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미술작품 감상

[스크랩] 朝鮮후기 民畵의 한 종류. 책가도(冊架圖)

작성자도우미|작성시간24.09.16|조회수9 목록 댓글 0

 
.

 

 

 
 
 
책가도(冊架圖), 문방도(文房圖)라고도 한다.
높게 쌓아놓은 책더미와 서재의 여러 가지 일상용품을
적절히 배치한 정물화풍의 그림으로, 전통 장식화 및 민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림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으나 18세기 후반에 이미 널리 유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서가 모양의 격자 구획 안에 책갑으로 묶인 책과 향로·필통·붓·먹·연적·도장 등의

문방구를 비롯하여 선비의 격조에 맞는 도자기·청동기·화병·화분·부채 등이 주요 소재이다.
또한 선비의 여가생활과 관련된
술병·술잔·담뱃대·담배함·악기·도검·바둑판·골패·시계·안경 등도 등장한다.
그후 시대가 지날수록 소재가 다양해졌고 다른 민화들처럼
길상구복의 상징물도 등장하였다.

표현형식은 초기에는 서가로 구획된 화면에 소재들이 
좌우대칭을 이루며

정확히 균형을 이루다가 점차 정물화처럼 자유로운 배치 구도를 취하였다.
화법은 보는 이가 그림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그림이 보는 이를 바라보는 듯한 역원근법(逆遠近法)으로 그렸는데,
이는 서양의 현대 미학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화법이다.
배경에는 대체로 아무것도 그리지 않았다. 

주로 선비가 
아들의 방을 장식하기 위해 주문하였고

서재에 비치되기도 하였다. 면학에 정진하고 글공부를 적극 권장했던
당시의 생활을 엿볼 수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이형록(李亨祿)의
《책가문방도 팔곡병(冊架文房圖八曲屛)》등이 있다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화 목 한 사람들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