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시설원예기사

시설원예기사는 문제집도 없나봐요.

작성자one예|작성시간21.08.29|조회수1,401 목록 댓글 9

문제집도 없고

기출문제도 안보이고

 

뭘보고 공부해야하는지 도대체 모르겠고

실기는 뭘 보나요?

 

누가 시험에 지원하긴 하나요?

시험 자체가 없어지는건 아닌가요?

 

자료가없어서 공부를 못하는 기사 자격증이 있다는게 웃기고 신기합니다.

 

원예인으로서 시설원예기사를 공부하고 싶습니다. 그러나 할 방법이 없네요.

자격증계에서 쭈구리 상태인 원예는 냅두고 산림 혹은 식보 공부를 해야할까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마린판다 | 작성시간 21.09.29 2022년도 시설원예기사 출제기준이 올해와 비교하여 일부 변경(재배학원론 세세항목) 되었으니 시험 준비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NCS(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 중에서 '시설원예'와 '채소재배'의 교재를 참고하시면 시설원예와 수경재배의 이론과 실제를 이해하시는 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 작성자마린판다 | 작성시간 21.09.29 시설원예기사와 더불어 2019년부터 농촌진흥청에서 '스마트팜 농업기사'의 국가자격시험 도입을 관련기관과 함께 준비하고 있습니다. 언론 보도에 의하면 올해까지 자격시험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하겠다고 했지만 아직까지 별다른 소식이 없네요. 스마트팜 농업기사 국가자격(안)에 의하면 스마트팜개론, 재배학원론, 시설원예학, 농업시설공학, 생물환경조절공학 등의 과목으로 자격을 검정하겠다고 합니다. 향후 시설원예기사가 스마트팜 농업기사로 대체가 될지 아니면 시설원예기사는 재배기술에, 스마트팜 농업기사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배환경관리에 중점을 둘지 두고 볼 일입니다. 아무튼 농업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시점인만큼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하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도선생 | 작성시간 22.01.10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마린판다 | 작성시간 22.01.10 도선생 작년 4월 스마트농업육성법(안)이 입법예고되었는 데도 불구하고 아직 이렇다 할 진전이 없네요. 각 시•도 지자체에서는 스마트농업 육성 조례들이 제정되고 있는 데 말입니다. 기존의 시설원예가 ICBM+AI 등과 융합되어 스마트농업 또는 디지털농업 등으로 재탄생 되는 과정인데 법적•제도적 기반이 하루빨리 마련되기를 바랄 뿐입니다. 법률안에는 '스마트팜 농업기사'가 아닌 '스마트농업관리사'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농진청에서는 농업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스마트농업전문가' 교육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구요. 향후 시행령과 시행규칙에서 스마트농업관리사 자격증 제도를 어떻게 구체화시킬지 궁금해지네요.
  • 작성자one예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04.25 정성스럽게 작성해주신 모든 답변들에 감사드립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