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회) 온라인 수요니까야 읽기(앙굿따라 니까야 제6권 열두 번째)

작성자까말라|작성시간22.01.06|조회수81 목록 댓글 9
☸ 1월 5일 오후 2시
☸ zoom으로 접속하여 모인 법우님들과 함께
❂ 빠알리 예불 독송
❂ 열의 모음 - 세 번째 50개 경들의 묶음

제12장 하강의식 품
『아지따 경』(A10:116)
『상가라와 경』(A10:117)
『이 언덕 경』(A10:118)
『하강의식 경1』(A10:119)
『하강의식 경2』(A10:120) ~~ 해제 중 옮김 ~~
자눗소니 바라문은 「하강의식 경」1(A10:119)에서 하강의식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고따마 존자시여, 여기 바라문들은 포살일에 머리를 감고 아마포로 만든 새 옷 한 벌을 입고 젖은 소똥을 땅에 바르고 푸른 꾸사 풀을 그 위에 펴고는 그 가장자리와 불을 안치한 곳 사이에 잠자리를 만듭니다. 그들은 그 밤에 세 번 일어나서 합장하고 ‘저희는 당신께로 하강합니다. 저희는 당신께로 하강합니다.’라고 하면서 불에 예배합니다. 그리고 많은 생 버터와 정제된 버터로 불에 헌공합니다. 그 밤이 지나면 딱딱하고 부드러운 맛있는 음식으로 바라문들에게 공양합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바라문들은 이와 같이 하강의식을 행합니다.”
  “세존께서는 이러한 하강의식을 버리고 참다운 하강의식을 할 것을 설하시는 데 「하강의식 경」1/2(A10:119~120)에서는 열 가지 바름을, 또 다른 「하강의식 경」1/2(A10:167~168)에서는 십선업도를 말씀하신다.
十善業道 十不善業道
① 생명을 죽이는 것을 삼가는 것① 생명을 죽이는 것
②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것을 삼가는 것②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것
③ 삿된 음행을 삼가는 것③ 삿된 음행
④ 거짓말을 삼가는 것④ 거짓말
⑤ 중상모략을 삼가는 것⑤ 중상모략
⑥ 욕설을 삼가는 것⑥ 욕설
⑦ 잡담을 삼가는 것⑦ 잡담
⑧ 탐욕없음⑧ 욕심
⑨ 악의 없음⑨ 악의
⑩ 바른 견해⑩ 그릇된 견해

『앞장섬 경』(A10:121)

『번뇌 경』(A10:122)

제13장 지극히 청정한 품

제14장 훌륭함 품

제15장 성스러운도 품

 

열의 모음인 제13장부터 제15장까지의 법수는 다음의 열 가지 바름(8정도+2바름)

① 바른 견해   ② 바른 사유       ③ 바른 말     ④ 바른 행위   ⑤ 바른 생계
⑥ 바른 정진   ⑦ 바른 마음챙김 ⑧ 바른 삼매   ⑨ 바른 지혜   ⑩ 바른 해탈

오늘의 법담은

유신견(五蘊×4견해=20가지)「애정 경」(A4:200)
 ① 五蘊이 자아다.  
 ② 五蘊을 가진 것이 자아다.  
 ③ 五蘊이 자아 안에 있다.  
 ④ 자아 안에 五蘊이 있다.

겨울방학으로 참여한 수단따기획부장님께서

부경동호회 자료를 공유하며 함께 사유하고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모두 임인년에도 꾸준히 부처님 공부하며 실천하기를 발원하였습니다.

사~두 사~두 사~두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자나난다 | 작성시간 22.01.07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 작성자메따 | 작성시간 22.01.08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 작성자붓디물라 | 작성시간 22.01.10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 작성자티라가-미 | 작성시간 22.01.11 사-두 사-두사-두!
  • 작성자수후주 | 작성시간 22.01.12 사두 사두 사두 _()_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