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직무정보

나에게 맞는 직업, 취뽀직업사전 <한의사>

작성자[운영진] 취뽀메탈|작성시간19.08.30|조회수333 목록 댓글 1


세상의 모든 직업정보를 담아

여러분들에게 전달해드리는

취뽀직업사전!


오늘의 직업은

한의사 입니다


함께 알아볼까요? 


하는 일


한의사는 크기와 용도, 모양에 따라 쓰임이 다른 침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침을 놓고,

쑥 등의 약물을 피부의 특정 부위에서 태우거나 열자극을 주는 뜸(구)을 뜨며,

공기의 음압을 이용 하여 나쁜 피나 고름을 제거하는 부황 등 다양한 한의학 치료법을 활용하여 치료한다.

환자에게 한약을 처방해주고, 환자의 척추나 경혈부위 등을 손이나 기계를 이용하여 치료하거나

전통적으로 계승되어온 민간요법 및 식이요법 등의 치료방법을 사용하며

냉온팩을 이용한 찜질 및 다양한 기계를 사용한 물리치료를 실시한다.

2000년부터 한의사도 전문의 제도가 시행되면서 한방내과, 한방부인과, 한방소아과,

한방신경 정신과, 침구의학과,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한방재활의학과, 사상체질과

총 8개의 전문 분야 중 한 분야를 전문적으로 공부할 수 있다.


되는 길


1.교육 및 훈련


대한의예과 2년, 한의학과 4년으로 구성된 한의학과를 졸업하여 한의학사를 취득하거나

한의학 전문대학원에 입학하여 한의학 석사를 취득한 후 한의사 국가면허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또한 한의사 면허를 취득한 후 수련 한방병원에서 인턴 1년, 레지던트 3년 과정을 거친 후

전문의 자격 시험에 합격하면 전문의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한의학과가 개설된 11개 대학교(경희, 동국, 동의, 대구, 원광, 대전, 가천, 동신, 우석, 상지, 세명)와는

별도로 2008년 처음으로 한의학전문대학원이 부산대학교에 신설되었다.

한의학전문대학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한의학교육입문검사인

OMEET(Oriental Medical Education Eligibility Test)를 응시해야 한다.

한자능력이 필수적인 만큼 국가공인한자능력검증시험 2급 이상인 자로 응시를 제한하고 있으며,

일정 기준 이상의 대학 평점, 학부에서의 선수과목 이수, 면접 등으로 신입생을 선발하고 있다.


관련 학과: 한의예(학)과, 한의학전문대학원 등
관련 자격: 한의사 국가면허(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전문의(대한한의사협회)


2.입직 및 경력개발


대한의사 면허 취득 후에는 대부분 한의원을 단독 또는 공동으로 개업한다.

한방 병원, 요양병원, 국립의료원 등에 취업할 수 있으며 한의학 관련 연구소나 제약회사연구소,

대학 에서 연구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적성 및 흥미


다른 사람들을 치료하는 활동을 선호하는 사회형 흥미유형과 물리적,

생물학적 혹은 문화적 현상들에 호기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조사나

연구활동을 선호하는 탐구형 흥미유형이 적합하다.

생명 중시를 실천하는 과정에 책임과 진취성, 꼼꼼함, 인내력, 분석적 사고력 그리고 신뢰성이 요구된다.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한의사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한의사는 2016년 약 15.8천 명에서

2026년 약 19.2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3.4천 명(연평균 2.0%)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 의하면 한의사는 2018년 797명, 2017년 775명,

2016년 756명이 합격하여 최근 3년간 연평균 약 776명의 한의사가 배출되고 있으며 면허 취득자 중

상당수가 한의사로 활동할 것이므로 향후 한의사의 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의 고령화, 생명 및 건강 중시 의식변화 등 보건의료 환경의 변화로 질병의 치료보다는

질병 예방·건강증진·건강보호·재활 등 사전 예방적이고 포괄적인 보건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웰빙 문화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아토피, 비만, 산후부종, 스트레스 감소 등을 위한

자연주의 치료방법이 각광받게 되었고, 이는 한의학 수요 증대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의료비 경감을 위한 한약의 건강보험적용 확대와 휴대 및 복용을 간소화하기 위한

한약제(정제 캡슐) 개발 등 한의학의 대중화가 진행되고 있어 한방 의료의 수요 증대가 기대된다.

한의원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1년 12,305개소에서 2016년 13,860개소로 5년 사이에

약 12.6% 증가하였다.

또한, 한의학 건강보험 적용확대, 한의학 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 및 보급 등도 함께 추진되어

한의학의 시장 및 업무영역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 밖에 한의진료 영역이 확대되면서 한의학을 소재로 한 한의의약품, 식품산업 등이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건강관리, 비만관리 등 예방 측면에서 한의학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적으로 전통의약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국내 한의사들이 미국 등으로 진출하고자
노력하고 있고, 정부에서도 우리의 전통 한의약이 세계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의학 선진국인 미국에서는 한의학 연구를 하고 있으며 러시아, 슬로바키아, 터키 등

유럽지역에서도 한의학에 대한 관심이 높다.

종합하면, 고령인구 증가, 한의학 접목 산업 확대 및 의료기술 수출, 건강보험 적용범위 확대 등의

영향에 따라 향후 10년간 한의사 취업자 수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정보처


보건복지부 129 www.mohw.go.kr
 대한한의사협회 1666-7575 www.akom.org
 대한한방병원협회 (02)596-4245 www.komha.or.kr
 한국한의학연구원 (042)861-1994 www.kiom.re.kr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1544-4244 www.kuksiwon.or.kr



출처:2019 한국직업전망, 한국고용정보원 

콘텐츠 업데이트 주기에 맞춰 해당 자료는 2년 뒤 업데이트 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경포대 | 작성시간 21.07.07 수능을 다시 볼까...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