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직무상담소]소개 & 상담예시

작성자JobStory100|작성시간13.05.28|조회수1,831 목록 댓글 1

게시판 소개
아무리 이쁜 신발이라도 짝짝이라면 신고 다니기가 힘들지?
강점과 직무도 한 켤레 신발처럼 짝이 맞아야 험난한 취업 길(Career Road)을 걸어갈 준비가 되었다고 할 수 있지
.  
여기는 자신의 강점을 알고 적합한 직무를 찾아주는 곳, 김쌤의 직무상담소
..한’이야.

강점=직무. 강점이 곧 직무다!


만약,

ü  자신의 강점을 몰라 진로를 정하지 못했다면,

ü  스펙은 쌓고 있는데 어느 분야를 지원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ü  직무를 정하지 못해 어떤 스펙을 쌓아야 할지 모르겠다면,

ü  직무정보가 부족해서 진로를 정하지 못했다면,

ü  서류전형에 합격했지만, 막상 가려니 직무 때문에 꺼려진다면.

그 고민 여기서 탈~~ 털어 놓으렴. 그럼 팍~~ 해결해 줄께~

 

 

다음은 맛보기 샘플이니, 즐감하시라~ 그럼 난 휘리릭~

--------------------------------------------------------------------------------------취돌이: “샘, 저는 어떤 일을 하면 잘할까요?

  : “취업에 관해 하루도 빠짐없이 질문하는 취돌아, 오늘도 역시 좋은 질문을 하는구나.
      
그런데 오늘은 질문 속에 답이 있구나
.
      
잘하는 일을 하면 되지! , 여기서 잘하는 일이란 특정 직업을 일컫는 게 아니란다”

취돌이: “그럼요?

김 쌤: “예를 들어, 평소 계획을 잘 짠다면, 그 강점이 자주 쓰이는 직업을 선택하는 거지!

취돌이: “아! 직업에 강점을 맞추지 말고, 자신에 강점에 직업을 맞춰라! 이 뜻 이군요?

김 쌤: “역쉬~ 넌 나의 수제비다(수제자)

취돌이: “그럼 한가지 더 궁금한게 있는데요, 제 강점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죠?

김 쌤: “우선 과거를 정리하고, 그 속에서 자주 쓰이는 강점을 찾는 거야. 다음 샘플을 보렴.

 

제목

경험

학습출판물 편집자

목적: 2011학년도 수능시험 대비 학습출판물 출간

역할: 사과탐 과목 편집자로서, 집필, 교정, 조판 등 유관직무 간 소통/ 정확한 학습내용 반영 위해 정보 수집/ 개정되는 교재의 콘셉트에 대한 논의

상황: 동시에 여러과목을 진행함-계획된 출간일이 다가올수록 업무량 많아짐/ 함께 이루어져야 할 작업들이 늦춰짐

행동: 유관직무자들 독려/ 시간 배분하여 계획 수정 및 진행/계획 야근 주말근무

결과: 결과물을 내기 위해 혼자가 아닌 관련된 직무를 이해하고 제대로 수행되도록 팀워크를 이루어 진행하는 것. 프로젝트관리 자료를 수집하고 적절히 가공함. 고객(독자) 입장에서 생각하고 상품()만들기

한국캠페인봉사단

목적: 2010학년도 봄학기 교내 클린캠페인 기획 및 실행

역할: 단원으로서 캠페인 주제 선정 및 실행 준비

상황: 봉사단원들 간 의견조율을 통해 캠페인을 기획해야 했기에 주제 선정 홍보 등에서 어려움이 있었음/ 봉사단 설립 초기였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홍보가 필요했음

행동: 매주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단원들 간 의견 조율-주제 선정/ 효과적  캠페인 활동을 위하여 기획의도 및 내용을 담은 팸플릿 작성, 배포/ 학내 구성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음료회사의 협찬을 받음 계획, 프로젝트관리

결과: 단원들 간 팀워크/ 캠페인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에서 자신감으로 발전-차후 캠페인 진행에 도움됨/ 사회봉사대상 보고대회에서 대상 수상

 

 

직장체혐프로그램 독서교육기업 홍보마케팅팀

목적: 출판 및 교육산업에 대한 경험 및 홍보마케팅 직무 경험

역할: 홍보마케팅팀에서 만드는 월간<독서신문>제작업무-인터뷰, 기사작성, 교정교열

상황: 처음으로 접해본 회사업무로 적응기간이 필요했음

행동: 선배기자에게 조언 구함, 기획안 작성 및 기획회의 참여, 인터뷰 등을 통해 업무에 익숙해지려고 노력 계획

결과: 기업과 소비자를 잇는 활동을 한다는 뿌듯함/ 대상이 되는 고객을 위한 정보를 찾고 정리하는 능력

한국홀 아르바이트

목적: 문화전반에 대한 이해 및 팀을 짜서 근무하는 것에 익숙해지기

역할: 공연 전후 극장 정리/ 관객들 안내/ 관객이 만족할 수 있는 공연을 위해 공연팀과 협력하기

상황: 아르바이트 근무자가 모두 학생으로 전문성이 부족할 있다는 우려/ 학사일정과 근무일정을 조율하는 데 한계가 있음

행동: 근무 전, 근무자들간 소통을 통해 해야 할 일 확인/ 실수가 있을 경우,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충고 및 조언/ 아르바이트 /철저한 시간배분으로 아르바이트로 인해 학업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  계획, 프로젝트 관리

결과: 동료들과의 팀워크/ 다양한 공연 관람을 통해 문화를 보는 안목이 생김/ 고객의 편안한 공연관람을 위해 서비스할 수 있는 마음

 

취돌이: “신기해요, 계획하기와 프로젝트 관리하기가 반복되요!

김동우: “이제, 이 두가지 강점이 필요한 직업을 찾으면 된단다. 그 중 하나가 인사분야의 교육운영이겠구나. 현업실무보다는 관리업무의 자질이 보이구나.

취돌이: “역쉬~ 나의 스님다우셔요(스승)
      
자기 강점이 자주 쓰이는 직업을 선택했으니 업무성과도 잘 나겠네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정의불패 | 작성시간 20.05.05 잘 알겠습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