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맥류 비 피해

작성자jsonujdad| 작성시간22.03.10| 조회수116| 댓글 6

댓글 리스트

  • 작성자 김한_ 작성시간22.03.24 밀의 경우에는 비가 많이 오면 단백질이 함량이 감소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 jsonujdad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2.03.30 많을수록이랑 자주랑 구분하면 되겠죠!?
  • 작성자 자울 작성시간22.03.30 제가 농업직 전공은 아니지만 제가 아는 한에서 얘기해 보겠습니다.

    2015년 국가직 9급
    밀의 단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토양수분이 낮아지면 단백질 함량은 증가된다 -> (o)

    토양수분이 낮아지면 수분흡수가 감소하며 탄수화물 전류도 감소
    (탄수화물 생산하는 광합성에 물이 필요한데 물이 없으니 탄수화물 생산 못함)
    탄수화물이 낮아짐. 상대적으로 단백질 함량은 증가

    2014년 서울시 9급
    (4)강우가 잦을수록 단백질 함량 증가 -> (o)

    비 많이 오면 날씨가 흐리고 광합성 많이 못함 -> 탄수화물이 적어짐 -> 상대적으로 단백질 함량 증가
  • 답댓글 작성자 자울 작성시간22.03.30 2018년 국가직 7급
    (1) 등숙기에 비 피해가 발생하면 단백질과 전분이 감소한다.

    등숙기의 비는 증산을 억제한다. 작물은 물을 흡수할 때 질소도 같이 흡수하는데, 증산이 억제되니 질소 흡수도 억제된다. 단백질은 질소가 있어야 만들 수 있는데 질소가 없으니 단백질 감소.

    2021 국가직 7급
    ㄹ 등숙기에 서늘하고 토양수분이 적당할 경우에는 단백질 함량이 높은 밀이 생산된다 -> (x)

    서늘한 기온 덕에 탄수화물의 소모량이 적으며 토양수분이 적당하기에 탄수화물 전류량도 충분하다. 그래서 탄수화물 양이 많아지고 상대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낮아진다.
  • 답댓글 작성자 자울 작성시간22.03.30 제 생각으로는 비가 오면 단백질의 양 자체는 감소하는게 맞지만 탄수화물도 감소해서 상대적으로 단백질의 비율, 즉 '함량' 이 높아진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기출에서 탄수화물이 적어지면 단백질의 '함량'이 높아지고, 탄수화물이 많아지면 단백질의 '함량'이 낮아지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jsonujdad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2.04.04 자울 선택지 분석해서 답이 없으면 함량에 초점을 맞추고 보면 되겠네요!!
    자세한 해설 없이 말만 저렇게 바꿔서 뭐가 맞나 했는데 ..
    감사합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