.

on Sundays vs. every Sunday

두 단어 모두 “매 주 일요일마다”라는 뜻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바꾸어 쓰더라도, 문법적으로도, 의미상으로도 문제가 없습니다.

have breakfast vs. eat breakfast

haveeat 은 다른 단어이지만,
have의 여러 뜻 가운데 “먹다”라는 eat과 같은 뜻이 있습니다.

그래서, 먹는다는 것을 뜻할 때, haveeat 모두 자주 쓰입니다.
위의 두 표현은 모두 옳고, 같은 뜻을 가집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우리말로도 “식사를 하다”와 “밥을 먹다”라는
표현이 있듯이, 영어에서도 eat 대신 have를 사용하면,
“먹다”라는 동작보다는 좀 더 완곡하게 “식사 하다”라는 말이 되는 것입니다.

Did you have breakfast yet? 아침식사 하셨어요?
Did you eat breakfast yet? 아침 먹었어요?

같은 말이기는 하지만, 어감이 조금 다르다는 것을 느끼실 수 있으시겠지요?
^-^ 이해가 되셨나요? 정철과 함께 즐거운 영어 공부하세요!

도움이 되셨나요?
회원님들께서 많이 궁금해하시는 질문들을 모아 매일 한개씩 명쾌하게~
알려드릴께요.
정철과 즐거운 영어 공부 되세요. ^^

본 게시물에 관한 모든 저작권은 정철연구소에 있습니다. 해당 게시물을 담아가시는

것은 허가하오나, 반드시 저작물의 출처를 밝혀주시는 네티켓을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http://www.jungchul.com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