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식보기사 필기(복원)

식물보호기사 도움글 ( 기사 자격증 첫 준비생을 위한 )

작성자응행|작성시간22.04.07|조회수3,091 목록 댓글 26

안녕하세요. 

기사준비를 처음할 적을 떠올리면 아무것도 몰라서 바보였던 제가 기사를 딸 수 있던 것은

아는 사람들이 그 정보를 공유해주고 알려주셨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부족하지만 다른 누군가 조금이라도 참고해서 쉽게 준비하실 수 있도록 글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기사 자격증에 대해 노베이스인 분을 위해서 작성하는 글입니다. 아주 당연한 내용을 적었습니다.

 

**시험에 주민등록증은 필수입니다. 열심히 준비하시고 시험 못 치는 불상사가 없도록 해주세요.

 

 

 

 

 

1) 필기👨‍🏫👩‍🏫

필기는 문제은행으로 나와서 기출문제를 많이 돌리면 됩니다. 

10개년 5회독 하시는 분도 있는데 저는 5개년 3회독만 했어요.

 

요약집은 공시생 몰랑이님 자료 사용했습니다.

여기에 자료를 올려도 괜찮은지 모르겠어서 올리지 않았습니다. 

 

기출문제 사이트입니다.

https://www.comcbt.com/

-----------------------------------------------------------------------------------------------

위 CBT 기출문제를 5개년 3번 풀어보면 겹치는 내용이 많기 때문에 점점 감이 잡힙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공부하셔야 빨리 합격합니다. 

 

요약집은 되도록 보지 않았고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단어 알고 기초지식 정리했어요.

그래도 요약집이 필요해질 때가 오는데 (제 경우에는 잡초 특성이랑 이름 매칭 시키는 거) 

그때 보는게 효율적이라고 느꼈어요.

 

문제은행으로 출제되기 때문에 질문이랑 답이 톨씨 하나 다르지 않은 애들도 있어요.

저는 이해가 안 되고 계속 틀리는 문제는 아예 문제랑 답을 외웠고 그덕에 시험장에서 맞춘 것도 있었구요.

 

**참고로 이 사이트 처음 쓰시는 분 중에 전자문제집 사용법 모르시고 복사하는 분들 있는데

여기 체크무늬를 눌러주시면 전자문제집이 뜹니다. 복사하지 않고 오답노트도 자동으로 떠서 아주 좋아요!

**저는 지식을 얻기보다 자격증 취득이 우선이었습니다. 책 구매 안하고 기출만 푼 것을 보아도 그렇죠.

  이점을 감안해서 제 필기공부 방법을 참고로 봐주세요~

 

 

 

 

 

 

 

 

2) 실기👩‍🌾👨‍🌾

실기는 필답형이랑 작업형이 있습니다.

필답형 60점 만점+ 작업형 40점 만점입니다. 

60점을 받아야 실기 합격입니다. 

 

2.1) 필답형(DVD)

먼저 사진을 보고 판독해서 문제를 푸는 방식이라고 아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병해(18점, 9문제), 해충(18점, 9문제), 잡초(8점, 4문제), 병원균(4점, 2문제), 농약(12점, 6문제).

이렇게 이루어져 있습니다.

 

농약은 몇 번만 반복해서 패턴을 분석하면 가장 쉽습니다.

병원균은 종류가 몇개 없습니다.

잡초는 병해, 해충에 비해서 공부할 양이 적은데 4문제나 나옵니다.

 > 농약, 병원균, 잡초는 다 맞는다는 각오로 공부하셔야 병해충 공부 부담이 줄어듭니다. 

 

제가 가장 준비하면서 까다로웠던 부분입니다.

병해충 자료 중에 틀린 자료도 참 많다고 해서 무엇을 추천하는게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자료는 길현, 달랭이, 오승준 등등 초가사랑 자료랑 블로그에 올라온 자료들을 추려서 봤습니다.

이 외에도 카톡 오픈채팅방에 질문하면서 종종 올라오는 유용한 자료들 토대로 공부했습니다.

 

**동화의 뜰이라는 실기 준비강좌가 괜찮다는 말을 들었어요.

  강좌비가 비싸고 서울까지 가야해서 저는 독학을 선택했지만 여유가 되시는 분은 들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그리고 출제경향 파악된 것을 카톡방에서 받았는데 저는 엄청 도움이 되었어요.

최근에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참고해주세요.

 

농약은 자료를 제가 지웠는지 없네요.

그렇지만 농약은 패턴만 이해하면 충분히 다 맞출 수 있습니다.

 

잡초, 병원균, 농약 만점(24점)+병충해 @점+작업형은 30~점(40점 만점, 만점 못 받는다고 합니다.)

전략적으로 DVD 3개에 집중하고 그 후에 병충해 살펴보고
작업형은 30점 후반대 맞는다는 각오로 준비하시면 합격 충분히 가능합니다.

 

 

2.2) 작업형(실험)👩‍🌾👨‍🌾

작업은 농약희석, 농약 구분, 현미경감정, 습실처리, 도말평판 과정.

이렇게 이루어져 있습니다. 

 

시험장에 검은 볼펜, 신분증, 실험장갑(라텍스)과 실험복을 가져가야 합니다. 실험장갑은 찢어질 수 있으니 여분을 챙겨가도록 합시다

 

저는 실험실에 속해있지 않아서 작업형을 실제로 연습할 수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료가 많고 어렵지 않기 때문에

혼자 실험하듯 연습할 수 있고 그렇게만 준비해도 합격할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zpKDbzP6e-XxwKqQyx3bPg

 

저는 영상 내용을 노트에 정리해놓고 행동 순서를 정했습니다. 

그리고 좀 이상한 사람처럼 도말평판 연습시에 볼펜을 핀셋으로 두고 앞에 지우개를 알콜소독으로 생각하고 소독하는 척 행동하고

농약희석 컵 앞에 두고 물 따르고 눈금 확인하는 척하며 연습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외워집니다. 

현미경 동정은 깍지벌레, 응애, 진드기, 총체벌레 사진을 계속 보았고 현미경 작동법 순서를 계속 외웠어요.

도말평판 과정은 배지가 찢어지지 않게 손힘을 잘 준 상태로 1차 2차 3차 도말하는 게 중요해요. 젓가락으로 연습했습니다.

 

 

저 영상 내용을 중심으로 두고 추가적인 내용은 

오픈채팅방이나 블로그에 올라온 작업형 실기 후기를 토대로 살을 붙였습니다. 

 

 

 

3) 기초적인 내용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1562 

필기, 실기 모두 여기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저는 이것도 잘 몰랐기에 남깁니다..

 

실기는 볼 수 있는 장소들이 정해져 있습니다. 본인 지역과 가까운 실기장소 확인하시고 신청해주세요.

저는 제가 속한 지역이 다 차서 실기 못 보는 줄 알고 낙심했는데

이게 실기 신청 기간 매일 아침 9시? 10시?마다 추가로 지역을 더 푼다더군요.(정확한 내용 아시는 분 댓글 달아주세요) 덕분에 지역 변경해서 시험을 볼 수 있었죠.

참고로 2020년에(코로나 탓) 실기를 2번에 걸쳐 봤습니다. (DVD 따로 실험 따로)

이전에는 한번에 몰아서 봤다고 합니다. 언제 변할지 모르는 사항이니 참고해주세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한다다 | 작성시간 22.07.29 감사합니다
  • 작성자자격증가즈아 | 작성시간 22.08.04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입니다. 혹시 단톡방 정보도 알 수 있을까요?
  • 작성자리링 | 작성시간 22.10.01 감사합니다
  • 작성자아마존수달 | 작성시간 22.12.30 감사합니다! 초시생인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 작성자오드 | 작성시간 23.10.04 감사합니다 막막했었는데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도움이 되었어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