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식보기사 필답복원

2022 1회 식물보호기사(경상대) 합격수기

작성자동동이1|작성시간22.06.03|조회수1,294 목록 댓글 10

저도 합격수기를 올릴 수 있게 되네요. 

 

작업형 후기는 제 이전 게시물을 참조해주세요.

 전 경상대에서 시험을 쳤는데 지적당한 것 2개와 감점당할만한 요인 1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후한 점수를 주셨네요. 감독관님들은 모두 여성분이셨습니다. 

지적당한 것 1. "유제 섞을 때 비커잡아서 흔들면서 섞으시면 안됩니다, 유리막대로 저으세요." (유리막대로 섞다가 마지막에 한 번 해봤는데 걸림)

                 2. 1l로 희석할 때 메스실린더에서 큰비커로 옮겨담을 때 큰비커에서 1l 눈금을 조금 넘기려고 하길래 메스실린더에 물을 조금 남겼습니                       다. 그래서 마지막에 정리할 때 "메스실린더에 물 남았는데 싱크대에 버리면 될까요?" 라고 했는데 "감독관님이 메스실린더엔 물이 남                       을 리가 없는데요?" 라면서 지적아닌 지적을 당했습니다. 지적을 받고 생각해본바 미세한 기울기에 따라 큰비커에 눈금이 1l를 넘길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결론은 희석할 때 메스실린더에 물 남기시면 안됩니다.

감점당할만한 요인 1. 클린벤치 작업을 다하고 정리할 때, 저는 마지막 시험자라서 시험을 다 본 후 감독관님측에서 "정리는 저희가 하겠습니다" 라고                              하셨습니다. 저는 이제 손 뺀 후 나가려고 클린벤치에서 손 뺀 후 일어섯는데 알코올램프 뚜껑 안 닫은거 보고 반사적으로 클린                               벤치로 다시 손 넣어서 닫았습니다. 본래 클린벤치에서 손 뺏다가 다시 넣으려면 넣기전에 무조껀 손 소독을 실시해야합니다.

                         2. 현미경 2번답이 선충/응애로 수험자들끼리 갈렸는데 저는 '선충'썻습니다만 어떤게 답인지 모르겠습니다.

 

DVD 학습 후기 

 제가 활용한 자료는 달랭이(유료), 농약매크로엑셀(카페에 있음), 병해충해농약 기출순위(카페, 유튜브에서 받음), 식보블로그(개인적으로 유용했음) 이정도 봤습니다. 실기 준비는 3주 했습니다. 처음에 달랭이 자료보고 참 막막했습니다. 생각보다 양이 많고 흥미가 별로없어서요. 1주차엔 하기싫어서 농약만 주구장창 했습니다. 달랭이님 자료랑, 유튜브에서 받은 자료 A4용지로 정리했습니다. 4장정도 나왔음. 3일정도는 정리한거 보다가 지겨워서 엑셀메크로파일 자주돌렸습니다. 평균 80점(약175/220)만들고 1주차는 끝났습니다. 하루순공 1~3시간 이였던거같습니다.

2주차 병해는 달랭이님 자료로 4일정도 무작정 봤습니다. 이땐 외우기보다는 눈에 익혔어요 피해사진을 보고 이렇게 생긴게 이런 병이구나하면서요. 과수사진만 봤습니다. (기주별로 병징 구분X, 자세히 관찰X, 대충 이렇게 생긴게 이런 병이구나~) 하다가 병해 재미없어서 잡초 암기했습니다. 2일 공부했구요 달랭이님 자료보면서 순서대로 다 암기했습니다. 자료 키고 사진위에 이름가리고 사진보고 이름 연상하는 식으로요. 저는 쫌 특이하게 암기하는데 암기할 때 암기순서를 외우는 편입니다. 예를들면 까마중 옆엔 거지덩굴 // 자리공 앞엔 환삼덩굴  // 방동사니 > 물방동사니 > 알방동사니 > 너도방동사니 > 나도방동사니 > 금방동사니 > 병아리방동사니 이런식으로 순서를 외우려고합니다. 이렇게하면 그냥 눈 감고 연상만 했을 때도 사진이라던지 어떤게 있었는지 어떤그림이 뭔지 이런게 더 잘 기억이 납니다. 잡초는 초장에 끝내자는 생각으로 자세한 특징 잡아가면서 학습했습니다. 그렇게 2일하고 10개정도 빼고는 다 외웠습니다. 계획 세울 땐 고작 2문제라서 병원균 버리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병해 공부하다보니 다 비슷비슷하게 생겨서 자신이 없어지더군요. 그래서 하루 잡고 사진보면 뭔지 알 수 있게끔 다 외웠습니다. 병원균 같은 경우는 영어라서 영어로 스펠링까지 다 암기하시는 분도 계신데 저는 한글 외웠습니다. 시험장가면 첫글자만 치면 자동검색완성으로 다 나오기 때문에 그렇게 공부했습니다. 예를들면 시험문제로 푸자리움이 나왔다. 그러면 F 검색하면 Fusarium 이렇게 완성되서 보기란에 있으니 선택하면 됩니다.  2주차엔 순공2시간은 넘었습니다.

3주차는 일월-병해, 화수-해충, 목-잡초병원균, 금토일-기출+부족한부분+모의고사 하려고 계획했습니다. 2주차까진 해충 손도 안 댔었습니다. 대충보니까 다 비슷하게 생겼고 징그럽게 생겼고 별로 안 보고 싶더라구요. (일단 여기까지만 작성하고 나중에 쓰고싶어지면 계속 작성하겠습니다. )

 

시험 후기

 제가 시험장에가서 시험치면서 느낀게 이번회차 병해는 생각보다는 쉬웠습니다. 달랭이님 자료랑 비슷하게 나오는 것도 있었고 개별기주 특징 파악하면서 병징까지 잡으면 수월하게 해결이 가능해보입니다. 해충같은 경우는 제가 공부를 잘못 했다고 느낀게 시험장에서 해충문제는 대부분 피해사진을 던져놓고 이게 어느 해충에 대한 피해인가? 라는 문제가 5문제정도 있었습니다. (성충사진 딱 1개나옴 - 알락하늘소) 저는 메인으로 성충사진-이름 매칭으로 다 외우고, 대충 피해사진-성충-알 매칭하고, 기출문제중에서 피해사진을 집중적으로 봤고 애벌레도 봤거든요. 물론 제가 게을러서 대충 공부한건 사실입니다. 피해사진같은 경우는 생전 처음보는 사진이 몇 개 보였습니다. 감도 안오더군요. 그리고 사진보고 4지선다로 고르기 문제에서 저는 4지선다 고른 후 해충의 네임까지 써야되는 줄 알았는데 아니더군요. 그냥 매칭만 시키면 끝이였습니다ㅠ 잡초는 꽤 평이한 수준입니다. 달랭이유료 자료랑 블로그 잠깐 봤었는데 괜찮았습니다. 농약같은 경우는 공부할 때 비주류까지 포함하면 쫌 방대합니다. 하지만 점수 따기가 매우 쉬운 파트입니다. 3주차초반에 메크로로 약 평균95점(210/220) 만들고 공부 그만했습니다. 시험전날에는 기출 잠깐잠깐 봐줬습니다. 농약은 기출빈도가 높은 주류? 농약이 많이 나왔습니다. -스트로빈, 다조멧, 디캄바, mcpa벤타존? 등등. 아직도 생각납니다.. 다조멧(살균제) 살균제했다가 제초제로 바꿨다는걸요. 저는 평균95점 나오길레 이정도면 괜찮겠지하면서 방심했는데 농약은 긴장의 끈을 놓지마시고 확실하게 하는걸 추천드립니다. 평소에는 잘하다가 시험장에 가면 헷갈린다는 사람이 종종있습니다. 병원균은 단골기출들이 주로 나오는거 같구요 블로그에서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이런건 비주류라서 잘 안 나올 가능성이 높다", "이런건 단골문제다" 근데 이게 병원균 모의고사를 풀다보면 개인적으로 구별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처음보는 사진도 있고 확대하면 이게 저건가 저게 저건가 싶기도하고.. 무튼 아는게 나왔다니 운이 좋았네요.

 

마지막으로 

  시험 전략같은 경우는 최대한 작업형에서 점수를 따 주시고 필답형에서는 죽어도 잡초농약병원균은 다 맞춘다는 각오로 해야됩니다. 이 4가지 포인트가 공부시간대비 효율이 가장 높습니다.

 끝으로 공부하기 싫을 때 재미있게 공부하게 해주신 블로그 운영자님 감사하구요, 농약메크로파일 만드신 분, 유튜브에서 자료주신 분, 카페에서 각종 자료 공유해주시는 분, 점수 후하게 주신 경상대 감독관님 감사드립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작성자나그넷 | 작성시간 22.06.04 비커는 원래 정확하지않아요
    그래서 메스실린더로 재고나서 비커에 붓는거랍니다
    메스실린더로 잰 물을 다 사용하시는게 맞답니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동동이1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06.15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