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질환&질병

편도염을 알아보자!

작성자부산광역시걷기협회|작성시간21.06.24|조회수742 목록 댓글 0

1.    편도염이란?

편도 구조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편도선은 입과 코로 들어오는 항원에 대해서 반응을 하고, 주로 점막의 표면을 방어하기 위해 항체를 만들어 분비하는 조직입니다.

2.    원인 및 증상

  • 급성 편도염

양측 편도에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발생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이지만 여러 바이러스들도 편도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체로 청년기나 젊은 성인에서 잘 생기고, 추위나 더위에 노출되었을 때, 감기 이후에 발생합니다.

증상은 대부분 갑자기 시작되는 고열과 오한이 있은 후에 목이 아픈 증상이 발생하며, 음식을 삼킬 때 아픈 통증이 있고, 두통, 관절통 등의 전신증상이 함께 나타나다 4-6일 후에는 호전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 만성 편도염

지속적으로 편도의 염증으로 불편한 경우를 만성 편도염이라 합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만성적인 인후통입니다. 그 외에 연하곤란이 나타나기도 하고, 구취를 호소하기도 합니다.

  • 편도결석

편도결석은 성인에서 많고, 인후통이나 이물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환자들은 입안에서 악취가 나고 편도를 자세히 보면 흰색의 덩어리를 관찰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는 필요에 따라 결석을 제거하고 가글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지만, 만약 편도결석에 따른 구강 악취, 이물감이 심한 경우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 구개편도와 아데노이드 비대증

아데노이드 비대증이 심한 경우는 코막힘이 있고, 고막 안으로 물이 차는 삼출성 중이염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코골이가 심한 경우에는 수면 중 무호흡증도 일으킬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콧물을 흘리거나, 입으로 숨 쉬는 행태를 보입니다.

이에 비해서 구개편도의 크기는 염증 등으로 아주 커질 경우는 호홉곤란을 유발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크기 자체가 의미를 가지지는 않습니다.

3.    편도염의 합병증

  • 국소 합병증

국소 합병증으로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편도주위농양입니다. 이는 편도에 생긴 감염이 심해지면서 편도의 뒤쪽으로 염증이 진행되어 편도 주위에 고름이 차는 병입니다. 대개 한 쪽에 생기면서 심한 통증과 귀가 아픈 증상을 호소하고, 열이 나면서 오한이 동반됩니다.

적절한 치료를 하지 못할 경우는 감염이 주변으로 퍼져서 심각한 상황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며, 대개의 경우는 고름을 빼내어야 합니다.

  • 전신 합병증

상기도의 연쇄상구균 감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급성 류마티스열과 연쇄상구균성 사구체 신염이 있습니다. 대게 어린아이들에게서 연쇄상구균의 감염 후 면역반응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 적절한 치료만 하면 수주 뒤에 회복이 됩니다.

4.    진단

  •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사

대부분 병력 청취와 간단한 신체검사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인후통을 동반한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면 급성 편도선염임을 알 수 있습니다. 만성 편도염은 과거에 잦은 편도염의 경력이 있고, 만성적인 구강통증과 음식을 삼킬 때 통증이 있으면서 편도의 염증 소견이 보이면 진단할 수 있습니다.

  • 방사선 검사

아데노이드는 입을 통해 볼 때는 보이지 않는 곳에 있기 때문에, 비후된 아데노이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비인후과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검사를 하거나 단순 방사선 검사를 하여야 합니다.

5.    치료

  • 보존적 치료

대부분 스스로 증상이 좋아지지만 심해질 경우 심각한 합병증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보존적 치료로는 물을 충분히 마시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며, 구강을 청결히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필요에 따라 해열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세균성 편도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전문의의 진료 하에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 편도선 수술

아이들의 경우는 편도와 아데노이드를 동시에 수술하는 경우가 많고, 성인에서는 대개 아데노이드는 퇴화하여 없기 때문에 편도만 절제하는 수술을 합니다.

증상이 견디기 힘들다고 생각하거나, 어린이의 경우 잦은 고열로 결석이 많은 경우 상담을통하여 수술 여부를 결정하면 됩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편도염 [tonsillitis]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