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20~ 7.20 까지면
2달해서 60일인데 왜 35~40일이라는 거에요?
다음검색
댓글
댓글 리스트-
작성자김승우 작성시간 21.12.06 벼 생육상을 이해할 때 유수분화는 영양생장기에서 생식생장기로 전환되는 중요 기점입니다.
그렇다면 이앙 후 영양생장기는 몇일동안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질문을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조기·조식재배 : 이앙 후 40~45일
보통재배 : 이앙 후 35~40일
만기·만식재배 : 이앙 후 >30일
즉 이앙 후 방법, 시기를 달리하여(조기, 만기 등)
한다하더라도 이앙 후 최고분얼기 까지는
“최소 한달에서 최대 40일 내외 의 기간이 소요된다”입니다. 일찍 심으면 영양생장기가 그만큼 길게 확보되서 최대 45일 늦게 심으면 그만큼 영양생장기를 확보하지 못해 30일 내외 미만, 보통기 재배시 30일 이상 전후 소요라는 것이죠
다시 말하자면 유수분화가 되기 위해서는 이앙 후 한달 내지 40일 정도가 소요되는 구나 정도로 이해하면 되는 것입니다.
사실 저 표는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각 생육상의 기점을 일원화하여 다루려고 하다 보니 유연한 시각이 필요합니다. 즉 이앙 시점을 달리해서 최고분얼기 까지의 기간이 다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이앙 후 활착기(7주일 내외), 실제 최고분얼기와 유수분화기 시작 시점도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면 두달내 범주에 이루어지는 것이죠. -
답댓글 작성자김승우 작성시간 21.12.06 그래서 이앙후 활착기, 최고분얼기 이후 유수분화가
되는 실제 시점적 차이 등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이앙후 최고분얼기 까지의 기간(연속성)은 저 수치가 맞다고 전 이해했습니다. 교재에는 여러가지 요인을 고려해서 이론적으로 일원화 하려다 보니 기간을 최대로 잡은 것으로 전 이해하려고 합니다.
실제 교재 내용과 차이는 있지만 비교
해보시면 이해가 되실거에요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넥서스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 21.12.07 김승우 장문의 댓글이네요... 아이고 감사합니다
몇 번 다시 읽어봐야겠네요
아직 유연한 사고가 힘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