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식용작물 모의고사

식용작물학Ⅰ 특강문제

작성자초가사랑(명철)|작성시간04.12.31|조회수3,086 목록 댓글 9
식용작물학Ⅰ 학보특강


담당교수 : 류 수 노



1. 양질미 쌀의 품질특성이 옳은 것은?
① 높은 단백질 함량
② 높은 칼륨함량
③ 낮은 아밀로오스 함량
④ 낮은 인산함량

2. 찹쌀의 전분 조성 중 아밀로펙틴(amylopectin)의 함량은?
① 100% ② 50% ③ 30% ④ 0%

3. 수확이 적기보다 빨라지면 형태적인 미질은?
① 불수정미가 증가한다.
② 동할미가 증가한다.
③ 다미(茶米)가 증가한다.
④ 청미가 증가한다.

4. 양질미가 갖추어야할 조건이 아닌것은?
① 아밀로오스 함량이 낮아야 한다.
② 알칼리 붕괴도가 낮아야 한다.
③ 식미가 기호에 맞아야 한다.
④ 점성이 강해야 한다.

5. 질소비료의 시용과 식미와의 관계가 옳은 것은?
① 단백질 함량을 높여 식미를 저하시킨다.
② 아밀로오스 함량을 높여 식미를 저하시킨다.
③ 저장성을 약화시켜 식미를 저하시킨다.
④ K, Mg함량을 높여 식미를 향상시킨다.

6. 쌀알의 중심부에 백색불투명한 부분이 박혀있는 쌀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복백미 ② 동할미 ③ 유백미 ④ 심백미

7. 쌀알에 가로로 금이 간 쌀로 수확이 늦어지거나 고온의 화력 건조시에 발생하기 쉬운 쌀은?
① 심백미 ② 횡백미 ③ 동할미 ④ 복백미

8. 벼의 배(胚)는 어떤 수정으로 이루어진 것인가?
① 1개의 정핵과 1개의 난세포의 융합
② 1개의 정핵과 1개의 극핵의 융합
③ 1개의 정핵과 2개의 극핵의 융합
④ 2개의 정핵과 2개의 난세포의 융합

9. 다음중 source에 해당되는 것은?
① 1수당 영화수 ② 엽면적지수
③ 영각의 크기 ④ 천립중

10. 심경(深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재배조건은?
① 조식재배 ② 만식재배
③ 난지다비재배 ④ 수리안전한 건답식토

11. 벼의 일생 중 생식 생장기는 언제부터인가?
① 출수기 ② 감수분열기
③ 영화분화기 ④ 유수분화기

12. 벼꽃의 개화와 관계가 있는 기관은?
① 기동세포 ② 통기조직
③ 인피 ④ 호영

13. 등숙비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 아닌것은?
① 밑거름 사용
② 밀식을 한다.
③ 도복을 막는다.
④ 적기출수를 유도한다.

14. 수수형(穗數型) 품종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이삭은 길고 길이가 짧다.
② 벼알이 대체로 작다.
③ 분얼력이 강하여 이삭수가 많다.
④ 심근성이다.

15. 벼알의 입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출수후에 주는 질소비료는?
① 기비(基肥) ② 실비(實肥) ③ 수비(穗肥) ④ 분얼비(分蘖肥)

16. 자포니카형(Japonica type)벼 품종의 특성이 아닌것은?
① 저온저항성이 강하다.
② 내한성(耐旱性)이 약하다.
③ 식물체가 억세다.
④ 끈기가 있다.

17. 최적엽면적지수(最適葉面積指數)를 높여 벼의 순생산량을 최대로 하는 일사량과 초형(草型)의 조건은?
① 일사량이 높고 잎은 늘어져야 한다.
② 일사량이 낮고 잎은 직립해야 한다.
③ 일사량이 높고 잎은 직립해야 한다.
④ 총엽면적이 많고 잎이 커야 한다.

18. 포장동화능력을 높이려면 최적엽면적지수가 클수록 좋다. 최적엽면적지수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① 온도 ② 개체동화능력
③ 수광능률과 일사량 ④ 엽신의 질소함량

19. 질소의 심층시비법의 시비이론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① 질소의 유실을 막아 시비량을 절감시키는 것
② 영양생장기의 과번무를 막아 수광태세를 개선하는 것
③ 벼의 자세조절과 도복방지로 안전증수를 하려는 것
④ 중·후기 생육기까지 비효의 완만한 지속으로 입수 및 등숙률 증대 등 건물생산능력을 높이려는 것

20. V字型 도작이론인 질소시비기술에서 질소흡수를 중단시켜야 하는 시기는?
① 엽령지수 69∼92 ② 엽령지수 87∼97
③ 엽령지수 78∼92 ④ 엽령지수 32∼48

21. 벼의 광합성 능력에 관계하는 특성은?
① 숙기 ② 초형
③ 수장 ④ 옆의 크기

22. 우리 나라 중북부의 산간지에 적응하는 품종 특성은?
① 감광성이 작고 감온성이 큰 품종
② 감광성이 크고 감온성이 작은 품종
③ 감광성과 감온성이 동시에 큰 품종
④ 감광성과 감온성이 동시에 작은 품종

23. 벼의 수량구성 4요소는?
① 수수, 경수, 수장, 입수
② 수수, 입수, 임실률, 천립중
③ 수수, 입수, 임실률, 경중
④ 수수, 영화수, 임실률, 천립중

24. 통일계 품종의 등숙 최저온도는?
① 16℃ ② 17℃
③ 18℃ ④ 19℃

25. 추락현상(秋落現象)이란?
① 벼의 영양생장기에는 성장이 왕성하다가 후기에 들어서서 영양불량 및 조기노숙하는 현상이다.
② 벼의 영양생장기에 성장이 불량하고 이어 후기영양도 불충분하여 조기노숙하는 현상이다.
③ 생육후기에 지상부가 무거워져서 도복하는 현상이다.
④ 벼의 성장기에 도열병의 발생이 많아서 후기에 회복을 하지 못하고 수량이 떨어지는 현상이다.

26. 벼의 기동세포는 어떤 역할에 관여하는가?
① 증산촉진 ② 호흡촉진
③ 증산억제 ④ 동화작용억제

27. 벼의 포장동화능력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① 수광능률은 엽면적이 클수록 작아진다.
② 수광능률은 출수직전에 최대가 되고 그 이후는 점점 작아진다.
③ 규산을 많이 시용하면 수광능률이 커진다.
④ 질소를 과용하면 수광능률이 떨어진다.

28. 벼의 수매, 도정, 저장에 알맞는 수분함량은?
① 10∼11% ② 14∼15% ③ 16∼17% ④ 18∼19%

29. 우리 나라 농정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 통일쌀의 교배조합이 옳은 것은?
① (Yukara×TN1)×1R8
② IR8×(Yukara×TN1)
③ Yukara×IR8
④ 1R8×TN1

30. 벼 유수의 발육 단계를 진단하는 방법 중에서 엽이간장(葉耳間長)에 의한 진단법이 있다. 감수분열성기의 엽이간장 길이는?
① -10cm ② -5cm ③ 0cm ④ +10cm

31. 벼 품종의 조만성, 즉 생육기간의 장단은 무엇에 의해 지배되는가?
① 온도와 질소
② 온도와 수분
③ 온도와 광의 세기
④ 온도와 일장

32. 저온·가뭄·수해 등 기상재해에 가장 약한 벼의 생육시기는?
① 분얼성기 ② 최고분얼기 ③ 감수분열기 ④ 등숙기

33. 무효분얼기에 중간물떼기(中間落水)를 하는 이유는?
① 무효분얼억제와 토양중 유해물질 배제
② 병충해 방제와 농작업의 유리
③ 관개수의 절약과 침수방지
④ 잡초방지와 분얼수 증대

34. 약배양을 통하여 육성한 신품종 벼는?
① 진미벼 ② 주안벼 ③ 화남벼 ④ 향미벼

35. 양질쌀 생산기술에 대한 설명이 틀린것은?
① 물떼는 시기가 빠르면 청미나 미숙립이 많이 발생한다.
② 쌀을 찧으려면 수분함량이 17∼18%정도 말리는 것이 좋다.
③ 벼를 수확할 때 수분함량은 20∼24%정도이다.
④ 저장을 위해서는 종자수분함량 15% 전후가 적합하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묻지ma3 | 작성시간 06.09.24 감사합니다.
  • 작성자신하늘 | 작성시간 06.10.21 고맙습니다. 정말로
  • 작성자박지은 | 작성시간 07.05.03 고맙습니다.
  • 작성자dudwjd2110 | 작성시간 07.06.30 감사합니다
  • 작성자heart | 작성시간 08.07.30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하루보내세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