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회) 온라인 수요니까야 읽기(앙굿따라 니까야 제6권 열한 번째)

작성자까말라|작성시간22.01.05|조회수132 목록 댓글 10
☸ 12월 30일 오후 2시
☸ zoom으로 접속하여 모인 법우님들과 함께
❂ 빠알리 예불 독송
❂ 열의 모음 - 세 번째 50개 경들의 묶음

제11장 사문의 인식 품
『인식 경』(A10:101)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사문의 인식을 닦고 많이 [공부]지으면 일곱 가지 법을 가득 채우게 된다. 무엇이 셋인가?”
2. “① 나는 저열한 상태에 이르렀다. ② 내 생명은 남에게 달려있다. ③ 나의 행동은 [재가자들과]달라야 한다.”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사문의 인식을 닦고 많이 [공부]지으면 일곱 가지 법을 가득 채우게 된다. 무엇이 일곱인가?
3. “① 계에 대해서 언제나 한결같이 행하고 한결같이 실천하고, ② 간탐하지 않고, ③ 악의가 없고, ④ 거만하지 않고, ⑤ 공부짓기를 원하고, ⑥ 삶을 영위하는 필수품들에 대해 ‘이것은 나의 필수품이다. ’라고 생각하고, ⑦ 열심히 정진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사문의 인식을 닦고 많이 --[공부]지으면 이러한 일곱 가지 법을 가득 채우게 된다.”

『깨달음의 구성요소 경』(A10:102)
①마음챙김의 깨달음 구성요소[念覺支]
②법을 간택하는 깨달음의 구성요소[擇法覺支]
③정진의 깨달음의 구성요소[精進覺支]
④희열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喜覺支]
⑤고요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輕安覺支]
⑥삼매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定覺支]
⑦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捨覺支]
⑧宿命通
⑨天眼通
⑩慧解脫

『그릇됨 경』(A10:103)
그릇된 {①견해→ ②사유→ ③말→ ④행위→ ⑤생계→ ⑥정진→ ⑦마음챙김→ ⑧삼매→ ⑨지혜→ ⑩해탈}⇒실패가 따르고 성공이 없음

『씨앗 경』(A10:104)
바른{①견해→ ②사유→ ③말→ ④행위→ ⑤생계→ ⑥정진→ ⑦마음챙김→ ⑧삼매→ ⑨지혜→ ⑩해탈}⇒몸, 말, 마음으로 행한 모든 법들은 행복으로 인도

『영지(靈知) 경』(A10:105)
무명이 선구자가 되어 해로운 법들이 일어남으로써 양심과 수치심 없이 따르되 되나,
영지가 선구자가 되어 유익한 법들이 일어남으로써 양심과 수치심이 이것을 따르게 된다.
①바른 견해→ ②바른 사유→ ③바른 말→ ④바른 행위→ ⑤바른 생계→ ⑥바른 정진→ ⑦바른 마음챙김→ ⑧바른 삼매→ ⑨바른 지혜→ ⑩바른 해탈

『파괴 경』(A10:106) 「씨앗 경」(A10:104)의 열 가지로 그릇 됨을 파괴하는 바른 수행으로 완성에 이름

『세정의식 경』(A10:107) ~~ 해제에서 ~~
  본경에는 바라문들이 행하는 몇 가지의식에 대해 설명하시면서 진정한 의미에서의 의식이 어떤 것인지를 말씀하신다. 「세정의식 경」(A10:107)에는 세정의식이 나타나고 있고 「하강의식 경」1/2(A10:119~120)에는 또 다른 「하강의식 경」1/2(A10:167~168)에는 하강의식이, 「자눗소니 경」(A10:119~177)에는 조령제(祖靈祭)가 언급되고 있다.
주석서는 세정의식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세정의식(dhovana)’이란 뼈를 씻는 것(atthi-dhovana)을 말한다. 어떤 지방에서는 친척(nataka)들이 죽으면 화장을 하지 않고 매장을 했다고 한다. 시체가 썩으면 뼈를 꺼내어 뼈를 씻고 향기를 쏘여서 보관하다. 그들은 축제일에 한 곳에 뼈를 모아두고, 한 곳에 술 등을 준비해놓고는 울고불고 탄식을 하면서 술을 마신다. 그러므로 ‘남쪽 지방에는 세정의식이라는 것이 있다. … 이런 세정이 있다. 나는 그것이 없다고 말하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어떤 이들은 마법(inda-jala)으로 뼈를 씻는 것을 세정이라고 말한다.”(DA.i84~85)
  부처님께서는 이것은 “저열하고, 촌스럽고, 범속한 것이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주지 못한다. 이것은 [속된 것을] 역겨워함으로 인도하지 못하고, 고요함으로 인도하지 못하고, 최상의 지혜로 인도하지 못하고, 바른 깨달음으로 인도하지 못하고, 열반으로 인도하지 못한다.”하고 말씀하신 뒤 비구들에게 진정한 세정의식으로 바른 견해바른 사유바른 말바른 행위바른 생계바른 정진바른 마음챙김바른 삼매바른 지혜바른 해탈의 열 가지 바름을 설하신다.

『의사 경』(A10:108) 효험이 있는 성스러운 하제 열 가지
『구토제 경』(A10:109) 효험이 있는 성스러운 구토제 열 가지
『배설 경』(A10:110) 열 가지 배설해야 하는 법
『무학 경1』(A10:111) 열 가지 무학의 법
『무학 경2』(A10:112) 열 가지 무학의 법
제12장 하강의식 품
『비법 경1』(A10:113)
『비법 경2』(A10:114)
『비법 경3』(A10:115) 간략한 세존의 말씀-비법과 법을 알고, 해로운 것과 이로운 것을 안 뒤 법을 따라, 이로운 도를 닦아야 한다. 아난다 존자의 분석 설명
비 법
① 바른 견해…조건으로 여러 가지 유익한 법들은 수행을 통해 완성에 이르나니 이로움그릇된 견해…조건으로 불선법이 일어나 해로움
② 바른 사유그릇된 사유
③ 바른 말그릇된 말
④ 바른 행위그릇된 행위
⑤ 바른 생계그릇된 생계
⑥ 바른 정진그릇된 정진
⑦ 바른 마음챙김그릇된 마음챙김
⑧ 바른 삼매그릇된 삼매
⑨ 바른 지혜그릇된 지혜
⑩ 바른 해탈그릇된 해탈

2021년의 마지막 수요니까야 읽기를 하였습니다.

2년에 걸친 코로나19의 아픈 시간이었지만

zoom으로 온라인에서 만나 부처님 가르침을 함께 공부하는 행복한 시간이었습니다.

원장스님께서 공부해 나갈 방향을 수준에 맞게 바르게 가르쳐 주셔서

나날이 성장하는 것을 모두들 직접 느낄 수 있는 배움의 시간이었습니다.

선업증장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신 원장스님께 감사드립니다.

시작은 함께 하였지만,

학업으로, 또는 새로운 직업을 갖게 되어, 얼굴은 볼 수 없지만,

늘 니까야를 생각하며 부처님을 떠올린다는 선우님들!

2022년 모두 평안하시길 기원드립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purahan | 작성시간 22.01.06 사두 사두 사두
    _()__()__()_
  • 작성자붓디물라 | 작성시간 22.01.06 수요 니까야 읽기도 한 해를 마감하는 시간이었네요.
    동참하신 법우님들 모두 수희 찬탄 드립니다.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 작성자메따 | 작성시간 22.01.06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 작성자자나난다 | 작성시간 22.01.07 훌륭하고 훌륭하십니다.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 작성자수완나 | 작성시간 22.01.08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