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2000제 35페이지 37번

작성자야니주|작성시간24.01.02|조회수30 목록 댓글 2

제목양식:

강의교재 질문: 해당과정, 단원, 페이지, 문제번호 명시 (적중 2000제 17장 전기화학 516페이지 34번)

편입기출문제 질문 : 학교, 연도, 문제번호를 명시(중앙대 2022년도 12번)

 

 

1. 질문의 의문문마다 각각 번호를 붙여주세요.

2. 질문글 하나에 문제 하나만 질문 해주세요.

3. 문제의 그림이나 사진을 첨부하시면 답변을 빨리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한번에 정확히 질문해주세요. 답변에 대한 추가 질문들에는 답변드리지 않습니다.

5. 이렇게 풀면 왜 답이 안나오나요? 유형의 질문에는 답변드리지 않습니다.

2000제 35페이지 37번 1번 선지 질문드립니다.
SF6 - 육플루오린화 황
옳은 선지라고 하는데

1500제 이론에서 영어 이름으로 된 것은(ex 플루오린) tetra, di, hexa 같은 것들을 이용해야한다고 본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이미 저와 동일한 질문을 하신 분이 계셔서 선생님 답변 내용을 읽어 보았는데,
육플루오린화 황이 그 자체로 한글이라고 하시더라구요! 이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는게
1500제 이론에서 SF4는 테트라플루오린화 황 이라고 ‘테트라’라는 영어 접두사를 사용하였는데
이번 경우의 SF6과는 어떤 차이인건지, 왜 ‘육’이라고 한글을 쓰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ㅠㅠ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박인규 | 작성시간 24.01.03 육플루오린화 황은 흔히 쓰이는 정확한 명명법입니다. (줌달 10판 68페이지 등)
    '플루오린'에 해당하는 한글원소명이 없습니다. 불소가 있긴하지만 요즘은 불소라는 이름은 거의 쓰지 않습니다.
    줌달 10판 69페이지에 보면 이플루오린화 이산소, 다이플루오린화 이산소라는 두 표현이 혼용되기도 합니다.
    마찬가지로 '이크로뮴산 소듐'과 '다이크로뮴산 소듐' 둘 다 혼용됩니다.
    즉, 명명법에서 숫자를 의미하는 접두사는 영어, 한글을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
  • 작성자박인규 | 작성시간 24.01.03 아래 링크에 대한화학회에서 결정한 명명법 지침?이 있으니 시간나면 구경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new.kcsnet.or.kr/iupacname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