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질환&질병

강박증에 대해서

작성자부산광역시걷기협회|작성시간21.07.13|조회수155 목록 댓글 0

1. 증상

강박증상은 실제 행동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으며 그 결과로 다른 사람들이 환자의 증상을 알게 됩니다. 환자들은 강박적인 생각이 떠올라 이로 인하여 불안해지고 그 불안감을 벗어나기 위하여 ‘강박행동’을 하게 됩니다. 강박행동을 통해 불안감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특정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다보면 일정한 틀을 가지게 되며 그래서 이를 정신의학에서는 의식(ritual)이라고 부릅니다.

강박증상은 여러 가지 종류로 나눠질 수 있습니다.

2. 진단 및 검사

강박증 진단을 위해서는 정신과 전문의의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강박증은 특정한 행동이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그 결과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초래할 경우에 의심할 수 있습니다.

(자가진단)

3. 치료

현재까지의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면, 약물치료, 인지치료 및 행동치료 등이 강박증 치료에 우선적으로 추천됩니다.

(약물)

경증의 강박증 치료에서 인지행동치료가 효과가 없거나, 경증을 넘어선 수준의 강박증을 치료하기 위해 약물 치료를 시행합니다. 강박증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약물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를 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 후 증상이 호전되기까지 약 6-10주 이상이 걸립니다. 3개월 이상 약물을 사용해도 증상의 호전이 없다면, 다른 약으로 교체하거나 추가하는 단계적인 치료를 시행합니다. 약물 치료 직후 증상 호전이 없다고 좌절하거나 치료를 중단하지 않고, 약물 치료를 지속할 수 있어야 합니다.

(비약물)

-행동 치료 

강박증 환자들은 강박적인 생각과 관련된 불안을 줄이기 위해서 특정한 행동을 반복하곤 합니다. 이런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노출 및 반응 방지” 기법입니다. 불안을 느끼는 어떤 상황에 강박증 환자를 노출시킨 후에 불안을 줄이기 위해서 보이는 강박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오염-청결 행동을 보이고 있는 환자에게 다른 사람이 사용한 화장지 등을 손으로 만지게 합니다. 이단계가 “노출” 단계입니다. 그리고 환자가 그 동안 해 왔던 씻기 행동을 일정한 시간동안 금지합니다. 이 단계가 “반응 방지” 단계입니다.)

처음에는 환자가 매우 불안해하지만, 반복적으로 치료받으면서 환자는 불안을 유발시키는 상황에 대해서 익숙해지고, 강박행동을 않더라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불안이 줄어든다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노출 및 반응 방지” 기법은 다른 치료와 함께 시행하지 않고 단독 치료만으로도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 자신이 치료받고자 하는 동기가 강해야 하며 지속적으로 치료에 참여해야만 치료가 가능합니다. 

 

 

(출처)

질병관리청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