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월 5일 오후 2시 ☸ zoom으로 접속하여 모인 법우님들과 함께 ❂ 빠알리 예불 독송 ❂ 열의 모음 - 세 번째 50개 경들의 묶음 제12장 하강의식 품 『아지따 경』(A10:116) 『상가라와 경』(A10:117) 『이 언덕 경』(A10:118) 『하강의식 경1』(A10:119) 『하강의식 경2』(A10:120) ~~ 해제 중 옮김 ~~ 자눗소니 바라문은 「하강의식 경」1(A10:119)에서 하강의식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고따마 존자시여, 여기 바라문들은 포살일에 머리를 감고 아마포로 만든 새 옷 한 벌을 입고 젖은 소똥을 땅에 바르고 푸른 꾸사 풀을 그 위에 펴고는 그 가장자리와 불을 안치한 곳 사이에 잠자리를 만듭니다. 그들은 그 밤에 세 번 일어나서 합장하고 ‘저희는 당신께로 하강합니다. 저희는 당신께로 하강합니다.’라고 하면서 불에 예배합니다. 그리고 많은 생 버터와 정제된 버터로 불에 헌공합니다. 그 밤이 지나면 딱딱하고 부드러운 맛있는 음식으로 바라문들에게 공양합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바라문들은 이와 같이 하강의식을 행합니다.” “세존께서는 이러한 하강의식을 버리고 참다운 하강의식을 할 것을 설하시는 데 「하강의식 경」1/2(A10:119~120)에서는 열 가지 바름을, 또 다른 「하강의식 경」1/2(A10:167~168)에서는 십선업도를 말씀하신다. |
十善業道 | 十不善業道 | |
① 생명을 죽이는 것을 삼가는 것 | 몸 | ① 생명을 죽이는 것 |
②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것을 삼가는 것 | 몸 | ②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것 |
③ 삿된 음행을 삼가는 것 | 몸 | ③ 삿된 음행 |
④ 거짓말을 삼가는 것 | 말 | ④ 거짓말 |
⑤ 중상모략을 삼가는 것 | 말 | ⑤ 중상모략 |
⑥ 욕설을 삼가는 것 | 말 | ⑥ 욕설 |
⑦ 잡담을 삼가는 것 | 말 | ⑦ 잡담 |
⑧ 탐욕없음 | 뜻 | ⑧ 욕심 |
⑨ 악의 없음 | 뜻 | ⑨ 악의 |
⑩ 바른 견해 | 뜻 | ⑩ 그릇된 견해 |
『앞장섬 경』(A10:121)
『번뇌 경』(A10:122)
제13장 지극히 청정한 품
제14장 훌륭함 품
제15장 성스러운도 품
열의 모음인 제13장부터 제15장까지의 법수는 다음의 열 가지 바름(8정도+2바름)
① 바른 견해 ② 바른 사유 ③ 바른 말 ④ 바른 행위 ⑤ 바른 생계 ⑥ 바른 정진 ⑦ 바른 마음챙김 ⑧ 바른 삼매 ⑨ 바른 지혜 ⑩ 바른 해탈 |
오늘의 법담은
유신견(五蘊×4견해=20가지)「애정 경」(A4:200) ① 五蘊이 자아다. ② 五蘊을 가진 것이 자아다. ③ 五蘊이 자아 안에 있다. ④ 자아 안에 五蘊이 있다. |
겨울방학으로 참여한 수단따기획부장님께서
부경동호회 자료를 공유하며 함께 사유하고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모두 임인년에도 꾸준히 부처님 공부하며 실천하기를 발원하였습니다.
사~두 사~두 사~두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