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유기농업기사 10월17일 시행한 필답 복원한 자료입니다.

작성자합격을 위하여|작성시간20.10.20|조회수1,459 목록 댓글 10

제3회 2020년 10월 17일 유기농업기사 실기문제 복원

 

1. 친환경농어업법에서 유기가공식품에서 가공보조제로 사용이 가능한 물질 중 과산화수소 용도와 허용 범위를 기록시오?

 

식품 표면의 세척·소독제

[관련법]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ㆍ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허용물질의 종류(제3조제1항 관련) 1. 유기식품등에 사용가능한 물질 다. 유기가공식품, 1) 식품첨가물 또는 가공보조제로 사용이 가능한 물질

 

2. 친환경농어업법에서 휴약기간의 정의를 쓰시오?

 

사육되는 가축에 대하여 그 생산물이 식용으로 사용하기 전에 동물용의약품의 사용을 제한하는 일정기간을 말한다.

[관련법] 친환경농어법 시행령 별표3, 유기식품등의 인증기준 등(제9조제1항 관련) ,카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별표1, 인증기준의 세부사항

(6조의2 관련) 머.

 

3. 친환경농어업법에서 유기축산의 경영 관련 자료에 기재할 사항 3가지를 기록하시오

 

1) 가축입식 등 구입사항과 번식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자료

2) 사료의 생산·구입 및 급여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자료

3) 예방 또는 치료목적의 질병관리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자료

4) 동물용의약품ᆞ, 동물용의약외품 등 자재 구매·사용·보관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자료

5) 질병의 진단 및 처방에 관한 자료

[관련법]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ㆍ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4], 경영 관련 자료(제10조제2호 관련), 나, 축산물

 

4. 친환경농어업법에서 유기배합사료 제조용 물질 중 단미사료 식물성 근괴류 사용가능 물질과 사용가능 조건을 쓰시오

 

사용가능 물질 : 고구마, 감자, 돼지감자, 타피오카, 무 및 당근

사용가능 조건 : 유기농산물 인증을 받은 것일 것

[관련법]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ᆞ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1], 허용물질의 종류(제3조제1항 관련), 나. 유기축산물 및 비식용유기가공품,

1) 유기배합사료 제조용 물질 중 단미사료

 

5. 친환경농어업법에서 유기식품 등의 유기기준 표시, 유기표시 도형 작도법에서 ( )를 기록 하시오?

 

표시 도형의 국문 및 영문 모두 글자의 활자체는 (고딕체)로 하고, 글자 크기는 표시 도형의 크기에 따라 조정한다.

표시 도형의 색상은 (녹색)을 기본 색상으로 하되, 표시 도형의 (흰색) 모양 하단부, 모양과 바깥 테두리, 포장재의 색깔 등을 고려하여 파란색, 빨간색 또는 검은색으로 할 수 있다. 4) 표시 도형 내부에 적힌 "유기", "(ORGANIC)", "ORGANIC"의 글자

[관련법]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ㆍ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5], 유기식품등의 유기표시 기준(제18조제1항 관련), 1. 유기표시 도형, 다. 작도법, 1) 도형 표시방법

 

6. 친환경농어업법에서 유기식품 등의 유기기준 표시, 유기표시 도형 작도법에서 ( )를 기록 하시오?

 

표시 도형의 가로의 길이(사각형의 왼쪽 끝과 오른쪽 끝의 폭: W)를 기준으로 세로의 길이는 (0.95×W)의 비율로 한다. (좌ᆞ우 및 상단부 부분에만 해당한다)의 간격은 (0.1×W)로 한다.

좌측 (태극)의 시작점은 상단부에서 (0.55×W) 아래가 되는 지점으로 하고, 우측 (태극)의 끝점은 상단부에서 (0.75×W) 아래가 되는 지점으로 한다.

[관련법]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ㆍ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5], 유기식품등의 유기표시 기준(제18조제1항 관련), 1. 유기표시 도형, 다. 작도법, 1) 도형 표시방법

 

 

7. 유기식품등에 사용가능한 물질에서 유기농산물 및 유기임산물에 대한 사항으로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을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물질 중 사용가능 조건이 “화학물질의 첨가나 화학적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아야 하고, 항생물질이 검출되지 않을 것”에 해당하는 것을 보기에서 고르시오? [보기] 비나스 혈분 설탕 포도당

 

혈분

[관련법]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ᆞ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1] , 가. 유기농산물 및 유기임산물, 1)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을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물질

 

8. 유기농업에서 토양소독법 중 가열소독법 3가지 적으시오

 

태양열 소독, 고온수 소독, 밀기울(쌀겨) 소독, 증기열 소독, 소토소독

 

[해설]

1) 태양열소독

태양열소독으로 병원균의 밀도를 줄일 수 있다. 소독방법은 장마철이 지난 7~8월에 발병이 심한 포장에 유기질원으로 볏짚을 잘게 썰어 넣고 깊이 20cm 정도로 경운한 후 적당한 거리로 이랑을 만들어 투명플라스틱 필름으로 피복한 후 담수 처리한다. 이때 플라스틱 필름이 찢어지지 않도록 유의해야 하며 처리기간 중 태양열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은 태양열소독을 흑색썩음균핵병이 40% 발병한 토양에 처리하면 발병률을 22%로 줄일 수 있었으며 수량은 무처리에 비해 약 86% 증가시킬 수 있었다.

2) 고온수 소독

토양 병해충 밀도 증가로 인한 연작토양 살균은 고온수 토양 살균 소독장치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살균하는 친환경적인 방제기술이다

고온수 관주 시에는 고온수의 처리온도를 90~95℃정도로 조절하여 3~4시간까지 연속하여 관주 처리한다. 이때 고온수 처리량은 7~8톤/시간의 속도로 관주되도록 조절하고 토양 내에서 고온수 처리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연작토양 표면은 비닐로 피복하여 관주한다. 이 기술은 고온수를 감염 토양 내에 직접 관주하여 각종 병해충을 단시간에 용이하게 사멸시키고 바이러스도 90℃ 이상에서 불활성화 시키는 방법이다

3) 밀기울(쌀겨) 소독

밀기울(쌀겨) 소독

태양열, 물과 밀기울(또는 쌀겨)을 사용하며 토양환원 소독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지온 30~40℃의 토양에 밀기울을 혼화하면 이들을 영양분으로 하는 토양 미생물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이 때 토양이 최대용수량에 가까워지면 미생물에 의한 산소의 소비로 토양은 급격히 환원상태가 되며 대부분의 토양 병해충은 산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멸되거나 증식이 억제된다. 또한 환원과정에서 유기산이 생성되기도 하고 미생물끼리 경합도 일어나 밀도가 떨어지게 된다. 처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비닐하우스 내 10a(300평)당 2톤의 밀기울(쌀겨)을 골고루 살포하고 골고루 토양과 혼화한다.

4) 증기열소독

증기열소독 : 증기보일러를 가열하여 파이프를 통해 증기열을 토양 속에 집어넣어 토양의 온도를 높여 병원균을 살균한다. 이런 소독법은 설비가 비교적 복잡해서 경제적으로 가치가 높은 작물에 적합하고 또 묘상(苗床)이 소면적일 때 실시하면 좋다.

5) 소토소독 : 토양소독법의 하나로 논밭의 흙을 모아 그위에 마른풀이나 나무 조각을 놓고 태우거나 흙을 펴 놓은 철판 밑에 불을 놓아서 가열하여 살균하는 것

 

 

9. 유기재배에 사용되는 병충해의 경종적 방제의 정의와 방제방법 3가지를 쓰시오.

 

정의 : 재배적인 방법으로 병충해를 방제하는 것이다.

방제법 : 내병성 내충성 종류와 품종선택, 작부체계변경(윤작, 간작, 혼작 등),

중간 기주식물 제거, 기계적 경운(잡초 등 서식지를 제거),

재배시기의 조절(조기 및 조식재배),저항성 대목을 이용한 접목,

멀칭재배, 포장위생(서식지, 월동장소를 제거)

[해설] 경종적방제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병해충, 잡초의 생태적 특징을 이용하여 작물의 재배조건을 변경시키고 내충, 내병성 품종의 이용, 토양관리의 개선 등에 의하여 병충해,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여 피해를 경감시키는 방법. 병충해 방제의 보호적인 방지법에 해당함.

대항식물과 저항성(내병성)품종 또는 대목, 작기 변경, 윤작, 토양개량, 질소시비감비 등

삼고재배학 병충해방제 381p

 

10. 유기농산물을 생산하는 시설재배 내의 토양 및 환경특이성을 적으시오

일교차가 크고, 위치별 분포가 다르며, 지온이 높다.

광질이 다르고, 광량이 감소하며, 광분포가 불균일하다.

탄산가스가 부족하고, 유해가스가 집적되며, 바람이 없다.

토양이 건조해지기 쉽고, 공중에 습도가 높으며, 인공관수를 해야한다.

염류농도가 높고, 토양물리성이 나쁘며, 연작장해가 있다.

집약적인 연작재배, 다비재배, 시설로 강우가 차단되어 염류가 용탈되지 않는다.

특정 성분의 양분 결핍, 토양산도 저하, 통기성 불량, 토양오염, 염류의 집적

[해설] 삼고재배학 4.12 시설재배, 395p

 

11. 유기농산물을 생산하는 시설재배 토양에서 염류집적에 대한 대책을 기록하시오

 

담수세척, 객토 및 환토, 답전윤환, 비료의 선택과 시비량의 적정화, 미량 요소의 보급, 퇴비녹비 등 유기물의 적량시용, 윤작, 심근성작물(화본과) 및 내염성작물(제염작물) 재배, 저항성품종 선택 재배 ,토양개량제 시용(석회, 규산시용), 심경

[해설] 삼고재배학 4.12 시설재배, 395p

 

 

12. 유기표시를 하려고 하는 인증사업자는 유기표시 의무표시사항을 반드시 표기해야한다.

표시사항을 적으시오

 

인증사업자의 성명 또는 업체명, 전화번호, 포장작업장 주소, 인증번호, 생산지

[관련법]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ㆍ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6, 유기식품등의 인증정보 표시방법(제18조제2항 관련)

 

13. 친환경농어업법에서 인증 취소 또는 인증품의 인증표시 제거 등의 처분을 받을 수 있는

내용을 적으시오

 

. 제19조제2항에 따른 인증기준에 맞지 아니한 경우

. 정당한 사유 없이 제31조제7항에 따른 명령에 따르지 아니한 경우

. 전업(轉業), 폐업 등의 사유로 인증품을 생산하기 어렵다고 인정하는 경우

[관련법]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ㆍ지원에 관한 법률, 제24조(인증의 취소 등)

 

14. 유기농산물에서 재배방법중 윤작법의 정의와 윤작주기를 적으시오

 

윤작법 정의 :

2년에 3작으로 장기적인 적절한 윤작계획에 따른 두과작물, 녹비작물 또는 심근성작물을 재배하는 것이다.

윤작 주기 :

가) 3년 이내의 주기로 두과작물, 녹비작물 또는 심근성작물을 일정기간 이상 재배하여 토양 에 환원(還元) 한다.(다만, 매년 수확하지 않는 다년생 작물(예 : 인삼)은 파종 이전에 두 과작물 등을 재배하여 토양에 환원한다.)

나) 2년 이내의 주기로 식물분류학상 “과(科)”가 다른 작물을 재배하되 재배작물에 두과작물, 녹비작물 또는 심근성작물을 포함한다.

다) 2년 이내의 주기로 담수재배작물과 밭 재배작물을 조합하여 답전윤환(畓田輪換)한다.

라) 매년 두과작물, 녹비작물, 심근성작물을 이용하여 초생재배(草生栽培)한다.

[관련법] 친환경농축산물 및 유기식품 등의 인증에 관한 세부실시 요령, 별표1, 인증기준의 세부사항(제6조의2관련) 2. 유기농산물, 다. 재배방법

 

15. 다음은 종자에 대한 수명의 발아력에 대하여 장명종자, 단명종자, 각각 보기 중 3개씩 선택 하시오 [보기 : 완두, 콩, 녹두, 고추, 팥, 토마토, 가지, 벼, 메밀, 옥수수, 오이, 무]

 

단명종자 : 콩, 메밀, 옥수수, 고추

장명종자 : 녹두, 토마토, 가지, 오이

단명종자 (1~2년) (강옥땅콩! 목양메고! 당파상기!)

강낭콩, 옥수수, 땅콩, 콩, 목화, 양파, 메밀, 고추, 당근, 파, 상추, 기장

상명종자 (3~5년) (벼밀보완귀! 무베멜호! 우시!)

벼, 밀, 보리, 완두, 귀리, 무, 배추, 멜론, 호박, 우엉, 시금치

장명종자 (5년 이상) (사베클앨! 비토가수오!)

사탕무, 베치, 클로버, 앨펄퍼, 비트, 토마토, 가지, 수박, 오이

[해설] 삼고 재배학론 282p

 

16. 유기농산물 저장구역 또는 수송컨테이너에 대한 병해충 관리방법(보기 중 선택)

유기농산물인증기준에서 “생산물의 품질관리에 저장구역 또는 수송컨테이너에 대한 병해충 관리”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 4가지를 쓰시오.

- 물리적 장벽, 소리와 초음파, 빛과 자외선, 덫(페로몬 및 전기유혹 덫),

온도조절, 대기조절(탄산가스, 산소, 질소의 조절), 규조토

[관련법] 친환경농축산물 및 유기식품 등의 인증에 관한 세부실시 요령, 별표1, 인증기준의 세부사항(제6조의2 관련), 8. 취급자(저장, 포장, 운송, 수입 또는 판매), 마. 저장․포장․운송․수송

 

17. 친환경농축산물 및 유기식품 등의 인증에 관한 세부실시 요령 인증기준 세부사항에서 유기사료의 정의 식물공장 정의를 기록하시오

 

유기사료란 유기농산물 및 비식용유기가공품 인증기준에 맞게 재배·생산된 사료를 말한다.

식물공장(Vertical Farm)"이란 토양을 이용하지 않고 통제된 시설공간에서 빛(LED, 형광등), 온도,

수분, 양분 등을 인공적으로 투입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시설을 말한다.

[관련법] 친환경농축산물 및 유기식품 등의 인증에 관한 세부실시 요령 별표1, 인증기준의 세부사항(제6조의2 관련) 파, 거

 

18. 친환경농축산물 허용물질 중에 유기농산물 및 유기임산물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을 위하여 사용 가능 물질 중 충분한 발효 또는 부숙해야하는 물질 3가지를 적으시오

 

식물 또는 식물 잔류물로 만든 퇴비, 오줌, 사람의 배설물

[관련법]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ᆞ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1], 허용물질의 종류(제3조제1항 관련) , 1. 유기식품등에 사용가능한 물질,

가. 유기농산물 및 유기임산물, 1)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을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물질

 

19. 유기양봉 예방관리에도 불구하고 질병이 발생한 경우 사용 가능한 물질을 적으시오

 

젖산, 옥살산, 초산, 개미산, 황, 자연산 에테르 기름[멘톨, 유칼립톨(eucalyptol), 캠퍼(camphor)], 바실루스 튜린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증기 및 직사 화염

[관련법]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ᆞ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3, 유기식품등의 인증기준 등(제9조제1항 관련), 3의2. 유기양봉 제품 마. 동물복지 및 질병관리

 

20. 친환경농축산물에서 유기식품등의 인증대상자를 적으시오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가. 유기농축산물을 생산하는 자

나. 유기가공식품을 제조ㆍ가공하는 자

다. 비식용유기가공품을 제조ㆍ가공하는 자

2. 제1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품목을 취급하는 자

[관련법] 친환경농어업법, 제19조(유기식품등의 인증) 2항

친환경농어업법 시행규칙, 제8조(유기식품등의 인증대상)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하비유부 | 작성시간 20.11.06 감사해요
  • 작성자저스트두잇! | 작성시간 20.11.12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작성자김낙천 | 작성시간 20.11.15 유순한 교재실기책 도움이 많이 되어서 당당하게 제 3 회 유기농업기사 실기필답형 합격 했습니다.
    역시 초가카페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사람은 끈기와 인내력이 있어야 됩니다. 그래야 합격 할수 있습니다.
    힘내십시오.
    화이팅. 공부하고나면 별거도 아닙니다.
  • 작성자그랴햐봐 | 작성시간 20.11.26 감사합니다.
  • 작성자오뚜기농부 | 작성시간 21.04.08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